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단신

사회&단신

2년 전 '중국산' 딱지 떼줬더니…'일본 김치'로 뒤통수 친 독일 국민마트

 독일의 대표적인 유통 기업 알디(ALDI)가 자사 홈페이지에 김치를 '일본 김치'로 소개해 또다시 역사 왜곡 논란의 중심에 섰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7일, 독일 현지 교민의 제보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히며 즉각적인 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문제가 된 내용은 알디 홈페이지의 김치 레시피 소개 코너로, 'Japanisches Kimchi'(일본 김치)라는 명칭을 버젓이 사용하고 있었다. 알디가 연 매출 45조 원 이상을 기록하며 독일을 넘어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전역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초대형 유통 그룹이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단순한 표기 실수를 넘어 유럽 내 김치 인식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알디의 김치 관련 왜곡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공분을 사고 있다. 불과 얼마 전에는 김치 제품을 판매하며 '중국 김치'라고 표기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된 바 있으며,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 왜곡의 뿌리는 더 깊다. 서 교수에 따르면 약 2년 전, 알디는 자사 김치 제품에 독일어와 이탈리아어로 '중국에서 기원(Original aus China)'했다는 문구를 명시해 판매했다. 당시 서 교수의 강력한 항의 메일을 받고 해당 문구를 삭제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이후에도 '중국 김치', '일본 김치' 표기가 연이어 등장하며 근본적인 문제가 전혀 개선되지 않았음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다. 이는 알디 측이 과거의 잘못에 대해 진정한 반성 없이, 문제를 임시방편으로 덮는 데만 급급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만든다.

 


반복되는 역사 왜곡에 독일 현지 한인 사회도 분노하며 직접 행동에 나섰다. 현재 독일 교민들은 알디 측에 '중국 김치'와 '일본 김chi' 표기를 즉각 삭제하고 올바른 정보로 수정할 것을 요구하는 항의 메일을 지속적으로 보내며 조직적인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방치될 경우, 김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대다수의 유럽인들에게 김치가 한국의 전통 음식이 아닌 중국이나 일본의 음식으로 오인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서 교수는 "잘못된 정보가 한번 퍼지기 시작하면 바로잡는 데에는 몇 배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반드시 올바른 표기로 바꿔야만 한다"고 이번 사안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결국 서경덕 교수는 이번 사태를 바로잡기 위해 현지 교민들과의 공조를 선언했다. 그는 "독일 한인들과 힘을 합쳐 반드시 시정을 이끌어내겠다"고 밝히며, 과거 '중국 기원' 문구를 삭제시켰던 경험을 바탕으로 또 한 번의 성공적인 바로잡기를 다짐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식문화유산인 김치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이들의 노력이, 유럽의 거대 유통 기업의 안일하고 무책임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한 기업의 실수를 지적하는 것을 넘어, 해외 시장에 진출한 한국 문화 콘텐츠의 올바른 표기와 인식을 확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

 

한 달 만에 15만 명 다녀갔다…넷플릭스 손잡은 에버랜드, '케데헌'으로 대박 터트린 비결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를 테마로 한 다채로운 콘텐츠를 선보였으며, 이는 지난 한 달간 약 15만 명의 관람객을 끌어모으는 기염을 토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테마파크가 글로벌 IP와 만나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한 대표적인 사례로, 공식 오픈 전부터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케데헌 열풍'을 예고하며 큰 기대를 모았다. 단순한 캐릭터 도입을 넘어, 테마파크의 공간과 콘텐츠에 애니메이션의 세계관을 완벽하게 녹여내며 방문객들에게 전에 없던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이번 협업의 백미는 단연 밤하늘을 화려하게 수놓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싱어롱 불꽃쇼'다. '골든(Golden)', '하우 잇츠 던(How It’s Done)' 등 작품 속 주옥같은 OST가 울려 퍼지면, 수천 발의 불꽃이 음악에 맞춰 밤하늘을 황금빛으로 물들인다. 에버랜드는 기존 불꽃쇼 대비 연출 규모를 약 25% 확대하고, 포시즌스가든의 초대형 LED 스크린과 몰입형 사운드 시스템을 결합하여 마치 애니메이션 속 콘서트 현장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매일 밤 4천여 명의 관객이 운집하는 이 공연에서는 음악을 따라 부르는 '떼창'이 자연스럽게 연출되며, 선선한 가을밤의 정취와 함께 잊지 못할 감동과 장관을 선사하고 있다.낮 시간 동안에는 가족 단위 방문객과 작품의 팬들로 '케데헌 테마존'이 인산인해를 이룬다. 지난 9월 말 문을 연 테마존은 개장과 동시에 '오픈런' 행렬이 이어질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증명했다. 수십만 팔로워를 보유한 유튜버 '서이브', '예콩이네' 등이 방문 인증 콘텐츠를 올리며 온라인상에서 '꼭 가봐야 할 핫플레이스'로 입소문을 탔다. 특히, 작품 속 캐릭터의 목소리를 연기한 김예림, 강수진 성우가 직접 테마존을 체험하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팬들의 방문 열기는 더욱 뜨거워졌다. 현장에는 '헌트릭스', '사자 보이즈' 등 작품 속 요소를 그대로 재현한 체험 공간이 마련되어, 방문객들은 캐릭터 의상을 입고 OST에 맞춰 춤을 추는 등 오감으로 작품의 세계를 즐기고 있다.협업의 성공은 굿즈 판매량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에버랜드가 단독으로 선보인 40여 종의 한정판 콜라보 굿즈는 팬들의 소장 욕구를 자극하며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그중에서도 귀여운 판다 인형에 작품 속 캐릭터 '더피'의 모자를 씌운 '판다 더피 인형'은 출시 직후 품절 대란을 일으키며 '머스트 해브 아이템'으로 등극했다. 현재까지 콜라보 굿즈의 누적 판매량은 4만 개를 돌파하며, 콘텐츠의 인기가 실질적인 소비로 이어지는 성공 공식을 입증했다. 에버랜드는 케데헌 협업 외에도 다채로운 가을 축제를 함께 운영하며, 단풍 시즌을 맞아 더 많은 방문객이 파크를 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