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단신

사회&단신

의사 엄마보다 더 버는 AI 연구원 아들... 정은경 후보자 가족 '억대 연봉' 실체 공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공계 출신인 아들이 의사인 어머니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회에 제출된 인사청문회 자료에 따르면, 정 후보자의 장남(32)은 국내 대기업 경영개발원에서 AI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그는 KAIST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전문연구요원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 올해 상반기에만 급여 3270만원, 상여금 4569만원을 포함해 총 7839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반면 서울대 의대 출신 가정의학과 전문의이자 서울대 의대 교수로 재직 중인 정 후보자는 같은 기간 서울대병원에서 7576만원을 받았다. 이는 아들의 소득보다 263만원 적은 금액이다. 지난해에는 정 후보자의 연봉이 1억5927만원으로 아들의 1억4603만원보다 많았지만, 아들의 연봉은 정 후보자가 질병관리청장으로 재직했던 2020년(1억4128만원)과 2021년(1억4533만원)의 소득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사례는 최근 의대 쏠림 현상과 이공계 기피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이공계 진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AI 분야의 성장과 함께 관련 전문가에 대한 처우가 크게 개선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정 후보자의 남편(64) 역시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다. 서울대 의대 출신 가정의학과 전문의인 남편은 현재 인천의 한 병원에서 과장으로 근무하며 지난해 1억8942만원, 2023년에는 1억8101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2022년에는 경남 창녕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며 1억2510만원을 벌었다.

 

정 후보자의 두 아들 모두 억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남은 2024년식 싼타페 하이브리드 차량(4344만원)과 함께 예금 3억2744만원, 주식 6251만원을 신고했다. 차남(31) 역시 형과 마찬가지로 이공계인 포항공대를 졸업했으며, 예금 1억8443만원과 주식 6249만원을 보유하고 있다.

 

정 후보자 가족의 사례는 우리 사회에서 의료계와 이공계 모두 안정적인 고소득 직업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AI와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고소득 직군으로 여겨졌던 의사 이상의 보수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최근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논란과 함께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공계 진로의 경쟁력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정 후보자 가족의 높은 소득과 자산은 인사청문회에서 특혜 의혹 등 논란의 소지가 될 가능성도 있어 정 후보자의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바가지요금' 사라졌다?... 관광객 급증의 충격적 이유

률을 살펴보면, 지난 2월 -18.2%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3월(-13.9%), 4월(-7.4%), 5월(-1.2%)로 감소 폭이 점차 줄어들었다. 그리고 6월에는 1%, 7월에는 4.1%(잠정) 증가세로 전환되며 회복 신호를 보였다. 제주도는 이러한 회복세가 제주 기점 해외 직항노선 확대에 따른 외국인 관광객 증가뿐만 아니라 내국인 관광객의 회복세가 두드러진 결과라고 분석했다.구체적으로 내국인 관광객 수는 본격적인 여름 성수기가 시작된 지난달 25일, 전년(3만6816명) 대비 2.6% 증가한 3만7770명이 제주를 찾았다. 이어서 지난달 26일(토요일)에도 전년 대비 8.9% 늘었고, 이달 2일(토요일)에도 6.7% 증가했다. 이는 여름 성수기 초입에 들어서며 제주 여행 수요가 눈에 띄게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글로벌 온라인 여행사(OTA) 트립닷컴의 집계 결과도 이러한 추세를 뒷받침한다. 7~8월 여름휴가 시즌 전체 항공권 예약이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가운데, 제주도가 예약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제주 지역 렌터카 예약도 전년 대비 138%나 증가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트립닷컴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자연 친화적인 여행지에 대한 선호와, 합리적인 소비를 중시하는 여행 트렌드가 맞물리면서 제주가 다시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제주 관광 반등의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단체관광 인센티브 제공, 제주여행주간, 찾아가는 대도시 팝업 이벤트 등 공격적 마케팅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바가지 요금으로 인한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자정 노력이 큰 역할을 했다.제주도는 대국민 신뢰 회복을 위한 '가성비 협의체' 출범, 해수욕장 파라솔·평상 요금 동결 등의 정책을 시행했고, 관광업계도 '착한 가격' 확산에 적극 동참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제주도의 이미지 개선과 관광객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홍종민 트립닷컴 한국 지사장은 "올여름 휴가지로 해외보다 국내 여행을 선호하는 수요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비용 대비 만족도를 중시하고, 가까운 거리에서 효율적으로 여행을 즐기려는 소비자 트렌드가 뚜렷해지면서 제주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이러한 추세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패턴과도 연관이 있다. 해외여행이 완전히 정상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내 여행객들이 접근성이 좋고 자연 경관이 뛰어난 제주도를 여전히 매력적인 휴가지로 선택하고 있다. 특히 합리적인 가격에 질 높은 여행 경험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가 제주도의 자정 노력과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결과적으로 제주도는 연초의 침체에서 벗어나 여름 성수기를 맞아 관광객 수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