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포츠

‘다저스의 호날두’ 스넬, 일본 팬들 뒤통수 쳐

2025년 일본 도쿄에서 블레이크 스넬(33·LA 다저스)의 논란이 팬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스넬은 메이저리그 월드투어의 일환으로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시리즈 연습경기에 참가했으나, 예정된 유료 토크쇼에는 불참하고 이후 열린 디너쇼에는 참석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6년 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노쇼’ 사태와 비슷한 형태로 팬들의 큰 실망을 샀다.

 

스넬이 불참한 유료 토크쇼는 일본 도쿄 시내의 한 호텔에서 열렸다. 이 행사에는 참가비 3만 엔(약 29만 원)이었으며, 이 토크쇼에서 스넬은 과거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활약했던 이와쿠마 히사시와 함께 일본인 선수들인 오타니 쇼헤이, 야마모토 요시노부, 사사키 로키에 대한 뒷이야기를 나누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스넬은 불참을 통보하며 그 자리를 애덤 존스가 대신했다. 존스는 일본에서 유명한 전 메이저리그 선수지만, 다저스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인물이었다.

 

스넬은 불참 이유로 ‘컨디션 불량’을 들었으나, 그가 토크쇼 대신 다른 행사인 디너쇼에 참석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팬들의 반발을 샀다. 디너쇼는 다저스의 일본인 선수들이 준비한 행사로, 고급 초밥과 참치 해체 쇼 등이 제공되었으며, 스넬도 자신의 SNS에 디너쇼 참석 사진을 올렸다. 이는 팬들이 스넬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일본 팬들은 “몸이 좋지 않다면 디너쇼에도 가지 말았어야 했다”며, 스넬의 행동에 대해 큰 실망감을 표했다. 특히 팬들은 그가 토크쇼에 불참한 이유를 ‘컨디션 불량’으로만 밝혔지만, 디너쇼에 참석한 것에 대해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일본의 주요 매체인 도쿄 스포츠와 야후 재팬은 스넬의 행동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팬들은 “몸이 좋지 않다는 변명은 금방 들킬 일”이라며, 스넬이 사실대로 ‘스케줄이 겹쳤다’고 말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팬들은 스넬이 유료 토크쇼에 참가하기 위해 지불한 3만 엔을 낸 팬들에게 실망을 안겼다고 비판하며, “스넬은 일본 팬들을 존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일부 팬은 스넬이 일본에서의 명성과 다저스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 사건은 과거 2019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노쇼’ 사태를 떠올리게 했다. 호날두는 당시 유벤투스 소속으로 K리그 올스타와의 경기를 위해 방한했으나, 단 1분도 뛰지 않고 벤치에 앉아 있다가 경기를 마쳤다. 호날두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은 채 한국을 떠났고, 이로 인해 많은 팬들의 분노를 샀다. 스넬 역시 비슷한 상황에서 일본 팬들의 기대를 저버린 셈이다.

 

한편, 스넬은 올 시즌을 앞두고 LA 다저스와 5년 1억 8200만 달러(약 2650억 원) 규모의 FA 계약을 체결한 특급 좌완 투수이다. 그는 2011년 메이저리그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탬파베이 레이스에 지명되었고, 2016년 빅리그에 데뷔했다. 탬파베이와 샌디에이고에서 뛰며 뛰어난 성적을 기록한 스넬은 2018년 21승 5패 평균자책점 1.89로 사이영상을 수상한 바 있다. 2023년에도 14승 9패 평균자책점 2.25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메이저리그에서 에이스급으로 활약해 왔다.

 

스넬의 이번 논란은 그가 뛰어난 성적을 기록한 특급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팬들과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사건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그가 올 시즌 메이저리그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이번 사건으로 그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분명하다. 팬들의 실망과 비판은 쉽게 가시지 않을 전망이며, 스넬은 향후 일본을 비롯한 다른 나라의 팬들에게 어떻게 자신의 신뢰를 회복할지에 대한 과제를 안게 되었다.

 

"딸기 뷔페 한 번에 30만 원?"… 역대급 가격 인상에 '헉'

름이 깊어지고 있다. 주요 호텔들이 일제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이제 딸기 뷔페는 '큰맘 먹고' 즐겨야 하는 특별한 경험이 되어버렸다. 특히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은 성인 1인 가격을 지난해 10만 5천 원에서 13만 5천 원으로 무려 28.6%나 인상하며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다. 이는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선, 호텔가의 고급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롯데호텔 서울 페닌슐라 역시 11.1% 인상된 15만 원의 가격표를 내걸었고, 서울드래곤시티 인스타일도 11만 원으로 가격을 올리며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이러한 가격 인상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호텔 업계는 원재료 및 운영 비용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특히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 디저트 재료의 수급 비용이 증가했고, 인건비 부담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단순히 비용 증가만으로 이번 가격 인상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호텔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차별화를 꾀하려는 프리미엄 전략 역시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중요한 요인이다. 희귀 품종의 딸기를 공수해오거나, 유명 쇼콜라티에와의 협업을 통해 독점적인 메뉴를 선보이는 등, '더 비싸고, 더 특별하게'를 외치는 호텔가의 경쟁은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일부는 "1년에 한 번뿐인 사치"라며 기꺼이 지갑을 열지만, 대다수는 "해도 너무한다"는 불만을 토로한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가족 단위 고객들에게는 더욱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반얀트리 호텔의 경우 어린이 요금을 14.2% 인상한 8만 원으로 책정했고, 롯데호텔 서울 페닌슐라 역시 6만 5천 원에서 8만 원으로 어린이 요금을 조정했다. 성인 2인에 어린이 1인 가족이 딸기 뷔페를 즐기기 위해서는 30만 원이 훌쩍 넘는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셈이다. 이렇다 보니 "그 돈이면 차라리 다른 것을 하겠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SNS에서는 '딸기 뷔페 대신 즐길 수 있는 가성비 디저트 맛집' 리스트가 공유되는 등, 소비자들은 나름의 대안을 찾아 나서고 있다.결국 호텔 딸기 뷔페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가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약이 어렵다는 점에서, 호텔가의 프리미엄 전략은 일단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이 장기적으로도 유효할지는 미지수다. 경기 침체와 고물가 시대에 접어들면서 소비자들의 지갑은 점점 얇아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고가 정책이 계속된다면, '대중적인 겨울철 별미'였던 딸기 뷔페는 소수만을 위한 사치품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올해 딸기 뷔페 시즌은 대부분 12월 말부터 내년 3월까지 이어진다. 과연 얼마나 많은 소비자들이 호텔 딸기 뷔페의 높은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