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post

연예post

'예기치 못한 상황'이라더니...지드래곤 방콕 콘서트 취소의 숨겨진 진실

 그룹 '빅뱅'의 멤버 지드래곤의 태국 방콕 콘서트가 갑작스럽게 취소되어 현지 팬들의 실망을 자아내고 있다. 지드래곤의 공식 팬 플랫폼인 팬플러스원닷컴은 10일 소셜 미디어 계정을 통해 콘서트 취소 소식을 공식 발표했다.

 

팬플러스원닷컴은 공지를 통해 "유감스럽게도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8월 2일로 예정되어 있던 지드래곤 월드투어 '위버멘쉬(UEBERMENSCH)' 방콕 공연을 취소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취소 사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팬들의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팬플러스원닷컴은 "많은 분들께 실망과 불편을 끼쳐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태국 팬 여러분들을 곧 다시 뵙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를 덧붙였다. 이는 향후 태국에서의 공연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된다.

 

지드래곤은 지난 3월 경기도 고양에서 솔로 월드투어 '위버멘쉬'의 포문을 열며 화려하게 컴백했다. 이번 투어는 그가 약 7년 만에 진행하는 솔로 월드투어로, 국내외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아왔다. 특히 빅뱅 활동 중단과 군 복무 이후 처음으로 진행하는 대규모 투어라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방콕 공연 취소에도 불구하고 지드래곤의 월드투어는 계속된다. 그는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대만 타이베이 아레나에서 공연을 이어갈 예정이다. 타이베이 공연 티켓은 예매 오픈과 동시에 매진되며 현지 팬들의 높은 기대감을 증명했다.

 


이번 방콕 공연 취소로 인해 티켓을 구매한 팬들은 환불 절차를 밟게 될 것으로 보인다. 팬플러스원닷컴은 티켓 환불에 관한 세부 사항을 추가로 안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지드래곤의 이번 월드투어 '위버멘쉬'는 니체의 철학 개념인 '초인(Übermensch)'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기존의 가치를 뛰어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인간상을 의미하며, 지드래곤이 이번 투어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아티스트로서의 비전과 맞닿아 있다.

 

지드래곤은 빅뱅의 리더이자 프로듀서로서 한국 음악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왔으며, 솔로 활동에서도 '크레용', '삐딱하게', '니가 뭔데', '미치GO' 등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하며 독보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해왔다.

 

이번 방콕 공연 취소가 향후 월드투어 일정에 영향을 미칠지, 또 취소된 방콕 공연이 추후 재개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소속사 측은 아직 추가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호텔 예약 불가능? 올여름 숙박시설이 '만실'된 놀라운 현상의 배후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냉방 시설이 완비된 쇼핑 공간이 '도심 속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호텔업계에 따르면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 영향으로 주요 휴가지 숙박 시설의 예약률이 급증하고 있다. 롯데리조트 속초는 여름 성수기인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객실이 거의 만실 상태에 이르렀으며, 부산 L7해운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예약률이 16% 포인트 높아졌다.특히 호텔 내에서 모든 식사와 활동을 해결할 수 있는 '올인클루시브' 패키지 상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호텔 제주의 올인클루시브 패키지는 7월 판매량이 전월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이 패키지는 2박 전용 상품으로 조식과 석식은 물론, 수영장 풀카페에서 치킨, 자장면, 피자 등의 메뉴를 즐길 수 있는 혜택이 포함되어 있다.호텔신라도 제주와 부산 지역 호텔에서 수영장 식음매장의 짬뽕, 칵테일 등이 포함된 패키지 상품이 호응을 얻고 있다. 서울신라호텔의 경우 투숙 기간 무제한 야외 수영장 이용과 30만원 상당의 호텔 내 식음료 혜택이 제공되는 3연박 패키지가 목표치를 50% 초과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조선호텔앤리조트의 부산 지역 호텔들도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예약률이 작년 동기간 투숙률보다 5% 높아졌다. 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강원, 제주 소재 켄싱턴호텔과 리조트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만실이 예상되며, 강원도의 설악밸리와 설악비치는 이미 객실이 모두 채워졌고, 제주권과 경상권도 예약률이 90%를 넘어섰다.도심 속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폭염 특수를 누리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7월 1일부터 13일까지 매출과 방문객이 각각 15%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매출도 각각 13.7%, 13.5% 늘었다. 특히 7월 11일과 12일 한낮 기온이 36도까지 오르자 에어컨이 가동되는 백화점으로 소비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여름 정기세일 또한 쇼핑객 증가에 한몫했다. 백화점 3사는 6월 27일부터 7월 13일까지 수백 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했으며, 이른 무더위와 여름 휴가철 쇼핑 수요가 맞물려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대형마트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마트는 7월 초반 13일간 매출과 방문객이 전년 동기 대비 5%씩 증가했고,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매장 트레이더스는 방문객이 15%나 급증했다.폭염으로 인해 냉방 관련 상품 수요도 크게 늘었다. 롯데하이마트의 에어컨과 선풍기 매출은 7월 초반 13일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0%, 80%가량 증가했으며, 다이소의 휴대용 선풍기 매출은 두 배 이상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