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post

연예post

차지연-백현진 뛰어넘나…'모범택시3', 분노 유발할 '뉴페이스' 빌런 6인방

 최고 시청률 21%를 돌파하며 한국형 시즌제 드라마의 성공 신화를 쓴 흥행 보증수표 '모범택시'가 세 번째 시즌으로 돌아온다. 동명의 웹툰을 원작으로, 억울한 피해자를 대신해 사적 복수를 완성하는 '무지개 운수'의 활약을 그린 이 작품은 시청자들에게 통쾌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며 확고한 팬덤을 구축했다. 2023년 이후 방영된 모든 드라마를 통틀어 시청률 5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한 만큼, 오는 21일 첫 방송을 앞둔 '모범택시3'를 향한 대중의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러한 기대감 속에서 제작진은 새 시즌의 성공 역시 빌런의 어깨에 달려있다는 듯, 압도적인 존재감을 예고하는 스페셜 포스터를 공개하며 출사표를 던졌다.

 

'모범택시' 시리즈의 성공 공식 중심에는 시청자들의 공분을 자아내는 극악무도한 빌런들이 있었다. 불법 동영상 유포의 주범 박양진(백현진 분)부터, 악의 끝판왕으로 불린 대모 백성미(차지연 분), 교묘한 수법으로 피해자들을 농락한 보이스피싱 총책 림여사(심소영 분)에 이르기까지, 매 시즌 등장한 빌런들은 단순한 악역을 넘어 사회적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다. 이들의 악행이 강렬할수록 김도기(이제훈 분)와 무지개 운수 팀의 복수는 더욱 짜릿한 쾌감을 선사했다. 이번에 공개된 스페셜 포스터는 이러한 성공 계보를 이어갈 새로운 빌런 6인의 등장을 암시한다. 검은 실루엣만으로도 숨 막히는 긴장감을 자아내는 이들의 모습은, 과연 어떤 끔찍한 사건으로 안방극장을 분노로 들끓게 할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킨다.

 


공개된 포스터 속 6인의 빌런은 실루엣만으로도 각기 다른 개성과 사연을 품고 있음을 짐작게 한다. 상반신을 가득 채운 문신으로 야만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인물이 있는가 하면, 가녀리고 아름다운 실루엣 뒤로 얼음장처럼 차가운 아우라를 내뿜는 여성 빌런의 모습도 눈에 띈다. 이처럼 천차만별의 분위기를 자아내는 빌런들의 등장은 시즌3가 더욱 다채롭고 입체적인 에피소드로 채워질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과연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무지개 운수 5인방과 팽팽한 대립각을 세우게 될지, 그리고 이들을 연기하며 극의 몰입도를 책임질 배우들의 정체는 누구일지 시청자들의 추리력을 자극하고 있다.

 

연출을 맡은 강보승 감독은 빌런 캐릭터 구축에 심혈을 기울였음을 자신했다. 그는 "다양한 빌런에 따라 변하는 김도기의 부캐와 액션이 관전 포인트"라고 밝히며, 각 빌런의 캐릭터와 서사를 빌드업하는 과정은 물론, 그들의 배경이 되는 공간의 미술적인 완성도까지 공을 들였다고 전했다. 또한, 새로운 빌런으로 합류한 배우들의 폭발적인 연기 에너지를 온전히 담아내기 위해 카메라 연출에도 각별히 신경 썼음을 귀띔했다. 이처럼 제작진의 자신감과 더욱 강력해진 빌런들의 합류는 '모범택시3'가 전 시즌을 뛰어넘는 짜릿한 카타르시스와 함께 돌아올 것을 예고하며, 첫 방송에 대한 기대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다.

 

'맥도날드 저격'하며 태어난 그 운동, 미국 한복판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다

임의 중심에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도, 새크라멘토가 떠오르고 있다. ‘성스러운 강’이라는 이름의 이 도시는 ‘팜 투 포크(Farm-to-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슬로건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내걸었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항하며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미국 서부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워서, 슬로푸드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테라 마드레(어머니의 땅)’ 축제가 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밖인 바로 이곳 새크라멘토에서 열리는 영광으로 이어졌다. 이는 새크라멘토가 단순한 미식 도시를 넘어, 패스트푸드로 상징되는 현대 문명에 맞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구심점이 되었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새크라멘토가 이처럼 ‘미국의 팜 투 포크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다. 역설적이게도 1852년의 대홍수가 시에라산맥의 비옥한 퇴적물을 센트럴밸리 전역으로 실어 날랐고, 새크라멘토강과 아메리카강이 만나는 풍부한 수량, 강렬한 햇살과 서늘한 저녁 기후가 더해져 농사를 위한 최적의 땅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도시 반경 100km 안에서 거의 모든 식자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요리사의 천국’이 탄생했다.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90% 이상, 세계 3대 자포니카 쌀 생산지, 미국 최대 캐비어 양식장이 이곳에 있으며, 토마토, 올리브, 와인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 들어서는 순간, 숯불 위에서 구워지는 패티와 갓 구운 빵, 신선한 농작물이 뒤섞여 뿜어내는 풍요로운 향기는 이 도시가 가진 땅의 힘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이처럼 거대한 농지가 세계적인 미식 도시로 탈바꿈한 데에는 몇몇 선구자들의 ‘가벼운 우연’과 ‘열정적인 모험’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민 2세대 농부였던 레이 융이 우연히 얻은 둥근 토마토 씨앗을 심었다가 밭 전체를 뒤덮자, 처리를 위해 현지 레스토랑에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팜(농장)’에서 ‘포크(식탁)’로 이어지는 직거래 문화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에 ‘요리계의 인디애나 존스’로 불린 식료품점 아들 대릴 코르티가 가세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누비며 당시 미국에는 생소했던 파르메산 치즈, 트러플, 발사믹 식초 등을 들여와 새크라멘토의 식탁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들의 노력이 씨앗이 되어 2012년, 케빈 존슨 전 시장은 새크라멘토를 ‘미국 팜 투 포크 운동의 수도’로 공식 선언하기에 이르렀다.새크라멘토의 철학은 결국 ‘시간의 회복’으로 귀결된다. 세계적인 셰프 엘리자베스 포크너는 테라 마드레 행사에서 “내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패스트푸드”라며, 아이들의 ‘인앤아웃 햄버거’ 타령에 씁쓸해했다. 그녀에게 패스트푸드와의 싸움은 곧 자신의 요리를 지속하게 하는 동력이다. 포크너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현지 농부와 어부를 직접 만나 제철 식재료를 확인하는 것을 요리의 첫걸음으로 삼는다. 이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생산자와의 관계를 맺고 자연의 리듬을 존중하는 슬로푸드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멕시코계, 아프가니스탄계 이민자들이 기른 작물이 스페인 음식에 매료된 요리사의 손에서 파에야로 재탄생하는 새크라멘토의 식탁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만들어내는 ‘인간적인 시간’ 그 자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