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post

연예post

'꽃할배' 인연 때문이었나…故 이순재 비보에 나영석 PD 반응

 연예계에 또 하나의 큰 별이 졌다. 배우 이순재가 25일 새벽 향년 90세의 나이로 별세했다는 비보가 전해지며 대한민국 전체가 깊은 슬픔에 잠겼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오전에는 나영석 PD 사단의 새로운 야심작, 넷플릭스 예능 '케냐 간 세끼'의 제작발표회가 예정되어 있어 많은 이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나영석, 김예슬 PD를 비롯해 이수근, 은지원, 규현 등 주요 출연진이 모두 참석하는 행사였기에, 갑작스러운 비보 속에서 행사가 과연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쏠렸다. 새로운 예능의 유쾌한 출발을 알려야 하는 자리가 국민 배우를 떠나보내는 애도의 날과 겹치게 된 것이다.

 

'케냐 간 세끼' 제작진은 깊은 고심 끝에 제작발표회를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대신, 행사를 예정대로 진행하되 고인을 기리는 추모의 시간을 갖기로 결정했다. 이는 단순히 연예계 선배에 대한 의례적인 예우를 넘어선, 나영석 PD와 고인 사이의 각별했던 인연에서 비롯된 결단이었다. 두 사람은 과거 tvN의 국민 예능 '꽃보다 할배' 시리즈를 통해 단순한 연출자와 출연자의 관계를 넘어 세대를 초월한 깊은 유대감과 존경심을 나눠왔다. 나 PD에게 이순재는 프로그램의 중심을 잡아준 든든한 '왕할배'이자, 인생의 지혜를 가르쳐준 스승과도 같은 존재였기에 슬픔은 더욱 클 수밖에 없었다.

 


제작진은 행사 시작에 앞서 공식 입장을 통해 "배우 이순재 선생님의 별세 소식에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라고 전하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이어 "오늘 제작발표회는 변동 없이 진행되지만, 행사 중 이순재 선생님을 기리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고 공지하며, 웃음과 재미를 선사해야 하는 예능 프로그램의 제작발표회임에도 불구하고 고인에 대한 진심 어린 추모의 뜻을 먼저 밝히는 성숙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피할 수 없는 비보 앞에서 슬픔을 함께 나누고, 위대한 배우의 마지막 길을 예우하려는 제작진의 진심 어린 고민이 묻어나는 대목이었다.

 

결국 이날 '케냐 간 세끼' 제작발표회는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과 국민 배우를 잃은 슬픔이 교차하는 가운데 엄숙하게 진행되었다. 나영석 PD를 비롯한 출연진들은 고인과의 소중했던 추억을 되새기며 애도의 뜻을 표했고, 현장에 모인 취재진과 관계자들 역시 숙연한 분위기 속에서 고인을 추모했다. 한바탕 웃음으로 가득 차야 할 행사는 한 시대의 거목이었던 대배우를 기리는 의미 있는 자리로 변모하며, 연예계 동료들의 슬픔과 존경 속에서 고 이순재의 마지막 길을 함께 배웅하는 시간이 되었다.

 

 

 

'맥도날드 저격'하며 태어난 그 운동, 미국 한복판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다

임의 중심에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도, 새크라멘토가 떠오르고 있다. ‘성스러운 강’이라는 이름의 이 도시는 ‘팜 투 포크(Farm-to-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슬로건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내걸었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항하며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미국 서부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워서, 슬로푸드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테라 마드레(어머니의 땅)’ 축제가 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밖인 바로 이곳 새크라멘토에서 열리는 영광으로 이어졌다. 이는 새크라멘토가 단순한 미식 도시를 넘어, 패스트푸드로 상징되는 현대 문명에 맞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구심점이 되었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새크라멘토가 이처럼 ‘미국의 팜 투 포크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다. 역설적이게도 1852년의 대홍수가 시에라산맥의 비옥한 퇴적물을 센트럴밸리 전역으로 실어 날랐고, 새크라멘토강과 아메리카강이 만나는 풍부한 수량, 강렬한 햇살과 서늘한 저녁 기후가 더해져 농사를 위한 최적의 땅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도시 반경 100km 안에서 거의 모든 식자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요리사의 천국’이 탄생했다.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90% 이상, 세계 3대 자포니카 쌀 생산지, 미국 최대 캐비어 양식장이 이곳에 있으며, 토마토, 올리브, 와인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 들어서는 순간, 숯불 위에서 구워지는 패티와 갓 구운 빵, 신선한 농작물이 뒤섞여 뿜어내는 풍요로운 향기는 이 도시가 가진 땅의 힘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이처럼 거대한 농지가 세계적인 미식 도시로 탈바꿈한 데에는 몇몇 선구자들의 ‘가벼운 우연’과 ‘열정적인 모험’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민 2세대 농부였던 레이 융이 우연히 얻은 둥근 토마토 씨앗을 심었다가 밭 전체를 뒤덮자, 처리를 위해 현지 레스토랑에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팜(농장)’에서 ‘포크(식탁)’로 이어지는 직거래 문화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에 ‘요리계의 인디애나 존스’로 불린 식료품점 아들 대릴 코르티가 가세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누비며 당시 미국에는 생소했던 파르메산 치즈, 트러플, 발사믹 식초 등을 들여와 새크라멘토의 식탁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들의 노력이 씨앗이 되어 2012년, 케빈 존슨 전 시장은 새크라멘토를 ‘미국 팜 투 포크 운동의 수도’로 공식 선언하기에 이르렀다.새크라멘토의 철학은 결국 ‘시간의 회복’으로 귀결된다. 세계적인 셰프 엘리자베스 포크너는 테라 마드레 행사에서 “내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패스트푸드”라며, 아이들의 ‘인앤아웃 햄버거’ 타령에 씁쓸해했다. 그녀에게 패스트푸드와의 싸움은 곧 자신의 요리를 지속하게 하는 동력이다. 포크너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현지 농부와 어부를 직접 만나 제철 식재료를 확인하는 것을 요리의 첫걸음으로 삼는다. 이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생산자와의 관계를 맺고 자연의 리듬을 존중하는 슬로푸드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멕시코계, 아프가니스탄계 이민자들이 기른 작물이 스페인 음식에 매료된 요리사의 손에서 파에야로 재탄생하는 새크라멘토의 식탁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만들어내는 ‘인간적인 시간’ 그 자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