정치post

정치post

대통령실에서 포옹까지? 조수미-김혜경 여사의 '남다른 친분' 포착


이재명 대통령이 주최한 '문화강국의 꿈, 세계로 나아가는 대한민국' 행사에서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와 김혜경 여사의 특별한 만남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이 행사는 K-컬처의 세계적 성장을 위한 정부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이날 행사에는 조수미 외에도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박천휴 작가, 발레리노 박윤재, 김원석 감독 등 문화예술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K-컬처가 세계 무대의 중심이 되기 위해 정부가 어떤 지원을 해야 하는지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로 이 행사를 마련했다.

 

행사 중 이재명 대통령이 조수미에게 "제가 하나 궁금한 게 있다"고 말을 꺼내자, 긴장한 기색이 역력한 조수미는 "떨려", "뭘 물어보실까"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때 조수미는 옆에 앉아 있던 김혜경 여사에게 "손 줘봐 봐"라며 손을 내밀었고, 두 사람은 손을 맞잡았다. 김혜경 여사와 이재명 대통령은 환한 미소를 지으며 조수미에게 걱정하지 말라고 안심시켰다.

 

이들의 친분은 단순한 공식 행사장의 만남을 넘어서는 것으로 보인다. 조수미와 김혜경 여사는 같은 고등학교인 선화예고 출신으로, 조수미는 2회, 김혜경 여사는 6회 졸업생이다. 선후배 관계인 두 사람은 행사 중간중간 귀엣말을 나누거나 포옹하는 등 남다른 친분을 과시했다. 김혜경 여사는 조수미를 '선배'라고 부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과 조수미의 인연은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으로 재직하던 2017년, 성남문화재단의 기획공연을 통해 시작되었다고 한다. 2021년에는 이 대통령의 인스타그램 게시물에 조수미가 댓글을 달자 "옆에 아내가 안부인사 드린다고 전해 달란다"고 응답한 일화도 있다.

 

행사 중 이재명 대통령은 조수미에게 예술적 재능이 선천적인 것인지 후천적인 노력의 결과인지 질문했다. 이에 조수미는 "타고난 게 중요하긴 하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바탕으로 "악기 한 개를 다룰 기회를 마련해서 내 안에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볼 기회를 주는 게 대한민국 예술 교육에 꼭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날 행사는 K-컬처의 세계적 위상과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장이었지만, 조수미와 김혜경 여사의 특별한 우정이 빛나는 자리이기도 했다. 두 사람의 자연스러운 교류는 공식 행사의 딱딱한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었으며, 이재명 대통령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함께 행사의 의미를 더욱 깊게 했다.

 

이처럼 정부 수반과 문화예술인 사이의 소통, 그리고 오랜 인연으로 이어진 예술인과 영부인의 특별한 만남은 앞으로 한국 문화예술의 발전과 세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