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단신

사회&단신

2013년 도입된 임산부 배려석, 8년 지났는데도 '배려는 실종'... 시민들 '권리 아닌 배려' 논쟁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이 본래 취지와 달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정작 임산부들은 배려석에 앉지 못하고 서 있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에서는 임산부 배려석을 둘러싼 불편한 경험이 공유됐다. 글쓴이 A씨는 지하철에서 목격한 상황을 전했는데, 임산부 배려석에 노인이 신발을 벗고 편하게 앉아있는 동안 임산부 배지를 단 여성이 서 있어야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다른 임산부 배려석에는 배가 나온 중년 남성이 앉아있었으며, 결국 임산부는 외국인 엄마와 아이가 자리를 양보해줘서야 앉을 수 있었다고 한다.

 

A씨는 "너무 더운 날이고 지친 거 이해하는데 굳이 비어 있는 노약자석으로 자리 옮기기 귀찮아서 만삭인 임신부를 무시했을까"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또한 "자리 비켜준 외국인 엄마와 아이에게도 부끄럽고 평소 배려가 아닌 의무감으로 핑크 자리를 비워둔 나도 돌아보게 된다"고 성찰했다.

 

A씨는 일부 임산부들의 태도 때문에 배려석에 대한 반감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배려석을 자리 맡겨둔 것처럼 '당연히 내 자린데' 하는 극단적인 임산부들 때문에 더 반감이 있었나 보다"라며 "현실은 임산부석이라고 말 한마디 못 하고 기를 쓰고 무시하는 사람 앞에 배지만 달랑달랑 보이는 여성분들이 대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이 글에 대한 반응으로, 한 누리꾼은 출근길에 젊은 남성이 임산부 배려석에서 자고 있는 모습을 사진으로 공유하기도 했다. 이에 다양한 의견이 이어졌다. "남자가 앉든 여자가 앉든 중요한 게 아니다. 정작 필요할 때 임산부들이 못 앉더라", "배려일 뿐 권리는 아니다. 대신 몰래 사진 찍어 올리는 건 범죄", "초기 임산부를 위해 자리 비워두는 게 맞다. 배려 좀 하면서 살자", "고맙다는 인사 안 하는 일부 임산부 때문에 자리 양보하기 싫더라" 등 다양한 시각이 표출됐다.

 

지하철 내부에 설치된 임산부 배려석은 2013년에 도입됐으며, 임신과 출산을 장려하고 임산부 배려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법적 의무가 아닌 '배려'의 성격을 띠고 있어 실제 현장에서는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임산부들은 배려석임에도 불구하고 자리를 양보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요청하기도 어려운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은 임산부 배려석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며, 사회적 배려 문화의 정착이 아직 미흡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배려석이 단순한 표식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배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시민의식의 향상과 함께 보다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제가 두려워했던 그 길을 따라간다... 광복절 하루만 운행되는 '비밀 열차' 뭐길래?

로그램은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역사적 현장을 열차로 연결하는 의미 있는 여정으로 구성되었다.8·15 독립열차는 수도권 주요 역사를 출발점으로 하여 전국 8개 지역의 독립운동 관련 사적지를 방문하는 12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마련되었다. 여행객들의 일정과 선호도에 맞춰 당일형과 1박 2일형으로 나누어 운영되며, KTX, SRT, 무궁화호, S-train 등 다양한 정기열차를 활용한 연계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이번 독립열차의 대표적인 코스로는 경남 밀양과 경북 청도를 잇는 1박 2일 여행이 있다. 이 코스는 의열기념관에서 항일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배우고, 국립청도숲체원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힐링 시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인기 코스로는 '백투더 1930's 군산 타임슬립'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모습을 간직한 군산 근대문화거리와 항일독립운동기념관을 방문하여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경험할 수 있다.강원도 춘천을 방문하는 당일 여행 코스도 눈길을 끈다. 이 코스는 강원 광복기념관에서 지역의 독립운동 역사를 살펴보고, 소양강 스카이워크에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감상하는 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교육과 관광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균형 잡힌 프로그램이다.항일 운동의 역사를 배우는 당일 여행 옵션도 다양하게 마련되었다. 유관순 열사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는 유관순열사기념관과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역사를 총망라한 독립기념관을 연계한 천안 노선이 대표적이다. 또한 제천의병전시관과 배론성지를 방문하는 제천 노선도 독립운동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광복절 다음 날인 8월 16일에는 분단의 현실을 체험하는 'DMZ열차'도 특별 운행된다. 서울역(경의선)을 출발하여 코스에 따라 김포애기봉전망대, 파주 캠프그리브스, DMZ숲, 도라산전망대 등 분단의 상징적인 장소들을 방문한다. 특히 DMZ평화누리 캠핑 상품도 마련되어 있어 자연 속에서 평화의 의미를 되새기는 특별한 경험도 가능하다.이번 독립열차 프로그램의 가격은 당일형 기준 1인당 5만9000원부터, 1박 2일은 19만9000원부터 책정되었다. 이 가격에는 왕복 열차비, 현지 연계 차량, 관광지 입장료, 일부 식사 등이 포함되어 있어 경제적인 여행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참가자에게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태극기 뱃지가 증정된다.권백신 코레일관광개발 대표이사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특별히 준비한 이번 '독립열차'는 단순한 여행을 넘어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지역과 함께 호흡하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했다.이번 8·15 독립열차는 방학 시즌과 맞물려 가족 단위 여행객들에게 역사 교육과 휴양을 동시에 제공하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광복 8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에 우리 역사를 되돌아보고 선조들의 독립 의지를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