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post

경제post

내 취향, TV가 다 꿰뚫어 본다…리모컨 붙들게 만드는 LG의 '개미지옥' TV

 LG전자가 자사 스마트 TV의 핵심 콘텐츠 서비스인 'LG 채널'에 대한 대대적인 변신을 선언했다. 서비스 출범 10주년을 맞아 단행된 이번 개편은 단순히 로고를 바꾸는 수준을 넘어, 사용자의 시청 경험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는 LG전자의 야심 찬 포부가 담겨있다. LG 채널은 별도의 유료 구독이나 가입 절차 없이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누구나 광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무료로 즐길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다. LG전자는 이번 개편을 통해 글로벌 33개국에 서비스되는 LG 채널을 단순한 무료 채널의 집합체가 아닌, 사용자의 취향을 정확히 꿰뚫는 개인화된 콘텐츠 플랫폼으로 한 단계 진화시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번 변신의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새롭게 공개된 로고다. 기존의 단조로운 문자 형태에서 벗어나, 서비스 이름인 'LG Channels'의 영문 앞 글자 C와 H를 세련되게 겹쳐놓은 디자인으로 탈바꿈했다. 이는 단순한 디자인 변경을 넘어, LG 채널이 지향하는 핵심 가치를 시각적으로 구현한 결과물이다. LG전자 측은 두 도형이 서로 교차하며 만들어내는 공간을 통해, 세상의 무수한 콘텐츠와 그것을 발견하는 시청자가 만나는 '즐거운 순간'을 형상화했다고 설명했다. 수많은 채널과 프로그램의 홍수 속에서 사용자가 자신만의 콘텐츠를 발견하고 즐기는, 그 역동적인 연결의 순간을 로고에 담아낸 것이다.

 


디자인 변화와 함께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대폭 강화된 콘텐츠 추천 기능이다. 이제 사용자들은 '무엇을 볼까'라는 고민의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 새로운 LG 채널은 홈 화면 전면에 사용자의 시청 이력과 선호도를 AI 알고리즘으로 정밀하게 분석하여 '취향 저격' 콘텐츠를 먼저 제시한다. 마치 나만의 전담 큐레이터가 생긴 것처럼, 끝없는 채널 탐색의 수고로움 없이도 흥미로운 프로그램을 손쉽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시청하던 프로그램이 끝날 무렵에는 그와 연관된 다른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추천해 줌으로써 시청의 흐름이 끊기지 않고 계속해서 즐거움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기능도 추가됐다.

 

LG전자의 이번 행보는 결국 TV를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아닌, 사용자의 시간을 점유하는 핵심 '콘텐츠 플랫폼'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넷플릭스, 유튜브 등 거대 OTT 플랫폼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이라는 차별화된 무기를 더욱 날카롭게 다듬어 사용자를 자사 webOS 생태계 안에 묶어두려는 '락인(Lock-in)' 효과를 노린 것이다. 단순히 볼거리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마음을 먼저 읽고 콘텐츠를 제안하는 이번 개인화 전략이 글로벌 스마트 TV 시장의 치열한 플랫폼 전쟁 속에서 LG전자의 영향력을 얼마나 더 키울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맥도날드 저격'하며 태어난 그 운동, 미국 한복판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다

임의 중심에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도, 새크라멘토가 떠오르고 있다. ‘성스러운 강’이라는 이름의 이 도시는 ‘팜 투 포크(Farm-to-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슬로건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내걸었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항하며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미국 서부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워서, 슬로푸드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테라 마드레(어머니의 땅)’ 축제가 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밖인 바로 이곳 새크라멘토에서 열리는 영광으로 이어졌다. 이는 새크라멘토가 단순한 미식 도시를 넘어, 패스트푸드로 상징되는 현대 문명에 맞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구심점이 되었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새크라멘토가 이처럼 ‘미국의 팜 투 포크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다. 역설적이게도 1852년의 대홍수가 시에라산맥의 비옥한 퇴적물을 센트럴밸리 전역으로 실어 날랐고, 새크라멘토강과 아메리카강이 만나는 풍부한 수량, 강렬한 햇살과 서늘한 저녁 기후가 더해져 농사를 위한 최적의 땅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도시 반경 100km 안에서 거의 모든 식자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요리사의 천국’이 탄생했다.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90% 이상, 세계 3대 자포니카 쌀 생산지, 미국 최대 캐비어 양식장이 이곳에 있으며, 토마토, 올리브, 와인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 들어서는 순간, 숯불 위에서 구워지는 패티와 갓 구운 빵, 신선한 농작물이 뒤섞여 뿜어내는 풍요로운 향기는 이 도시가 가진 땅의 힘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이처럼 거대한 농지가 세계적인 미식 도시로 탈바꿈한 데에는 몇몇 선구자들의 ‘가벼운 우연’과 ‘열정적인 모험’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민 2세대 농부였던 레이 융이 우연히 얻은 둥근 토마토 씨앗을 심었다가 밭 전체를 뒤덮자, 처리를 위해 현지 레스토랑에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팜(농장)’에서 ‘포크(식탁)’로 이어지는 직거래 문화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에 ‘요리계의 인디애나 존스’로 불린 식료품점 아들 대릴 코르티가 가세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누비며 당시 미국에는 생소했던 파르메산 치즈, 트러플, 발사믹 식초 등을 들여와 새크라멘토의 식탁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들의 노력이 씨앗이 되어 2012년, 케빈 존슨 전 시장은 새크라멘토를 ‘미국 팜 투 포크 운동의 수도’로 공식 선언하기에 이르렀다.새크라멘토의 철학은 결국 ‘시간의 회복’으로 귀결된다. 세계적인 셰프 엘리자베스 포크너는 테라 마드레 행사에서 “내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패스트푸드”라며, 아이들의 ‘인앤아웃 햄버거’ 타령에 씁쓸해했다. 그녀에게 패스트푸드와의 싸움은 곧 자신의 요리를 지속하게 하는 동력이다. 포크너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현지 농부와 어부를 직접 만나 제철 식재료를 확인하는 것을 요리의 첫걸음으로 삼는다. 이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생산자와의 관계를 맺고 자연의 리듬을 존중하는 슬로푸드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멕시코계, 아프가니스탄계 이민자들이 기른 작물이 스페인 음식에 매료된 요리사의 손에서 파에야로 재탄생하는 새크라멘토의 식탁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만들어내는 ‘인간적인 시간’ 그 자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