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단신

사회&단신

2013년 도입된 임산부 배려석, 8년 지났는데도 '배려는 실종'... 시민들 '권리 아닌 배려' 논쟁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이 본래 취지와 달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정작 임산부들은 배려석에 앉지 못하고 서 있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에서는 임산부 배려석을 둘러싼 불편한 경험이 공유됐다. 글쓴이 A씨는 지하철에서 목격한 상황을 전했는데, 임산부 배려석에 노인이 신발을 벗고 편하게 앉아있는 동안 임산부 배지를 단 여성이 서 있어야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다른 임산부 배려석에는 배가 나온 중년 남성이 앉아있었으며, 결국 임산부는 외국인 엄마와 아이가 자리를 양보해줘서야 앉을 수 있었다고 한다.

 

A씨는 "너무 더운 날이고 지친 거 이해하는데 굳이 비어 있는 노약자석으로 자리 옮기기 귀찮아서 만삭인 임신부를 무시했을까"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또한 "자리 비켜준 외국인 엄마와 아이에게도 부끄럽고 평소 배려가 아닌 의무감으로 핑크 자리를 비워둔 나도 돌아보게 된다"고 성찰했다.

 

A씨는 일부 임산부들의 태도 때문에 배려석에 대한 반감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배려석을 자리 맡겨둔 것처럼 '당연히 내 자린데' 하는 극단적인 임산부들 때문에 더 반감이 있었나 보다"라며 "현실은 임산부석이라고 말 한마디 못 하고 기를 쓰고 무시하는 사람 앞에 배지만 달랑달랑 보이는 여성분들이 대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이 글에 대한 반응으로, 한 누리꾼은 출근길에 젊은 남성이 임산부 배려석에서 자고 있는 모습을 사진으로 공유하기도 했다. 이에 다양한 의견이 이어졌다. "남자가 앉든 여자가 앉든 중요한 게 아니다. 정작 필요할 때 임산부들이 못 앉더라", "배려일 뿐 권리는 아니다. 대신 몰래 사진 찍어 올리는 건 범죄", "초기 임산부를 위해 자리 비워두는 게 맞다. 배려 좀 하면서 살자", "고맙다는 인사 안 하는 일부 임산부 때문에 자리 양보하기 싫더라" 등 다양한 시각이 표출됐다.

 

지하철 내부에 설치된 임산부 배려석은 2013년에 도입됐으며, 임신과 출산을 장려하고 임산부 배려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법적 의무가 아닌 '배려'의 성격을 띠고 있어 실제 현장에서는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임산부들은 배려석임에도 불구하고 자리를 양보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요청하기도 어려운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은 임산부 배려석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며, 사회적 배려 문화의 정착이 아직 미흡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배려석이 단순한 표식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배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시민의식의 향상과 함께 보다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