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단신

사회&단신

의사 엄마보다 더 버는 AI 연구원 아들... 정은경 후보자 가족 '억대 연봉' 실체 공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공계 출신인 아들이 의사인 어머니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회에 제출된 인사청문회 자료에 따르면, 정 후보자의 장남(32)은 국내 대기업 경영개발원에서 AI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그는 KAIST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전문연구요원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 올해 상반기에만 급여 3270만원, 상여금 4569만원을 포함해 총 7839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반면 서울대 의대 출신 가정의학과 전문의이자 서울대 의대 교수로 재직 중인 정 후보자는 같은 기간 서울대병원에서 7576만원을 받았다. 이는 아들의 소득보다 263만원 적은 금액이다. 지난해에는 정 후보자의 연봉이 1억5927만원으로 아들의 1억4603만원보다 많았지만, 아들의 연봉은 정 후보자가 질병관리청장으로 재직했던 2020년(1억4128만원)과 2021년(1억4533만원)의 소득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사례는 최근 의대 쏠림 현상과 이공계 기피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이공계 진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AI 분야의 성장과 함께 관련 전문가에 대한 처우가 크게 개선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정 후보자의 남편(64) 역시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다. 서울대 의대 출신 가정의학과 전문의인 남편은 현재 인천의 한 병원에서 과장으로 근무하며 지난해 1억8942만원, 2023년에는 1억8101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2022년에는 경남 창녕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며 1억2510만원을 벌었다.

 

정 후보자의 두 아들 모두 억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남은 2024년식 싼타페 하이브리드 차량(4344만원)과 함께 예금 3억2744만원, 주식 6251만원을 신고했다. 차남(31) 역시 형과 마찬가지로 이공계인 포항공대를 졸업했으며, 예금 1억8443만원과 주식 6249만원을 보유하고 있다.

 

정 후보자 가족의 사례는 우리 사회에서 의료계와 이공계 모두 안정적인 고소득 직업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AI와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고소득 직군으로 여겨졌던 의사 이상의 보수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최근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논란과 함께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공계 진로의 경쟁력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정 후보자 가족의 높은 소득과 자산은 인사청문회에서 특혜 의혹 등 논란의 소지가 될 가능성도 있어 정 후보자의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의 첫 희생양? 승객들 '터미널 혼란' 불가피

은 자신이 이용하는 항공편의 터미널 위치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에어부산이 7월 29일부터 T2로 이전을 완료했으며, 이날 0시 이후 도착한 승객들은 T2를 통해 입국했다. 오전 6시 50분 후쿠오카행 BX156편이 T2에서 첫 출발편으로 기록됐으며, 승객들은 T2 수속 카운터 E11~E20에서 탑승 수속을 진행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쾌적한 공항 환경 제공과 승객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기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고 밝혔다.에어부산은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전 결정 이후부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전 안내를 진행해왔다. 수속 카운터에 홍보물을 배치하고, 공항 키오스크, 공식 홈페이지, 모바일 웹·앱, SNS 채널을 활용했으며, 예약 승객을 대상으로 안내 문자와 알림톡을 발송하는 등 대내외 홍보 수단을 총동원했다.만약 승객이 실수로 T1에 도착한 경우에 대비해, 에어부산은 한 달간 긴급수송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터미널 이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에어부산의 이전을 시작으로, 에어서울은 오는 9월,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부터 각각 T2에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터미널 이전 문제는 공항 주차장과 제반 준비 문제 등으로 논의가 장기화됐으나, 최근 서울지방항공청과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회의를 통해 내년 1월 중으로 이전 시점을 최종 합의했다.주의할 점은 공동운항편(코드셰어)과 항공사 사정에 따라 실제 출입국 터미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들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출발 전 전자항공권(E-티켓)을 확인하거나 인천국제공항 홈페이지 내 항공편 검색을 통해 정확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터미널 이전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로, 양사의 통합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승객들은 앞으로 몇 개월간 인천공항을 이용할 때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탑승 터미널을 확인하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항에 도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