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post

경제post

광어·우럭, 금값 회 된 사연? '뜨거운' 바다가 문제!

 지난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양식장에서 집단 폐사가 발생하며 ‘국민 횟감’ 광어와 우럭의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해수 온도 상승으로 치어(어린 물고기) 폐사가 집중되면서 공급량이 급감한 영향이다. 이는 고스란히 소비자 물가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

 

25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 5월 광어와 우럭의 도매가격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며 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우럭은 킬로그램당 1만7813원에 거래되어 전년 동월(1만2800원) 대비 39.2%나 급증했으며, 이는 지난해 폭염이 절정에 달했던 7월(1만3250원)과 8월(1만5750원)의 도매가마저 뛰어넘는 수준이다. 광어 또한 킬로그램당 1만9500원을 기록, 전년 동월(1만7513원) 대비 11.3%, 그리고 지난해 8월 가격(1만6506원)과 비교해도 18.1%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이러한 가격 급등의 핵심 배경은 지난해 여름 장기간 이어졌던 고수온 현상이다. 지난해는 7월 24일부터 10월 2일까지 무려 71일간 수온 28도 이상의 ‘고수온 특보’가 이어졌다. 이는 2017년 고수온 특보 제도 시행 이후 최장 기록으로, 특히 고온에 취약한 치어들이 대량 폐사하며 양식업계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

 


치어 집단 폐사의 여파로 어류 출하량이 현저히 줄었다. 지난달 통계에 따르면, 500g 미만 광어 출하량은 118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9% 감소했으며, 400g 미만 우럭은 79톤에 그쳐 무려 54.9%나 급감했다. 이와 함께 현재 양식장에서 기르고 있는 광어의 양성물량도 8만5천 마리로 전년 대비 32.7% 줄어, 향후 시장 공급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양식장에서는 지난해 가을부터 새로운 치어를 입식하여 키우고 있지만, 단기간 내 수급 회복은 요원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성 있는 횟감으로 자라기까지는 최소 1년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의 공급 부족 현상이 정상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장마철 변수까지 남아 있어 양식 어가와 유통업계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육상에서 유입되는 불순물이 바닷물 생태에 악영향을 미쳐 어류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5~6월 물량은 비교적 안정적이었지만 전체 물량은 확실히 줄어들었다"며 "만약 올해도 이상고온 현상이 이어진다면 추석 이후 다시 한번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이 양식 산업의 안정성을 위협하며,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위 탈출 3종 세트, 대만·라스베이거스·튀르키예의 여름 판타지

선 여행을 떠나보자.대만 타이동 루예 고지에서는 7월 5일부터 8월 21일까지 약 한 달 반 동안 ‘대만 국제 열기구 카니발’이 열린다. 이 축제는 캐릭터 모양의 열기구 전시, 하늘을 나는 듯한 계류 비행 체험, 그리고 음악과 조명이 어우러진 야간 열기구 쇼 등으로 대만을 대표하는 여름 행사다. 특히 올해는 인기 만화 도라에몽과 협업해 도라에몽 테마 열기구와 드론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야간 열기구 조명 음악회는 루예 고지, 타이마리 슈광 단지 등 타이동의 주요 명소에서 매주 목요일 밤을 수놓을 예정이다.또한 루예 지역에서는 차 농장 체험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관광객들은 현지 차 농장에서 직접 차잎을 따고, 대만 차 문화를 체험하며 힐링의 시간을 보낼 수 있다.‘대만 국제 열기구 카니발’과 함께 ‘동부해안 랜드아트 페스티벌’도 주목할 만하다. 대만 동부 해안의 장엄한 자연 풍경과 원주민 문화를 주제로 한 이 축제는 국내외 예술가들이 창작한 설치 미술 작품과 음악 공연으로 방문객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특히, 이번 축제는 장셴얼 예술단지와 협업해 자연과 예술, 건축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전용버스와 관광 열차 상품도 출시되어 편리하게 축제와 명소를 즐길 수 있다.오는 8월 28일, 라스베이거스의 세계 최대 몰입형 공연장 ‘스피어’에서 영화 오즈의 마법사가 새롭게 재탄생한다. 스피어의 몰입형 시리즈 ‘스피어 경험’의 일환으로, 구글 클라우드와 워너 브라더스가 함께 제작했다. 원본 영화를 AI 기술로 복원해 고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고, 스피어의 360도 랩어라운드 스크린과 몰입형 사운드, 진동 시트, 향기 분사 등 최첨단 기술을 더해 관객들에게 마치 영화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듯한 경험을 선사한다.특히, 노란 벽돌길과 에메랄드 시티 같은 상징적인 장면들은 스피어의 압도적인 스케일로 입체적으로 재구성되어 관객들에게 전례 없는 몰입감을 제공한다. 티켓은 스피어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매 가능하며, 숙박 패키지도 함께 제공된다.튀르키예 문화관광부가 주최하는 ‘나이트 뮤지엄 프로젝트’가 올해 6월부터 시즌 2로 돌아왔다. 지난해 첫 선을 보인 이 프로젝트는 전 세계 여행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으며 성공을 거뒀고, 올해는 총 25개의 유적지가 밤에도 개방된다.이스탄불에서는 아야 소피아 역사체험관, 튀르키예 및 이슬람 미술관, 갈라타 타워 등이 밤늦게까지 문을 열며, 수도 앙카라의 아나톨리아 문명박물관과 민족학박물관도 밤 9시까지 운영된다. 이즈미르의 에페소스에서는 밤 11시까지 고대 로마의 흔적을 감상할 수 있으며, 조명이 비추는 대리석 기둥과 극장은 고대 문명의 숨결을 더욱 생생히 느끼게 한다.파묵칼레의 히에라폴리스는 밤에 더욱 신비로운 풍경을 자아낸다. 석회암 지대와 유적이 달빛과 어우러져 독특한 분위기를 선사하며, 카파도키아의 지하도시들은 밤 9시까지 운영되어 낮과는 또 다른 매력을 보여준다. 특히, 넴루트 산에서는 해돋이와 함께 거대한 석상들을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도 제공된다.튀르키예의 유적들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밤의 고요함 속에서 고대 문명과 교감할 수 있는 특별한 여름밤의 추억을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