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소식

엔비디아, 5500조 폭풍 몸값 돌파...AI 왕국 절대강자 등극

 세계에서 가장 몸값이 비싼 기업인 미국의 엔비디아가 시가총액 4조 달러(약 5500조 원)를 돌파하며 전례 없는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 6월 시총 3조 달러를 넘어서며 애플을 제치고 시총 2위에 오른 이후 1년 만에 다시 한 번 자본시장의 새로운 이정표를 쓴 것이다. 이로써 엔비디아는 단일 기업으로는 세계 최초로 시총 4조 달러 문턱을 넘어섰다. 이는 한국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약 2900억 달러)의 13배가 넘는 규모이며, 글로벌 기술 기업들 사이에서도 독보적인 위상을 드러내는 수치다.

 

9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일 대비 1.8% 상승한 162.88달러에 마감했다. 장중에는 164.42달러까지 치솟아 시가총액이 4조 달러를 일시적으로 돌파했다. 종가 기준 시총은 약 3조9720억 달러로 집계됐다. 엔비디아의 CEO인 젠슨 황은 2023년 6월에 시총 1조 달러를 넘어선 이후 단 3년 만에 4배의 가치를 끌어올리며 글로벌 기술시장의 ‘슈퍼스타’로 자리매김했다. 지난해 3월 시총 2조 달러를, 6월에는 3조 달러를 돌파하며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를 뒤쫓는 ‘기술 전쟁’의 중심에 섰다. 특히, 2023년 11월에는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에도 편입되는 쾌거를 이뤘다.

 

2025년 들어 엔비디아의 주가는 급격히 상승했다. AI 붐과 기술주 랠리를 주도하며 ‘대장주’로 급부상한 것이다. 올해 초 대비 주가 상승률은 21%에 달하며, 이는 동기간 S\&P500지수 수익률을 14%포인트 이상 웃도는 성과다. 2023년 초부터 보면 주가는 무려 10배 이상 뛰어올랐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현재 엔비디아는 S\&P500 지수에서 약 7.5%의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사상 최고치다.

 

엔비디아 주가 급등의 가장 큰 원인은 AI 반도체 수요의 폭발적 증가다.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구글 등 주요 글로벌 기술기업들은 2025년 회계연도에 자본지출을 올해 3100억 달러에서 3500억 달러로 400억 달러 더 늘릴 계획이다. 이중 상당 부분이 엔비디아의 고성능 GPU(그래픽처리장치) 구매에 투입될 전망이다. 엔비디아의 AI GPU는 챗GPT, 라마(LLAMA) 등 대규모 AI 모델 학습에 필수적이다. 이들 대기업은 엔비디아 매출의 약 40%를 차지하는 핵심 고객이기도 하다.

 

 

 

월가에서도 엔비디아는 ‘가장 사랑받는 주식’ 중 하나로 꼽힌다. 잭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브라이언 멀버리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엔비디아 칩에 대한 수요가 엄청나다”며 “AI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엔비디아 칩이 필수적”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4월 이후 ‘딥시크 충격’과 미·중 기술 경쟁 우려로 인해 주가가 저점을 찍었지만, 이후 V자 회복을 거쳐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상황에서도 엔비디아의 성장 여력에 대한 기대가 크다. 마호니자산운용의 켄 마호니 회장은 “엔비디아가 실적을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한 계속 주가가 오를 여지가 충분하다”며 “현재 주가는 매출 성장률을 감안하면 결코 비싸지 않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월가 애널리스트 90% 이상이 엔비디아에 ‘매수’ 의견을 내고 있으며, 목표 주가도 평균 6% 상향 조정됐다.

 

엔비디아와 함께 기술주 랠리 수혜를 입고 있는 기업들은 MS와 애플이다. MS는 현재 시총 약 3조7400억 달러, 애플은 3조1500억 달러 규모로, 두 회사 모두 4조 달러 돌파가 임박한 상태다. 기술주 시총 급증으로 S\&P500 내 상위 7개 종목이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1까지 늘었다. 로이터통신은 “현재 기술주가 S&P500 시가총액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2000년 닷컴 버블 당시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엔비디아는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에 대응해 중국 시장 전용 AI 칩 개발에도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소식통을 인용해 엔비디아가 기존 ‘블랙웰 RTX 프로 6000 프로세서’를 변형한 중국 전용 칩을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칩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강화된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고려해 고대역폭메모리(HBM)와 NVLink 등 고성능 기능을 제거한 ‘하향 조정’ 버전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엔비디아는 AI 혁명과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중심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굳히고 있으며, 앞으로도 시장과 투자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포켓몬 덕후 심장 폭발! 제주 9.81파크에서 펼쳐지는 초특급 콜라보

오는 7월 25일부터 10월 31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업은 제주 애월 지역에 위치한 9.81파크 제주의 독특한 자연 경관과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테마파크의 매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전 연령대의 방문객들에게 친근한 포켓몬 세계관을 접목해 새로운 즐길 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포켓몬: 메타 빌라’는 인기 캐릭터 ‘메타몽’이 포켓몬 친구들과 함께 ‘별장 놀이터’에서 여유롭게 시간을 보내는 콘셉트를 기반으로 테마파크 전역에 걸쳐 다양한 포토존과 체험 콘텐츠를 선보인다. 입구에는 높이 3.5미터의 대형 ‘잠만보 벌룬’이 방문객을 반기며, 실내 광장 ‘센트럴’ 공간에서는 ‘메타몽 벌룬’을 중심으로 피카츄, 꼬부기, 팽도리 등 인기 포켓몬 캐릭터들이 함께 어우러져 현장 분위기를 더욱 활기차고 생동감 있게 만든다. 이처럼 시각적으로도 강렬한 연출을 통해 방문객들이 포켓몬 세계에 빠져들 수 있는 체험을 마련했다. 테마파크 내 ‘스페이스컵’ 기프트숍에서는 9.81파크 제주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한정판 메타몽 굿즈를 순차적으로 출시해 수집가들과 팬들의 큰 관심을 모을 예정이다. 특히 이번 프로모션 기간 동안 판매되는 ‘포켓몬 패키지 티켓’은 1인 풀패키지부터 아이와 함께 방문하는 가족용, 실내 체험 중심 패키지까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구매 시 포켓몬 테마 콘텐츠는 물론 ‘포켓몬 레이스’도 함께 즐길 수 있다. 레이스981 D3코스에서는 방문객이 좋아하는 포켓몬을 선택해 외치면 ‘부스터’ 효과가 발동되는 등 인터랙티브한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포켓몬 캐릭터를 테마로 한 ‘포켓몬 링고’ 어트랙션도 운영되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푸드 콘텐츠 역시 이번 프로모션의 큰 매력 중 하나다. 인기 도넛 브랜드 ‘오나츠’와 협업해 포켓몬 초콜릿 장식이 올려진 ‘메타몽 도넛’과 ‘피카츄 도넛’을 선보이며, 아이스크림 전문점에서는 포켓몬 캐릭터가 그려진 에어홀더가 포함된 포켓몬 슬러시를 판매해 테마파크 방문객들에게 시원한 디저트 경험을 제공한다. 이밖에도 포켓몬 티켓 이용자에게는 랜덤 스티커가 최대 5장 제공되며, 굿즈 구매나 식음료 이용 시에도 제한 없이 스티커가 증정된다. 특히 ‘5개 미션’을 완수한 방문객은 한정판 굿즈 리워드 이벤트 참여 기회까지 얻을 수 있어 재미와 보상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모노리스의 공동대표 김종석 대표는 “‘포켓몬: 메타 빌라’는 9.81파크의 독자적인 IP와 포켓몬이라는 세계적 IP가 만나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하는 뜻깊은 프로젝트”라며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제주의 특별한 여름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한편, 9.81파크 제주는 제주 애월 지역의 자연 경사를 살린 지형에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테마파크로서, 그래비티 레이싱 ‘RACE981’이 대표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다. 실내외 복합 액티비티 공간으로서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즐길 거리와 체험을 제공하며, 특히 가족 단위 관광객과 젊은 층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번 포켓몬 협업 프로모션은 제주 지역의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다가오는 7월 2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되는 ‘포켓몬: 메타 빌라’는 9.81파크 제주를 찾는 방문객들에게 포켓몬 세계관을 만끽하면서 동시에 혁신적인 그래비티 레이싱과 다채로운 체험을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