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단신

사회&단신

1년에 단 35분, 대한민국 하늘이 숨죽이는 순간…전국 공항 '셧다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지는 오는 13일, 대한민국 전역의 하늘길이 수험생들을 위해 일시적으로 멈춰 선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후 1시 5분부터 1시 40분까지 총 35분간을 ‘항공기 비행 제한 시간’으로 설정하고 전국 모든 공항에서의 항공기 이착륙을 전면 통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수능 영어 영역 듣기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항공기 소음으로 인해 수험생들이 받을 수 있는 방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매년 수능일에 반복되는 이 특별 조치는 단 한 번의 시험으로 미래가 결정될 수 있는 수험생들이 온전히 자신의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사회 전체가 배려하고 협력하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올해도 어김없이 시행된다.

 

통제 시간 동안 대한민국의 영공은 사실상 거대한 정적에 휩싸이게 된다. 이륙을 앞둔 모든 항공기는 이륙 허가를 받지 못한 채 지상에서 대기해야 하며, 이미 비행 중이던 항공기들은 관제 기관의 지시에 따라 지상으로부터 3km 이상의 상공에서 선회 비행하며 통제 시간이 해제되기를 기다려야 한다. 다만, 국민의 생명 및 안전과 직결되는 비상 상황이나 긴급 구조 활동에 투입되는 항공기는 이번 통제 조치에서 예외로 인정되어 즉각적인 운항이 가능하다. 이번 조치로 인해 운항 스케줄에 영향을 받는 항공편은 국내선과 국제선을 포함해 총 140편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각 항공사는 사전에 예약 승객들에게 변경된 운항 정보를 안내하고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번 비행 제한 조치는 일반 여객기뿐만 아니라 하늘을 나는 모든 비행체에 포괄적으로 적용된다. 최근 급증한 드론은 물론, 각종 레저 활동에 사용되는 초경량 비행 장치 역시 해당 시간에는 비행이 엄격히 금지된다. 이는 작은 소음원 하나까지도 철저히 관리하여 수험생들에게 완벽에 가까운 시험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국토부는 혹시 모를 비행 활동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관련 협회와 동호회 등에 사전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불법 비행 감시 활동도 강화할 계획이다. 수험생들이 느끼는 극도의 긴장감과 중압감을 고려할 때, 35분간의 ‘완전한 침묵’은 단순한 소음 통제를 넘어 사회 전체가 보내는 무언의 응원인 셈이다.

 

이처럼 고요한 35분을 만들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수많은 기관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 국토부 항공교통본부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아 항공교통관제 기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그리고 각 항공사와의 실시간 협력 체계를 가동한다. 이들은 통제 시간 동안 항공기들의 안전한 대기와 운항 재개를 위해 긴밀하게 소통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등 빈틈없는 관제 시스템을 유지한다. 일 년에 단 한 번, 오직 수험생들을 위해 대한민국 하늘의 시계를 멈추는 이 특별한 작전은 한 사람의 인생이 걸린 중요한 순간을 우리 사회가 얼마나 무겁게 여기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증거다.

 

'맥도날드 저격'하며 태어난 그 운동, 미국 한복판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다

임의 중심에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도, 새크라멘토가 떠오르고 있다. ‘성스러운 강’이라는 이름의 이 도시는 ‘팜 투 포크(Farm-to-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슬로건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내걸었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항하며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미국 서부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워서, 슬로푸드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테라 마드레(어머니의 땅)’ 축제가 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밖인 바로 이곳 새크라멘토에서 열리는 영광으로 이어졌다. 이는 새크라멘토가 단순한 미식 도시를 넘어, 패스트푸드로 상징되는 현대 문명에 맞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구심점이 되었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새크라멘토가 이처럼 ‘미국의 팜 투 포크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다. 역설적이게도 1852년의 대홍수가 시에라산맥의 비옥한 퇴적물을 센트럴밸리 전역으로 실어 날랐고, 새크라멘토강과 아메리카강이 만나는 풍부한 수량, 강렬한 햇살과 서늘한 저녁 기후가 더해져 농사를 위한 최적의 땅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도시 반경 100km 안에서 거의 모든 식자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요리사의 천국’이 탄생했다.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90% 이상, 세계 3대 자포니카 쌀 생산지, 미국 최대 캐비어 양식장이 이곳에 있으며, 토마토, 올리브, 와인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 들어서는 순간, 숯불 위에서 구워지는 패티와 갓 구운 빵, 신선한 농작물이 뒤섞여 뿜어내는 풍요로운 향기는 이 도시가 가진 땅의 힘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이처럼 거대한 농지가 세계적인 미식 도시로 탈바꿈한 데에는 몇몇 선구자들의 ‘가벼운 우연’과 ‘열정적인 모험’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민 2세대 농부였던 레이 융이 우연히 얻은 둥근 토마토 씨앗을 심었다가 밭 전체를 뒤덮자, 처리를 위해 현지 레스토랑에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팜(농장)’에서 ‘포크(식탁)’로 이어지는 직거래 문화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에 ‘요리계의 인디애나 존스’로 불린 식료품점 아들 대릴 코르티가 가세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누비며 당시 미국에는 생소했던 파르메산 치즈, 트러플, 발사믹 식초 등을 들여와 새크라멘토의 식탁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들의 노력이 씨앗이 되어 2012년, 케빈 존슨 전 시장은 새크라멘토를 ‘미국 팜 투 포크 운동의 수도’로 공식 선언하기에 이르렀다.새크라멘토의 철학은 결국 ‘시간의 회복’으로 귀결된다. 세계적인 셰프 엘리자베스 포크너는 테라 마드레 행사에서 “내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패스트푸드”라며, 아이들의 ‘인앤아웃 햄버거’ 타령에 씁쓸해했다. 그녀에게 패스트푸드와의 싸움은 곧 자신의 요리를 지속하게 하는 동력이다. 포크너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현지 농부와 어부를 직접 만나 제철 식재료를 확인하는 것을 요리의 첫걸음으로 삼는다. 이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생산자와의 관계를 맺고 자연의 리듬을 존중하는 슬로푸드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멕시코계, 아프가니스탄계 이민자들이 기른 작물이 스페인 음식에 매료된 요리사의 손에서 파에야로 재탄생하는 새크라멘토의 식탁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만들어내는 ‘인간적인 시간’ 그 자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