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소식

형은 죽고 동생만 살아남은 비극... 에어인디아 '기적의 생존자'가 품은 가슴 아픈 사연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에서 발생한 에어인디아 항공기 추락 참사에서 유일한 생존자가 발견되어 국제적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12일(현지 시각) 발생한 이번 사고는 보잉 787-8 드림라이너 기종의 AI171편으로, 총 242명의 탑승자 중 241명이 사망한 대형 참사로 기록됐다.

 

현지 매체 힌두스탄타임스(HT)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국적의 비스와쉬 쿠마르 라메시(40)가 유일한 생존자로 확인됐다. 그는 가슴과 눈, 발에 부상을 입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어 현재 일반 병동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비스와쉬는 영국 런던에서 20년간 거주해온 영국 시민으로, 아내와 아들이 있다.

 

비스와쉬는 여행차 인도를 방문했다가 형인 아제이 쿠마르 라메시(45)와 함께 영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해당 항공편에 탑승했다. 그는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해 "이륙 30초 후 큰 소리가 났고 비행기가 추락했다. 모든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났다"고 회상했다. 또한 "정신을 차리고 보니 내 주변에는 시체들이 가득했다. 무서웠다. 일어나서 뛰었다. 주변에 비행기 잔해들이 가득했다. 누군가 나를 붙잡더니 구급차에 태워 병원으로 데려갔다"고 당시의 충격적인 상황을 설명했다.

 

비스와쉬의 형인 아제이는 다른 좌석에 배치되어 있었으며,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현지 당국은 비스와쉬를 제외한 모든 탑승자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촌인 아자이 발기는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비스와쉬가 전화로 자신의 생존 소식을 알렸지만, 그의 형에 대해서는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우리는 지금 괜찮지 않다. 모두 충격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인도 매체가 공개한 영상에서 비스와쉬는 피가 묻은 흰색 티셔츠와 검은색 바지를 입은 채 절뚝거리며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모습이었지만, 이 외에 큰 상처는 보이지 않았다. 미국 CNN은 의료진으로부터 그의 상태가 "위중하지 않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전했다.

 

비스와쉬의 생존 가능성을 높인 중요한 요소는 그가 앉아 있던 좌석 위치였다. 구조 당시 그는 비행기 티켓을 소지하고 있었는데, HT에 따르면 그가 탑승한 자리는 비행기 왼쪽 날개 바로 앞 비상구열에 있는 11A 좌석이었다. 전 미 연방항공청 안전 검사관이자 CNN 안전분석가인 데이비드 수시는 이 위치에 대해 "날개 구조물에 해당하는 자리로, 항공기가 지상에 착륙할 때 충격을 견디기 위해 견고한 자리이긴 하지만 그 자리에서 생존한 것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기적적인 일"이라고 평가했다.

 

에어인디아는 사고기에 승객 230명이 탑승해 있었으며, 169명이 인도 국적, 53명이 영국 국적, 7명이 포르투갈 국적, 1명이 캐나다 국적을 가지고 있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비스와쉬를 제외한 다른 생존자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의 첫 희생양? 승객들 '터미널 혼란' 불가피

은 자신이 이용하는 항공편의 터미널 위치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에어부산이 7월 29일부터 T2로 이전을 완료했으며, 이날 0시 이후 도착한 승객들은 T2를 통해 입국했다. 오전 6시 50분 후쿠오카행 BX156편이 T2에서 첫 출발편으로 기록됐으며, 승객들은 T2 수속 카운터 E11~E20에서 탑승 수속을 진행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쾌적한 공항 환경 제공과 승객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기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고 밝혔다.에어부산은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전 결정 이후부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전 안내를 진행해왔다. 수속 카운터에 홍보물을 배치하고, 공항 키오스크, 공식 홈페이지, 모바일 웹·앱, SNS 채널을 활용했으며, 예약 승객을 대상으로 안내 문자와 알림톡을 발송하는 등 대내외 홍보 수단을 총동원했다.만약 승객이 실수로 T1에 도착한 경우에 대비해, 에어부산은 한 달간 긴급수송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터미널 이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에어부산의 이전을 시작으로, 에어서울은 오는 9월,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부터 각각 T2에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터미널 이전 문제는 공항 주차장과 제반 준비 문제 등으로 논의가 장기화됐으나, 최근 서울지방항공청과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회의를 통해 내년 1월 중으로 이전 시점을 최종 합의했다.주의할 점은 공동운항편(코드셰어)과 항공사 사정에 따라 실제 출입국 터미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들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출발 전 전자항공권(E-티켓)을 확인하거나 인천국제공항 홈페이지 내 항공편 검색을 통해 정확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터미널 이전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로, 양사의 통합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승객들은 앞으로 몇 개월간 인천공항을 이용할 때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탑승 터미널을 확인하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항에 도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