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소식

"약값 80% 내린다"... 트럼프, '최혜국대우' 약가 정책 도입 시사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이 처방약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밝혀 미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이러한 방침을 공개하며, 천정부지로 치솟는 약값으로 고통받는 미국 시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대폭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선 11일,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직접 글을 올려 역사적인 행정명령 서명을 예고했다. 그는 "내일 오전 9시 백악관에서 우리 역사상 가장 중대한 행정명령 중 하나에 서명할 것"이라며, 이 행정명령이 발효되면 의약품 가격이 "거의 즉시 30%에서 많게는 80%까지 인하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미국 국민들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미국의 처방약 가격이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하며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년 동안 제약회사들이 연구개발 비용을 핑계로 약값을 부풀려왔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미국 시민들에게 전가됐다"고 지적하며, 제약업계의 이윤 추구 행태가 국민 건강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정책의 핵심은 이른바 '최혜국대우(MFN, Most Favored Nation) 약가 정책'이다. 그는 이 정책의 원리를 쉽게 설명하며 기대 효과를 강조했다. "예를 들어 어떤 약이 독일에서 1만 원, 프랑스에서 8000원, 캐나다에서 6000원에 팔린다면, 미국은 가장 저렴한 가격인 6000원만 지불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즉, 미국이 다른 선진국들보다 더 비싼 가격에 약을 구매해야 하는 불합리한 상황을 바로잡고,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약값을 기준으로 미국 내 약가를 결정하겠다는 파격적인 구상이다.

 


미 보건정책 싱크탱크인 랜드연구소(RAND)의 연구 결과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랜드연구소에 따르면 미국의 처방약 가격은 OECD 평균보다 2.78배, 특히 특허가 살아있는 브랜드 의약품의 경우 무려 4.22배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이 다른 나라 국민들에 비해 훨씬 비싼 값에 필수 의약품을 구매하고 있음을 객관적인 수치로 보여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강력한 정책 추진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나는 제약업계의 막대한 정치자금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공화당도 마찬가지"라며, 자신과 공화당이 국민을 위해 "올바른 일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제약업계의 로비나 반발에 굴하지 않고 정책을 밀어붙이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그는 MFN 정책 도입을 통해 "미국은 이제 공정한 대우를 받을 것"이며, 시민들의 의료비 부담이 "과거에 상상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낮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오랫동안 높은 약값으로 고통받아온 미국 소비자들에게는 가뭄의 단비와 같은 소식이 될 수 있다.

 

이번 행정명령 예고는 미국 내 높은 의료비 문제, 특히 처방약 가격에 대한 국민적 불만을 해소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실제로 정책이 시행될 경우 제약업계의 큰 반발이 예상되지만, 미국 시민들의 약값 부담 경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미국 의료 시스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