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소식

'로봇 늑대' 등장에...젠슨 황, 중국에 '심쿵'했나?

 중국이 사족보행 형태의 '로봇 늑대'를 활용한 군사 훈련 장면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미래 전장의 모습을 엿보게 했다. 

 

지난 16일 중국중앙(CC)TV는 인민해방군 76집단군 소속 보병 부대가 로봇 늑대와 드론을 동원해 구릉지에서 훈련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주하이 에어쇼에서 공개된 로봇 늑대가 실제 중국군 훈련에 투입된 첫 사례로, 무게 70kg의 이 로봇은 등 부분에 소총이나 정찰 장비를 탑재하고 수색, 목표물 확인 및 타격 임무를 수행했다. 

 

중국 군사 전문가 푸첸사오는 "전투에서 로봇 늑대가 드론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며, "전장에서 로봇을 마주치면 심리적 압박이 크고, 파괴해도 다른 로봇이 계속 나타나 결국 항복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인공지능(AI) 기반 로봇이 미래 전쟁의 양상을 바꿀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의 AI 기술력을 극찬하며 로봇 시스템이 AI의 다음 물결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16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CISCE) 개막식에 연사로 나선 황 CEO는 "중국의 공급망은 기적"이라며, "딥시크, 알리바바, 텐센트, 미니맥스, 바이두의 어니봇 같은 중국의 AI 모델들은 '월드 클래스'이며 AI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치켜세웠다. 대만 출신인 그는 이날 처음으로 중국어로 연설하고 중국 전통 복장인 '당복'을 착용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AI의 다음 물결은 로봇 시스템"이라며, "10년 안에 공장은 AI로 구동될 것이고, 로봇이 사람들과 함께 일하며 AI 스마트 제품을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중국에서 수백 건의 프로젝트가 엔비디아 플랫폼을 통해 공장 설계와 최적화, 로봇 훈련에 활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방문 직전 미국 정부의 대중국 수출 통제 대상이었던 AI 칩 H20의 중국 판매가 가능해졌다고 직접 발표하며,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공략 의지를 분명히 했다.

 

중국군의 로봇 늑대 훈련 공개와 엔비디아 CEO의 중국 AI 및 로봇 산업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AI와 로봇 기술이 군사 및 산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AI 기술이 가져올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한 기대와 함께, 윤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함을 일깨우고 있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