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post

정치post

법치냐 민생이냐… 국민의힘, '대장동 국정조사' 걸고 전국 돌며 여론전 돌입

 국민의힘이 현 정부의 민생 정책 실패를 '민생 레드카드'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전국적인 장외투쟁에 돌입한다. 이번 전국 순회 규탄대회는 장동혁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직접 민생 현장으로 나아가 유권자들과 소통하며 정부의 실정을 알리고, 당의 투쟁 동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은 이번 대국민 여론전을 통해 대여 공세의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며 정국의 주도권을 되찾겠다는 구상이다.

 

정희용 사무총장이 밝힌 바에 따르면, 이번 전국 순회는 단순히 정부를 비판하는 것을 넘어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관철하기 위한 목적을 담고 있다. 당이 제기하는 핵심 의혹인 '대장동 항소 포기 외압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와 현재 진행 중인 '이재명 대통령의 재판 즉시 재개'를 국민과 함께 강력히 촉구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사법적 정의와 공정성이 훼손되었다는 당의 판단 아래, 이를 바로 세우는 것이 민생 회복의 선결 과제라는 인식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국민의힘은 민생 파탄에 분노한 민심을 등에 업고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을 동시에 압박하는 모양새다.

 


이번 전국 투어의 일정은 매우 강도 높게 짜였다. 이번 주 부산 방문을 시작으로 다음 달 2일까지 경북, 충남, 대구, 충북, 강원, 인천, 경기를 차례로 순회하며 전국 11개 지역을 훑는 대장정이다. 특히 투어의 종료 시점은 장동혁 대표의 취임 100일인 다음 달 3일 직전으로 맞춰져, 새로운 지도부가 출범 초기부터 강력한 대여 투쟁 의지를 보여준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더했다. 또한, '규탄 문구'를 가득 채운 '랩핑 버스'를 운영하여 이동하는 동안에도 국민들에게 투쟁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각인시키고, 더 많은 국민적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이번 전국 순회 규탄대회를 통해 단순히 정부를 비판하는 야당의 역할을 넘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민생을 지키는 책임 있는 대안 세력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겠다는 목표를 분명히 했다. 정 사무총장은 "항상 국민 가까이에서 무너진 법치를 바로 세우는 일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하며, 이번 장외투쟁이 당의 지지 기반을 결집하고 외연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결국 이번 전국 투어는 이재명 정부와의 전면전을 선포하며, 민심을 얻기 위한 국민의힘 지도부의 중대한 승부수라 할 수 있다.

 

'맥도날드 저격'하며 태어난 그 운동, 미국 한복판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다

임의 중심에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도, 새크라멘토가 떠오르고 있다. ‘성스러운 강’이라는 이름의 이 도시는 ‘팜 투 포크(Farm-to-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슬로건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내걸었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항하며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미국 서부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워서, 슬로푸드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테라 마드레(어머니의 땅)’ 축제가 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밖인 바로 이곳 새크라멘토에서 열리는 영광으로 이어졌다. 이는 새크라멘토가 단순한 미식 도시를 넘어, 패스트푸드로 상징되는 현대 문명에 맞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구심점이 되었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새크라멘토가 이처럼 ‘미국의 팜 투 포크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다. 역설적이게도 1852년의 대홍수가 시에라산맥의 비옥한 퇴적물을 센트럴밸리 전역으로 실어 날랐고, 새크라멘토강과 아메리카강이 만나는 풍부한 수량, 강렬한 햇살과 서늘한 저녁 기후가 더해져 농사를 위한 최적의 땅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도시 반경 100km 안에서 거의 모든 식자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요리사의 천국’이 탄생했다.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90% 이상, 세계 3대 자포니카 쌀 생산지, 미국 최대 캐비어 양식장이 이곳에 있으며, 토마토, 올리브, 와인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 들어서는 순간, 숯불 위에서 구워지는 패티와 갓 구운 빵, 신선한 농작물이 뒤섞여 뿜어내는 풍요로운 향기는 이 도시가 가진 땅의 힘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이처럼 거대한 농지가 세계적인 미식 도시로 탈바꿈한 데에는 몇몇 선구자들의 ‘가벼운 우연’과 ‘열정적인 모험’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민 2세대 농부였던 레이 융이 우연히 얻은 둥근 토마토 씨앗을 심었다가 밭 전체를 뒤덮자, 처리를 위해 현지 레스토랑에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팜(농장)’에서 ‘포크(식탁)’로 이어지는 직거래 문화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에 ‘요리계의 인디애나 존스’로 불린 식료품점 아들 대릴 코르티가 가세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누비며 당시 미국에는 생소했던 파르메산 치즈, 트러플, 발사믹 식초 등을 들여와 새크라멘토의 식탁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들의 노력이 씨앗이 되어 2012년, 케빈 존슨 전 시장은 새크라멘토를 ‘미국 팜 투 포크 운동의 수도’로 공식 선언하기에 이르렀다.새크라멘토의 철학은 결국 ‘시간의 회복’으로 귀결된다. 세계적인 셰프 엘리자베스 포크너는 테라 마드레 행사에서 “내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패스트푸드”라며, 아이들의 ‘인앤아웃 햄버거’ 타령에 씁쓸해했다. 그녀에게 패스트푸드와의 싸움은 곧 자신의 요리를 지속하게 하는 동력이다. 포크너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현지 농부와 어부를 직접 만나 제철 식재료를 확인하는 것을 요리의 첫걸음으로 삼는다. 이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생산자와의 관계를 맺고 자연의 리듬을 존중하는 슬로푸드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멕시코계, 아프가니스탄계 이민자들이 기른 작물이 스페인 음식에 매료된 요리사의 손에서 파에야로 재탄생하는 새크라멘토의 식탁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만들어내는 ‘인간적인 시간’ 그 자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