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post

경제post

빼빼로데이가 2000억 '굿즈 결제 수단'이 된 비결

 11월 11일, 이 하루에 집중되는 국내 제과 시장의 매출 폭발력은 여전히 놀랍다. 일명 '빼빼로데이'로 불리는 이 기념일은 단순한 막대과자 판매를 넘어, 이제는 K-콘텐츠, 캐릭터 IP(지적재산권), 그리고 팬덤 경제가 격돌하는 연례 마케팅 전쟁터로 진화했다. 30년 전 부산의 한 여고에서 시작된 작은 유행은 어떻게 2000억 원 규모의 '굿즈 플랫폼'으로 변모했을까.

 

빼빼로데이는 발렌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처럼 해외에서 유입된 기념일이 아니다. 1990년대 초, '1이 네 번 겹치는 날 날씬해지자'는 학생들의 덕담에서 비롯된 '자생적 기념일'이라는 점이 이 마케팅의 가장 강력한 레거시(Legacy)다.

 

제조사 롯데웰푸드는 이 우연한 바이럴 현상을 놓치지 않고, 1990년대 중반부터 대대적인 캠페인을 통해 11월 11일을 공식화했다. 이는 단순한 프로모션이 아니라, 소비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관계'라는 무형의 가치를 과자에 투영하는 데 성공한 사례다. 가격이 4배 이상 뛰어도 소비자들이 지갑을 여는 이유는, 과자 자체가 아니라 그 과자를 통해 전달되는 '관계 확인'이라는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빼빼로데이 마케팅의 가장 큰 변화는 '제품 중심'에서 '콘텐츠 및 경험 중심'으로의 피벗이다. 과거 1+1 할인이나 대형 포장 중심이었던 판촉 전략은 이제 캐릭터 IP와 K팝 팬덤을 끌어들이는 '굿즈 경제' 모델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2024년 빼빼로데이는 이 변화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롯데웰푸드는 글로벌 앰배서더인 K팝 그룹 스트레이 키즈를 활용한 한정판 굿즈를 전면에 내세웠고, 버추얼 아이돌 '이세계아이돌', 어린이 콘텐츠 '캐치! 티니핑' 등 이질적인 IP들과도 협업했다.

 

핵심은 "빼빼로를 사면 굿즈를 준다"가 아니라, "굿즈를 얻기 위해 빼빼로를 산다"는 역전 현상이다. 소비자는 더 이상 2000원짜리 과자를 사는 것이 아니라, 3만 원 이상을 결제하고 희소성 있는 팬덤 굿즈나 한정판 캐릭터 상품을 획득하는 '경험'에 투자하는 것이다. 빼빼로는 이제 콘텐츠 플랫폼의 '결제 수단'이자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략적 변화는 결국 소비자가 단순한 막대과자가 아닌, '프리미엄 굿즈를 얻기 위한 매개체'로서 빼빼로를 구매하게 만드는 새로운 소비 심리를 창출했다. 이제 소비자는 과자 자체의 원가 대신, 한정판 굿즈가 주는 '희소성'과 특정 IP를 소유함으로써 얻는 '팬덤 참여의 가치'에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11월 11일은 제과업계의 연례행사를 넘어, K-콘텐츠와 팬덤 경제가 결합된 '기간 한정 팝업 스토어'로 진화하며, 한국 소비 문화의 역동성을 증명하는 살아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겨울 롯데월드는 '티니핑'에 점령당했다…부모들 지갑 열리는 소리 들린다

션 '프린세스 캐치! 티니핑'과 손잡고 겨울 시즌 축제 '트윙클 미라클 윈터'를 개최한다. 이번 축제는 단순한 캐릭터 제휴를 넘어, 파크 전체가 애니메이션 속 세상을 그대로 옮겨 놓은 '티니핑 월드'로 변신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글로벌 IP로 성장한 '캐치! 티니핑' 시리즈의 여섯 번째 시즌을 테마로, 하츄핑, 사뿐핑, 아름핑, 뽀니핑 등 대표 캐릭터들이 파크 곳곳에서 방문객을 맞이하며 분홍빛 겨울의 시작을 알린다. 아이들이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된 듯한 완벽한 몰입감을 선사하기 위해 파크의 모든 공간이 마법 같은 경험으로 가득 채워질 예정이다.방문객들은 파크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티니핑의 세계에 빠져들게 된다. 2층 바르셀로나 광장에는 애니메이션 속 공주가 타던 화려한 열차를 모티프로 한 '마법열차 포토존'이 설치되어 발길을 멈추게 하고, 바로 옆에는 한정판 굿즈를 얻을 수 있는 '티니핑 가챠 존'이 마련되어 사진 촬영과 쇼핑의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한다. 파크의 명물인 '로티트레인' 역시 마법열차 콘셉트로 탈바꿈하여 퍼레이드 코스를 누비며 아이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물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롯데월드는 이번 시즌을 위해 봉제 인형, 피규어 등 무려 80종이 넘는 완구 상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하며 팬들의 소장 욕구를 자극한다. 파크에서의 즐거운 경험이 일상에서도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대대적인 굿즈 라인업을 준비한 것이다.티니핑의 아기자기함에 더해, 겨울 축제 본연의 낭만적인 분위기도 한껏 고조된다. '트윙클 윈터 빌리지'라는 이름 아래, 1층 만남의 광장에는 미디어 아트가 펼쳐지는 초대형 보석 트리가 세워져 시즌의 시작을 알리고, 매직아일랜드로 향하는 길은 눈꽃 조명으로 가득한 '미라클 스노우 로드'로 변신해 도심 속 겨울 산책의 정취를 더한다. 밤이 되면 매직캐슬 외벽에 화려한 미디어 맵핑 쇼가 펼쳐져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절정으로 이끈다. 풍성한 공연 라인업도 빼놓을 수 없다. 실내 공간에 눈이 내리는 환상적인 연출이 더해진 '해피 크리스마스 퍼레이드'가 매일 두 차례 열리고, 장난감 백화점을 배경으로 한 '마법성냥과 꿈꾸는 밤', 빅밴드의 신나는 연주를 즐길 수 있는 '시그니처 밴드쇼' 등 다채로운 무대가 12월 말까지 이어진다.이 모든 것을 보다 합리적으로 즐길 수 있는 풍성한 할인 혜택도 마련됐다. 11월 한 달간 엘페이로 결제하는 엘포인트 회원은 본인과 동반 1인까지 최대 47%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수험표를 지참한 수험생은 11월 30일까지 종합이용권을 2만 6천 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통신사 혜택도 다양해 KT는 11월 말까지, SKT는 12월 15일부터 크리스마스까지 최대 50%에 달하는 할인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각종 제휴카드 및 농협카드 소지자를 위한 할인 프로모션이 연말까지 계속되어 알뜰한 나들이를 계획하는 이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롯데월드는 시즌 내내 티니핑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확대하며 방문할 때마다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겠다고 밝혀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