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post

정치post

국민의힘, 전한길 입당 후폭풍... 당 지도부 '발칵'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을 옹호하며 부정선거론을 주장해온 전한길(본명 전유관) 씨의 국민의힘 입당을 두고 당 내부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인 조은희 의원은 20일 자신의 SNS를 통해 전한길 씨에게 사실상 자진 탈당을 요구했다.

 

조은희 의원은 "전 씨가 민주당의 폭정에 맞서 목소리를 낸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하지만 지금 그가 하는 언행은 우리 당의 이념과는 전혀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특히 "무엇보다 전 씨는 끊임없이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하고 있다"며 "수년간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해왔던 공병호 씨조차 최근 유튜브에서 더 이상 이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전한길 씨가 입당 후에도 "결정적 증거를 가져오면 10억 원을 주겠다"며 근거 없는 주장을 반복하고, 유튜브를 통해 허위 주장을 퍼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러한 행위가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정당 정치의 기반을 흔드는 위험한 행위"라고 강조했다.

 

또한 조 의원은 "그 주장대로라면 우리 당은 내년 지방선거, 3년 뒤 총선도 치르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와 다를 바 없다"며 "그런 주장을 하는 분과 함께 갈 수는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전한길 씨가 "전한길TV 시청자 10만 명이 당원으로 가입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명백한 허위"라며 "입당 직후 허위 사실로 당을 혼란에 빠뜨린 것은 중대한 해당 행위"라고 지적했다.

 

조은희 의원은 "국민의힘은 부정선거 음모론을 당론으로 채택할 의사도, 의지도 없다"며 "부정선거 주장을 계속하려면, 황교안 씨가 이끄는 자유와 혁신으로 가는 것이 마땅하다"고 직격했다.

 

한편, 전한길 씨의 입당에 대해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입장 변화를 보였다. 송 위원장은 지난 17일 SNS에 "개인 입당에 호들갑 떨 것 없다"고 했다가 하루 뒤인 18일에는 "전씨에 대해 여러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당헌·당규에 따른 적절한 조치 방안을 검토·지시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부정선거론을 주장하는 전한길 씨의 입당이 당의 이미지와 정체성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 지도부의 추가 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