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소식

국민은 컵라면도 못 먹는데... 이시바 총리의 '고기 폭탄' 라멘 논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SNS에 공개한 한 끼 식사 사진이 정치적 논란으로 비화되고 있다. 고물가로 서민들의 생활고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황제 라멘'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지지율 하락에 시달리는 이시바 내각에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5일, 이시바 총리는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니가타현 나가오카시의 한 라멘 가게를 방문한 소식을 전했다. 그가 공개한 사진에는 일반적인 라멘과는 달리 차슈(일본식 돼지고기 고명)가 넘치도록 올려진 특별한 모습의 라멘이 담겨 있었다. 이시바 총리는 이 게시물에 "여러분 잘 먹었다", "정말 맛있었다"라는 소감을 덧붙였다.

 

그러나 이 소박해 보이는 식사 인증샷이 현지 누리꾼들 사이에서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일본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서민들은 생활고에 시달리는데, 총리가 고급스러운 음식을 즐기는 모습이 '서민과의 괴리'를 보여준다는 비판이 주를 이뤘다. "국민들은 돈 없어서 고생하는데 사치스럽다"는 직접적인 비난부터 "특식이냐", "나가오카는 쌀의 고장인데 쌀로 만든 라멘인가" 등 조롱 섞인 댓글이 쏟아졌다.

 

제이캐스트 등 현지 매체들은 이번 논란이 단순한 식사 사진을 넘어 이시바 내각의 정치적 감각 부재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특히 고물가 대책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참의원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이 같은 '황제 라멘' 사진이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물론 일각에서는 "라멘 한 번 먹었다고 이렇게 비난하다니", "총리 하는 것도 힘들겠다"는 옹호 의견도 있었다. 이는 일본 사회 내에서 이시바 총리의 행보를 바라보는 시각이 양분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시바 총리의 나가오카시 방문은 해당 지역구 참의원 선거에 출마한 나카무라 마이 자민당 후보를 지원하기 위한 정치 행보였다. 그러나 의도와 달리 이 방문이 '황제 라멘' 논란으로 번지면서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참의원 선거는 이시바 내각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을 띠고 있어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재 이시바 총리의 지지율은 취임 초기부터 저조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퇴 압박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정치 전문가들은 만약 집권 여당인 자민당이 이번 선거에서 과반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야당 세력이 결집해 이시바 내각 사퇴를 강력히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한 '황제 라멘' 논란은 단순한 음식 사진 하나가 정치적으로 얼마나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일본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태를 통해 SNS 활용의 양면성과 정치인의 이미지 관리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고 있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