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소식

15년 크루즈 종신권 구매! '바다 위 연금'으로 사는 법

 미국 캘리포니아 출신의 70대 여성 샤론 레인(77)이 은퇴 후 삶의 새로운 장을 열며 전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녀는 평생 모은 저축액으로 15년 장기 거주용 크루즈 선실을 구매, 현재 '빌라 비 오디세이'호에서 세계 일주를 즐기고 있다. 지난달 26일(현지시간) CNN 보도에 따르면, 레인은 작년 말 선실을 구매한 이후 꿈에 그리던 바다 위 생활을 만끽하고 있으며, "드디어 오랫동안 하고 싶었던 일을 할 수 있게 됐다"며 벅찬 소감을 전했다.

 

레인의 선택은 단순한 여행이 아닌, 삶의 방식을 통째로 바꾼 혁신적인 결정이다. '빌라 비 오디세이'호는 지난해 9월 말 첫 출항을 시작한 장기 항해 전문 크루즈선으로, 30년 된 선박을 개조하여 약 450개의 객실을 운영 중이다. 이 크루즈의 매력은 단순히 이동 수단을 넘어선 '움직이는 집'이라는 점에 있다.

 

선실 가격은 전망이 제한된 객실이 12만 9000달러(약 1억 7600만원)부터 시작하며, 월 생활비로 2인실은 1인당 2000달러(약 271만원), 1인실은 3000달러(약 406만원)를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외부 전망이 보이는 객실은 16만 9000달러부터 시작한다. 이 비용에는 하루 세 끼 식사와 저녁 식사 시 주류, 와이파이, 진료비, 24시간 룸서비스, 객실 청소, 격주 세탁 서비스 등 다양한 편의가 포함되어 있다. 레인은 이 점을 강조하며 "더 이상 빨래를 할 필요도 없고, 장을 볼 일도 없다"며, 심지어 "선상에서 생활하는 것이 캘리포니아 집에서 생활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밝혀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 이는 은퇴 후 고정 지출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도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셈이다.

 

오디세이호는 각 항구에 며칠씩 정박하며 승객들에게 기항지 관광의 기회를 제공한다. 추가 요금을 내면 다양한 육상 투어를 즐길 수 있어, 세계 각국의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레인이 머무는 선실은 배의 앞쪽에 위치해 파도의 움직임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고 한다. 그녀는 선실에서는 잠만 자고 대부분의 시간을 갑판에서 보낸다고 전했다. "선박 갑판에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 날씨가 좋든, 좋지 않든 늘 갑판에 있다"는 그녀의 말에서 바다 위 삶에 대한 깊은 만족감을 엿볼 수 있다. 갑판에서는 다른 승객들과 이야기를 나누거나, 책을 읽거나, 시원한 바닷바람을 쐴 수 있어 삶의 여유와 활력을 동시에 얻고 있다고 한다.

 


오디세이호 승객 구성은 흥미롭다. 전체 탑승객 중 약 55%가 홀로 여행하는 이들이며, 이들 대부분은 미국과 캐나다 출신이다. 샤론 레인은 이러한 승객들의 공통점으로 "원래 여행을 좋아했던 사람들"이라는 점을 꼽으며, "비슷한 성향을 가진 이들과 함께하니 더욱 편안하다"고 언급했다. 이는 은퇴 후 삶에서 공동체 생활이 주는 심리적 안정감과 소속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들에게 크루즈 생활이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같은 취미와 가치관을 공유하는 사람들과의 교류는 고독감을 해소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레인의 최종 목표는 '단순한 인생'이다. 그녀는 "15년이 지나면 집을 구할 수도 있지만 앞으로 15년간은 바다에서 생활하며 꿈꿔왔던 삶을 살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는 물질적인 풍요보다는 정신적인 만족과 자유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가치관 변화를 반영하는 동시에, 은퇴 후 삶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샤론 레인의 이야기는 은퇴 후 삶을 어떻게 설계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는 많은 이들에게 신선한 영감과 용기를 불어넣고 있다. 그녀의 15년 크루즈 생활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을 넘어, 고정된 삶의 터전을 벗어나 유동적이고 모험적인 삶을 꿈꾸는 이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기억될 것이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의 첫 희생양? 승객들 '터미널 혼란' 불가피

은 자신이 이용하는 항공편의 터미널 위치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에어부산이 7월 29일부터 T2로 이전을 완료했으며, 이날 0시 이후 도착한 승객들은 T2를 통해 입국했다. 오전 6시 50분 후쿠오카행 BX156편이 T2에서 첫 출발편으로 기록됐으며, 승객들은 T2 수속 카운터 E11~E20에서 탑승 수속을 진행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쾌적한 공항 환경 제공과 승객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기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고 밝혔다.에어부산은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전 결정 이후부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전 안내를 진행해왔다. 수속 카운터에 홍보물을 배치하고, 공항 키오스크, 공식 홈페이지, 모바일 웹·앱, SNS 채널을 활용했으며, 예약 승객을 대상으로 안내 문자와 알림톡을 발송하는 등 대내외 홍보 수단을 총동원했다.만약 승객이 실수로 T1에 도착한 경우에 대비해, 에어부산은 한 달간 긴급수송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터미널 이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에어부산의 이전을 시작으로, 에어서울은 오는 9월,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부터 각각 T2에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터미널 이전 문제는 공항 주차장과 제반 준비 문제 등으로 논의가 장기화됐으나, 최근 서울지방항공청과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회의를 통해 내년 1월 중으로 이전 시점을 최종 합의했다.주의할 점은 공동운항편(코드셰어)과 항공사 사정에 따라 실제 출입국 터미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들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출발 전 전자항공권(E-티켓)을 확인하거나 인천국제공항 홈페이지 내 항공편 검색을 통해 정확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터미널 이전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로, 양사의 통합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승객들은 앞으로 몇 개월간 인천공항을 이용할 때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탑승 터미널을 확인하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항에 도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