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소식

"역사냐, 돈이냐"…232년 전통의 1센트, 결국 '효율성' 앞에 무릎 꿇다

 1793년 첫선을 보인 이래 232년간 미국의 화폐 역사를 지켜온 1센트 동전이 마침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 조폐 시설에서는 마지막 일반 유통용 1센트 동전의 생산이 이뤄지며 한 시대의 종언을 고했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액면가를 훌쩍 뛰어넘는 제조 비용 문제를 지적하며 재무부에 신규 발행 중단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1센트 동전 하나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1.69센트에 달해, '만들수록 손해'인 비효율적인 구조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번 생산 중단 조치로 미국 정부는 연간 약 5600만 달러(약 823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화폐 단위의 변화를 넘어, 국가 경제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으로 해석된다.

 

물론 당장 시중에서 1센트 동전이 자취를 감추는 것은 아니다. 일반 유통용 동전의 생산은 멈추지만, 이미 발행되어 시중에 풀린 약 3000억 개의 1센트 동전은 여전히 법정 화폐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계속 사용된다. 따라서 일상적인 상거래 활동에서 1센트 동전을 사용하거나 거스름돈으로 받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통량이 줄어들고, 점차 다른 결제 수단으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 재무부는 화폐 수집가들을 위한 수집용 1센트 동전은 앞으로도 제한적으로 계속 생산할 예정이라고 밝혀, 역사적 가치를 지닌 1센트 동전에 대한 수집 열기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는 화폐의 실용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분리하여 접근하는 유연한 정책적 판단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이번 결정은 비단 미국만의 특수한 상황은 아니다. 이미 캐나다, 호주, 아일랜드, 뉴질랜드 등 여러 국가가 비슷한 이유로 자국의 최고액면가 동전 생산을 중단한 바 있다. 이들 국가 역시 제조 비용 부담과 화폐 사용 패턴의 변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과감한 결정을 내렸다. 특히 신용카드, 모바일 결제 등 비현금 결제 수단이 보편화되면서 소액 동전의 필요성 자체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전 세계적인 '동전 없는 사회'로의 전환 추세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1센트 동전 생산 중단은 이러한 거대한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또 하나의 중요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232년 역사의 미국 1센트 동전 생산 중단은 단순한 화폐 정책의 변화를 넘어,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상징적 사건이다.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실용주의적 판단과 비현금 결제 사회로의 전환이라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맞물린 결과물인 셈이다. 비록 주머니 속에서 짤랑거리던 1센트 동전은 점차 보기 힘들어지겠지만, 그 속에 담긴 미국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는 화폐 수집가들의 손에서, 그리고 박물관의 기록 속에서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다. 앞으로 미국 사회가 1센트 동전의 부재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다른 국가들의 화폐 정책에는 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올겨울 롯데월드는 '티니핑'에 점령당했다…부모들 지갑 열리는 소리 들린다

션 '프린세스 캐치! 티니핑'과 손잡고 겨울 시즌 축제 '트윙클 미라클 윈터'를 개최한다. 이번 축제는 단순한 캐릭터 제휴를 넘어, 파크 전체가 애니메이션 속 세상을 그대로 옮겨 놓은 '티니핑 월드'로 변신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글로벌 IP로 성장한 '캐치! 티니핑' 시리즈의 여섯 번째 시즌을 테마로, 하츄핑, 사뿐핑, 아름핑, 뽀니핑 등 대표 캐릭터들이 파크 곳곳에서 방문객을 맞이하며 분홍빛 겨울의 시작을 알린다. 아이들이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된 듯한 완벽한 몰입감을 선사하기 위해 파크의 모든 공간이 마법 같은 경험으로 가득 채워질 예정이다.방문객들은 파크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티니핑의 세계에 빠져들게 된다. 2층 바르셀로나 광장에는 애니메이션 속 공주가 타던 화려한 열차를 모티프로 한 '마법열차 포토존'이 설치되어 발길을 멈추게 하고, 바로 옆에는 한정판 굿즈를 얻을 수 있는 '티니핑 가챠 존'이 마련되어 사진 촬영과 쇼핑의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한다. 파크의 명물인 '로티트레인' 역시 마법열차 콘셉트로 탈바꿈하여 퍼레이드 코스를 누비며 아이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물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롯데월드는 이번 시즌을 위해 봉제 인형, 피규어 등 무려 80종이 넘는 완구 상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하며 팬들의 소장 욕구를 자극한다. 파크에서의 즐거운 경험이 일상에서도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대대적인 굿즈 라인업을 준비한 것이다.티니핑의 아기자기함에 더해, 겨울 축제 본연의 낭만적인 분위기도 한껏 고조된다. '트윙클 윈터 빌리지'라는 이름 아래, 1층 만남의 광장에는 미디어 아트가 펼쳐지는 초대형 보석 트리가 세워져 시즌의 시작을 알리고, 매직아일랜드로 향하는 길은 눈꽃 조명으로 가득한 '미라클 스노우 로드'로 변신해 도심 속 겨울 산책의 정취를 더한다. 밤이 되면 매직캐슬 외벽에 화려한 미디어 맵핑 쇼가 펼쳐져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절정으로 이끈다. 풍성한 공연 라인업도 빼놓을 수 없다. 실내 공간에 눈이 내리는 환상적인 연출이 더해진 '해피 크리스마스 퍼레이드'가 매일 두 차례 열리고, 장난감 백화점을 배경으로 한 '마법성냥과 꿈꾸는 밤', 빅밴드의 신나는 연주를 즐길 수 있는 '시그니처 밴드쇼' 등 다채로운 무대가 12월 말까지 이어진다.이 모든 것을 보다 합리적으로 즐길 수 있는 풍성한 할인 혜택도 마련됐다. 11월 한 달간 엘페이로 결제하는 엘포인트 회원은 본인과 동반 1인까지 최대 47%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수험표를 지참한 수험생은 11월 30일까지 종합이용권을 2만 6천 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통신사 혜택도 다양해 KT는 11월 말까지, SKT는 12월 15일부터 크리스마스까지 최대 50%에 달하는 할인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각종 제휴카드 및 농협카드 소지자를 위한 할인 프로모션이 연말까지 계속되어 알뜰한 나들이를 계획하는 이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롯데월드는 시즌 내내 티니핑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확대하며 방문할 때마다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겠다고 밝혀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