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post

경제post

너도나도 ‘막차 대출’에 고정금리 주담대가 최고

 금리 하락기에 접어들면서 대출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차주들이 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4월 예금은행 신규 취급 기준가계대출 금리는 4.36%로 전월 대비 0.15%포인트 하락해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98%로 7개월 만에 다시 3%대로 내려왔으며, 신용대출 금리도 5.28%로 0.20%포인트 떨어졌다. 기업대출 금리 역시 4.14%로 5개월째 하락 중이다.

 

한국은행 금융통계팀 김민수 팀장은 은행채 5년물, 코픽스 등 지표금리 하락과 단기 금융시장 금리 하락이 대출금리 인하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또한 기준금리가 인하기에 접어든 만큼 주담대 금리도 당분간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7월부터 강화되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 도입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방침이 금리 인하 폭을 제한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에 우려를 표하며 은행권에 월별·분기별 관리 목표 준수 여부를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시 즉각 조치할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DSR 강화 시행 전에 ‘막차 수요’가 몰리며 대출 증가세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편 예금금리 역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4월 예금은행 저축성수신금리는 2.71%로 전월 대비 0.13%포인트 낮아졌다. 3%대 예금상품이 사라진 가운데,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 ‘파킹통장’과 특판 예금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고객 유치를 위해 오히려 예금 금리를 올리는 추세다.

 

SBI저축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2.8%에서 3.0%로 인상했고, 인터넷뱅킹 전용 변동금리 정기예금은 최대 3.2% 금리를 제공한다. 조은저축은행도 정기예금 금리를 0.4%포인트 올려 3.2%를, 예가람·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은 단기 예금 금리를 각각 0.2%포인트, 0.15%포인트 인상했다.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파킹통장도 인기를 끌고 있다. 키움저축은행은 ‘더 키움 파킹통장’ 금리를 2.00%에서 2.85%로 인상했고, 신한은행은 ‘신한 이로운 연금 통장’을 출시해 최대 연 3.0% 금리를 제공한다. 이 상품은 시니어 고객 대상 연금 자금 관리용이다.

 

 

 

또한 삼성금융네트웍스와 KB국민은행이 함께 선보인 ‘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은 연 4.0%의 고금리를 내세우며, 자동이체 등록 및 앱 내 활동을 통해 포인트 적립과 일별 이자 지급 혜택을 제공한다. 신협중앙회의 ‘모아모아통장’은 MZ세대 맞춤형 파킹통장으로 최고 연 4.5% 금리를 제공하며, 비대면 가입이 가능하다. 이 상품은 출시 5개월 만에 11만3000건 이상 계좌가 개설되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5월부터는 시범운영되던 온라인 예금중개 서비스가 제도화돼 금융소비자들이 예금, 적금뿐 아니라 파킹통장 등 수시입출식 상품까지 온라인에서 금리 비교 및 가입이 가능해졌다. 금융위원회는 이를 통해 소비자 선택권 확대와 금융회사의 상품 경쟁 촉진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다시 상승하고 있다. 4월 신규 주담대 중 고정금리 비중은 89.5%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6월 39.5%에서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8월 96.8%까지 올라갔던 수치다.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된 지난해 10월 이후 다소 하락세를 보였지만 올해 들어 다시 90% 가까이로 상승했다.

 

이는 현재 고정금리 주담대 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낮은 데 따른 것으로, 4대 은행의 고정금리 주담대 금리는 3.37~~5.52% 수준으로 변동금리(3.88~~5.53%)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고정금리 대출 확대를 은행권에 권고한 점과, 고정금리 대출이 DSR 산정 시 더 높은 대출 한도를 받는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한국은행이 올해 하반기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대출금리는 앞으로도 점진적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올해 최대 두 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금리 하락 기조 속에서 차주들과 금융권 모두 향후 대출 및 예금 시장 변동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