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post

경제post

다시 열린 '삼천피' 시대..개미는 팔고 기관은 샀다

 20일, 코스피 지수가 3년 5개월 만에 장중 기준 3,000선을 돌파하면서 이른바 ‘삼천피’ 시대가 재개됐다. 이는 2021년 1월 6일 코로나19 팬데믹 중에 처음 돌파한 이후 1,265일 만의 일이며, 이재명 대통령 취임 17일차에 달성된 성과라는 점에서 정치권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6.09포인트(0.88%) 오른 3003.83을 기록했다. 장 초반에는 2986.52로 시작해 보합권 내에서 등락을 반복했으나, 오전 10시 45분경 3000.46을 기록하며 3,000선을 넘어섰다. 이는 2022년 1월 3일 장중 3,010.77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번 상승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여전한 상황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시장 접근성 평가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부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한 결과다. 실제로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7억 원, 67억 원을 순매수하며 시장을 끌어올렸다. 반면 개인은 장 초반 매수세에서 순매도로 돌아서며 139억 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은 1,227억 원 규모로 순매수 중이다.

 

업종별로는 반도체와 2차전지, 바이오 종목군이 강세를 보이며 시장 상승을 주도했다. 삼성전자(0.51%), SK하이닉스(2.64%)는 물론, LG에너지솔루션(2.23%), 삼성바이오로직스(1.70%), 한화에어로스페이스(1.71%) 등도 오름세를 나타냈다. 다만 현대차(-0.24%), 기아(-0.20%), 두산에너빌리티(-0.98%) 등 일부 대표 제조주는 약세를 보였다.

 

 

 

업종별 상승률은 화학(1.69%), 오락문화(1.21%), 전기전자(1.17%) 순이며, 반대로 건설(-1.38%), 증권(-0.92%) 업종은 하락했다. 이는 일부 업종에서의 차익 실현 매물 출회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스닥도 코스피 못지않은 강세를 보였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6.24포인트(0.80%) 상승한 788.75를 기록했다. 장 초반에는 783.63으로 출발해 보합세를 보이다 상승 전환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에코프로비엠(3.19%), 에코프로(1.51%) 등 2차전지 관련주와 함께 레인보우로보틱스(7.14%)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알테오젠(0.26%), HLB(1.13%)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펩트론(-0.10%), 코오롱티슈진(-3.47%) 등 일부 바이오주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금일 지수 상승은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수세가 시장 신뢰를 일정 수준 회복시킨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반도체·2차전지 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회복된 점이 코스피 3,000선 재진입의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

 

기술적으로도 3,000선은 상징적인 지지선 혹은 저항선으로 작용해 왔으며, 이번 돌파가 향후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다만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동성과 미 연준의 금리정책, 중동 정세 등 외부 변수에 따라 등락이 반복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지적도 공존하고 있다.

 

판다부터 궁궐 야경까지! 이번 추석엔 '인생샷' 남기러 떠나자

만들 수 있는 명소들이 풍성한 선물 보따리를 준비했다.서울 잠실 롯데월드 어드벤처는 12일까지 제휴카드 할인(최대 55%)을 제공하며, 4~8일에는 'K-민속 공연 퍼레이드'로 명절 분위기를 더한다. '포켓몬 고스트 파티'와 '호러 아일랜드'로 할로윈 분위기도 미리 만끽할 수 있다.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서는 산리오 캐릭터 교감 프로그램과 한복 아쿠아리스트의 생태설명회가 진행되며, 3일에는 아기 펭귄이 첫 공개된다. 서울스카이에서는 디즈니 캐릭터와 음악회가 하늘 위 낭만을 선사한다.용인 에버랜드는 인기 '케이팝 데몬 헌터스' 테마존에서 축제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4~8일 '민속놀이 한마당'에서는 제기차기, 윷놀이 등을 체험할 수 있으며, 한복 차림의 레니와 라라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특히 국내 탄생 쌍둥이 판다 루이바오·후이바오의 새 보금자리 '판다 세컨드하우스'가 공개되며, 한정판 굿즈도 판매된다.서울랜드는 1일 '귀신동굴'을 오픈, 몰입형 호러 체험을 제공한다. 3~12일 '1988 한가위 골목놀이터'에서는 레트로 게임과 전통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맥주 축제 '비어트립'과 매일 밤 불꽃놀이가 연휴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는다.용인 한국민속촌은 3일부터 12일까지 '추석날의 이집저집' 행사를 개최한다. 이 기간 동안 성주고사, 송편 시연을 비롯한 18가지 전통놀이 체험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특히 4일부터 7일까지는 '강강술래' 특별 공연이 마련되어 명절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예정이다. 더불어 10월 한 달 동안 3대가 함께 방문하는 경우 입장권 43% 할인 혜택도 제공된다.서울의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은 3~9일 무료 개방되며, 10~12일에는 '궁중문화축전'으로 야간에도 아름다운 궁궐을 만날 수 있다. 남산골한옥마을과 운현궁에서는 세시풍속 체험이, 광화문에서는 전통무예 시연이 열린다.서울 청계천 일대는 6~8일 '서울거리예술축제'로 변신, 서커스, 현대무용, 설치미술이 어우러진 공연장이 된다. 수원 화성에서는 12일까지 대형 미디어아트 '새빛 향연'이 성곽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대구에서는 '사진비엔날레'와 이강소 화백 회고전 등 전시가 열리며, 충남 공주·부여의 '백제문화제', 진주의 '남강유등축제' 등 지역 대표 가을 축제도 연휴를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선선한 가을, 도심을 벗어나 숲속에서 여유를 즐기는 것도 좋다. 산림청은 '명품 숲길 10선'을 추천했으며, 6~9일 전국 국립자연휴양림은 무료 개방된다(숙박동 제외). 숲길 산책로, 야영장, 어린이 숲 체험원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립세종수목원 등 전국 수목원들도 3~9일(6일 제외) 무료 개방하여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