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post

경제post

아침밥이 1000원? 근로자 '천원의 아침밥' 연내 만날까

 정부가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근로자에게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 사항으로,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특히 정부가 준비 중인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관련 시범사업 예산이 포함될 경우, 이르면 올해 안에 일부 근로자들이 1000원으로 아침 식사를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근로자 대상 천원의 아침밥 시범사업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천원의 아침밥'은 정부와 아침 식사 제공 주체가 비용 일부를 분담하여 수혜자가 1000원만 내고 식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쌀 소비를 장려하고 아침 결식률을 낮추기 위해 2017년 시작되었으나, 그동안은 대학생에게만 혜택이 주어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 유세에서 "대학생과 노동자에게 천원의 아침밥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이는 공약집에 '전국 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한 천원의 아침밥 사업 지원'으로 명시됐다. 이에 따라 시범사업의 주요 수혜 대상은 산업단지 근로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지원 방식은 대학생 사업과 유사하게 정부가 끼니당 일정 금액(1000~2000원 예상)을 지원하고, 근로자가 1000원을 부담하며, 나머지 차액은 기업이 부담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이 대통령이 고물가 대응을 강조하며 물가 안정 대책 마련을 주문한 점을 고려할 때, 근로자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연내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대학생 대상 사업 역시 고물가 상황에서 수요가 급증하며 예산이 2022년 5억원 안팎에서 올해 93억4400만원으로 대폭 늘어난 바 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외식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것과 무관치 않다.

 

근로자 천원의 아침밥 시범사업 예산은 현재 정부의 2차 추경안에 포함될지 검토 중이다. 추경에 최종 반영된다면 연내 사업 시행이 가능해진다. 다만,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하는 추경에 해당 예산 편성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도 일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대학생 대상 천원의 아침밥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다. 지난해 조사에서 아침밥의 중요성 인식도가 99.0%에 달했고, 사업 지속 희망 응답도 98.7%로 나타나 근로자 사업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