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post

경제post

'일자리 질'에 좌절한 韓 청년들… "미래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

 세계은행(WB)이 한국을 향해 구조 개혁의 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성장과 일자리 모두를 잃을 것이라는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 카를로스 펠리페 하라밀로 세계은행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부총재는 15일(현지시간)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개혁이 늦춰지면 성장과 일자리가 모두 정체된다"고 단언했다. 특히 그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반에서 나타나는 청년층의 불만을 심각하게 바라봤다. 단순히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취업률의 문제가 아니라, 주어진 일자리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이 미래에 대한 신뢰 자체를 무너뜨릴 수 있는 뇌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과거의 성공 방정식에 안주한 채 개혁을 미루는 사이, 미래 세대의 불만이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는 준엄한 지적이다.

 

하라밀로 부총재는 이러한 문제의 배경으로 인공지능(AI)과 자동화로 대표되는 기술 혁명의 파고를 지목했다. 그는 일자리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보다 노동 수요의 형태가 근본적으로 재편되는 현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거의 기술로는 더 이상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어려운 시대가 도래했다는 의미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그는 두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는 미래 일자리에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혁신하는 것이고, 둘째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신생기업들이 마음껏 성장하며 새로운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는 것이다. 지난 45년간 세계은행이 가장 자주 인용하는 압축성장의 성공 사례였던 한국이지만, 이제는 AI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성장 전략을 짜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충고다.

 


물론 한국 경제를 둘러싼 위협이 내부적인 요인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하라밀로 부총재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을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불확실성 요인으로 꼽았다. 예측 불가능한 무역 갈등이 기업들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성장 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그는 외부 환경이 어려울수록 내부의 체질 개선이 더욱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특히 혁신 기업의 등장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 장벽을 허물고 금융 접근성을 높이는 구조 개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세계은행의 최근 보고서 역시 동아시아 지역의 일자리가 AI보다 로봇 기술의 확산에 더 큰 위협을 받고 있다고 분석하며, 기존 산업의 틀을 깨는 파괴적 혁신 기업의 등장이 절실함을 뒷받침했다.

 

더 이상 원조를 받던 개발도상국이 아닌, 개발 경험과 지식을 전파하는 선진 공여국이 된 한국의 위상 변화도 언급됐다. 세계은행은 이미 한국을 고소득 국가로 분류해 개도국 중심의 동아시아·태평양 경제 성장률 통계에서는 제외하고 있다. 하라밀로 부총재는 "한국은 개도국에 중요한 영감을 주는 나라"라며, 앞으로 세계은행이 한국의 혁신 정책, 인프라 구축, 교육 시스템의 성공 경험을 다른 나라와 공유하는 협력 사업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과거의 성공에 대한 찬사이자, 동시에 높아진 위상만큼 국제 사회에 기여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요구하는 주문이기도 하다. 결국 세계은행의 이번 메시지는 한국이 기로에 서 있으며, 고통스러운 개혁을 감내해야만 미래를 열 수 있다는 채찍질에 가깝다.

 

 

 

"미래 모빌리티, 골프장에서 만나다!" 렉서스, 2025 마스터즈서 전동화 라인업 대거 전시

전동화 모델을 전시하며 브랜드의 미래 비전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렉서스가 추구하는 전동화 전략과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장으로 마련될 전망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렉서스의 첨단 전동화 기술이 집약된 모델들이 대회 현장을 수놓으며, 선수 및 갤러리들에게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선 렉서스만의 가치를 전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는 렉서스의 플래그십 모델부터 프리미엄 SUV 라인업까지 폭넓게 아우르며, 브랜드의 전동화 전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줄 예정이다.대회 기간 동안 갤러리들의 편의를 위해 렉서스의 주요 전동화 모델들이 셔틀버스로 운영된다. 렉서스 LM, LX, NX, RX 등 최신 전동화 모델들이 경기장 곳곳을 누비며 방문객들에게 쾌적하고 특별한 이동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대회 현장 잔디광장에 조성된 ‘렉서스 팬 빌리지’에서는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두 가지 플래그십 모델이 전시된다. 지난 3월 출시된 플래그십 SUV ‘디 올 뉴 LX 700h’와 ‘움직이는 라운지’ 콘셉트를 구현한 플래그십 MPV ‘LM 500h 4인승 로열 그레이드’가 그 주인공이다. 이들 모델은 렉서스만의 독보적인 디자인 철학과 최첨단 기술이 결합된 실내 공간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차별화된 럭셔리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골프 코스 내 주요 홀에서도 렉서스의 전동화 모델들을 만나볼 수 있다. 챔피언 세리머니가 진행되는 18번 홀에는 온·오프로드를 아우르는 강력한 주행 성능과 렉서스 고유의 스핀들 보디 디자인이 돋보이는 ‘LX 700h’가 전시된다. 16번 홀에는 하이브리드 SUV ‘NX 350h’가 자리하며, 이 모델은 홀인원을 달성한 선수에게 부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8번 홀에서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SUV ‘RX 450h+’가, 14번 홀에서는 렉서스의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세단 ‘LS 500h’가 전시되어, 갤러리들은 렉서스의 다양한 전동화 라인업을 한자리에서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는 렉서스가 제공하는 폭넓은 전동화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알리는 동시에, 브랜드의 기술력과 디자인 철학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콘야마 마나부 렉서스코리아 사장은 이번 전시에 대해 “렉서스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고객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다채로운 럭셔리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올해 진행되는 렉서스 마스터즈는 선수와 갤러리 모두 열정과 환호 속에서 렉서스가 추구하는 전동화 비전과 프리미엄 감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무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렉서스코리아는 이번 대회를 통해 브랜드의 전동화 전략을 강화하고, 고객들에게 렉서스만의 독창적인 가치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이번 전시는 렉서스의 미래 지향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고객과의 소통을 확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