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단신

사회&단신

서울 지하철, '먹방 민원' 4천 건 폭발

 "냄새가 심해 토할 것 같다", "옆에서 술을 마신다." 서울 지하철 객실이 일부 승객들의 '식당'으로 변질되면서, 지난 5년간 음식물 및 주류 섭취 관련 민원이 4,197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온라인을 뜨겁게 달군 '보쌈 식사' 논란처럼, 대중교통 내 공공질서와 개인의 자유가 충돌하는 현주소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서울시의회 윤영희 의원(국민의힘)이 서울교통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하철 내 취식 민원은 2020년부터 꾸준히 발생해왔으며, 특히 냄새가 강한 김치, 순대, 오징어 등은 물론, 맥주나 소주 등 주류 섭취 사례까지 보고되어 다른 승객들에게 극심한 불쾌감을 주고 있다. 민원인들은 안내방송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취식을 계속하는 행태에 대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문제는 현행법의 모호함이다. 시내버스에서는 이미 조례를 통해 음식물 반입 및 섭취가 명확히 금지되어 정착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지하철은 이를 직접적으로 금지하는 법적 조항이 없다. 현재는 서울교통공사 여행운송약관상 '다른 여객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는 물건'에 대해 제지할 수 있다는 규정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규정의 부재는 현장 단속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악취나 불쾌감은 주관적 판단의 영역이기에, 공사 직원들이 적극적으로 제재하기 어렵고, 결국 "자제해 달라"는 계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유사 민원이 반복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윤영희 의원은 "버스에서처럼 지하철도 시민 여론을 수렴해 음식물 및 주류 취식을 제도적으로 금지할 때가 됐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싱가포르(MRT)나 대만(지하철) 등 해외 주요국에서는 지하철 내 취식 행위에 대해 수십만 원대의 벌금을 부과하며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시민들의 쾌적한 이용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지하철 객실을 '공공장소'로서 명확히 규정하고, 개인의 자유보다 다수의 공공질서를 우선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 찬사…3만명 몰려가 직접 달려본 마라톤 코스

형 등 유명인으로 구성된 출연진들은 지난 10일 방송에서 세계 7대 메이저 마라톤으로 공식 등극한 'TCS 시드니 마라톤' 완주에 도전했다. 이들은 시드니의 상징인 하버브리지를 직접 발로 달리며 오페라하우스 앞 결승선을 통과하는 감동적인 여정을 선보이며, 단순한 도시를 넘어 스포츠의 성지로 거듭난 시드니의 역동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했다.이번 방송의 핵심인 TCS 시드니 마라톤은 올해를 기점으로 보스턴, 런던, 뉴욕, 도쿄 등 세계적인 도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애보트 월드 마라톤 메이저스' 대회로 공식 승격되었다. 이는 시드니가 세계적인 스포츠 도시로서의 입지를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 호주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이 국제 마라톤 대회에는 100여 개국에서 3만 3천여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모여 장관을 이뤘다. 특히 하버브리지와 서큘러키, 오페라하우스를 잇는 코스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라톤 코스'라는 찬사를 받으며, 단순한 기록 경쟁을 넘어 도시의 풍광을 만끽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마라톤의 뜨거운 열기 이후, 방송은 도전적인 여정과 대비되는 평화롭고 낭만적인 호주의 모습을 담아냈다. 출연진은 시드니 근교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헌터밸리와 포트스테판으로 이동해 진정한 휴식을 즐겼다.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산지인 헌터밸리에서는 150개가 넘는 와이너리 중 한 곳을 방문하고 열기구를 체험하며 목가적인 풍경 속에서 미식과 여유를 만끽했다. 이어 포트스테판의 광활한 모래언덕과 천연 해변에서는 돌고래 크루즈를 포함한 다채로운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며 호주 대자연이 주는 모험과 휴식을 동시에 경험했다.결과적으로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는 단순한 연예인들의 여행기를 넘어, 하나의 도시가 품을 수 있는 경험의 스펙트럼이 얼마나 넓은지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의 중심에서 느끼는 짜릿한 성취감부터, 대자연 속에서 누리는 평화로운 휴식과 미식의 즐거움까지, 스포츠, 자연, 도시 문화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진정한 매력을 한국 시청자들에게 각인시켰다. 이는 새로운 여행지에 대한 영감과 동기를 부여하며, 호주 여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