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포츠

손흥민, 미국행 관심 포착... 토트넘은 '케인과 달리' 특별 예우 제공한다

 토트넘 홋스퍼가 구단의 '리빙 레전드' 손흥민에게 특별한 예우를 제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토트넘 소식에 정통한 매체 '풋볼 런던'은 최근 보도를 통해 손흥민의 계약 상황과 미래에 대한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보도에 따르면, 토마스 프랭크 감독은 현재 팀의 두 핵심 선수인 손흥민과 크리스티안 로메로를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특히 손흥민의 경우, 과거 해리 케인이 겪었던 것과 유사한 진로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손흥민의 현 계약은 1년 후 만료될 예정이며, 지금까지 구단과 새로운 조건에 합의하지 않은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일각에서는 토트넘이 이적료 수익을 위해 올여름 손흥민을 매각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풋볼 런던'은 구단이 오히려 다른 접근법을 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체는 "구단은 지난 10년 동안 팀을 이끌어 온 주장을 매각해 이적료를 확보하는 대신, 그가 자신의 미래를 직접 결정하도록 내버려둘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토트넘이 손흥민의 공헌을 인정하고 그의 의사를 최우선으로 존중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손흥민은 2015년 바이어 레버쿠젠에서 토트넘으로 이적한 이후 약 10년간 한 팀에서 꾸준히 활약하며 구단 역사의 중요한 부분이 됐다. 트로피를 위해 팀을 떠난 다른 스타들과 달리, 손흥민은 토트넘에 대한 의리를 지켜왔고 이에 팬들의 각별한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 손흥민을 향한 관심은 전 세계적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구단들은 여전히 그를 프리미어리그에서 영입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미국 메이저리그 사커(MLS)와 튀르키예 리그에서도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풋볼 런던'에 따르면 손흥민 본인은 미국에서 뛰는 데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요한 것은 다음 단계다. 선수들이 프리시즌을 준비하기 위해 차례로 복귀하는 가운데, 손흥민은 프랭크 감독과 만나 자신의 미래와 새 시즌 계획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손흥민의 거취가 상당 부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토트넘의 이러한 접근법은 단순히 비즈니스적 결정을 넘어, 구단에 헌신해온 선수에 대한 존중과 예우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손흥민이 어떤 결정을 내리든, 토트넘은 그의 선택을 지지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과 바다는 이제 그만? 2025년 여행 트렌드 완전히 뒤집힌 충격적 결과

'재래시장'이 39.1%의 추천율로 58개 항목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이 추천된 장소로 선정됐다.특히 부산 중구는 75%라는 압도적인 추천율로 재래시장 부문 1위를 차지했다. 국제시장과 자갈치시장 등 대규모 시장이 밀집한 이 지역은 먹거리, 볼거리, 살거리가 풍부한 종합 관광자원으로 여행객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재래시장에 이어 '지역축제'가 32.4%로 2위를 차지했는데, 전남 함평이 70%의 추천율로 대표 지역으로 꼽혔다. 함평나비대축제와 같은 대규모 축제의 빠른 회복세에 힘입어 2019년보다 2계단 상승한 결과다. 3위는 이전 조사에서 1위였던 '산·계곡'(32.0%)으로, 주왕산국립공원이 있는 경북 청송이 83%의 높은 추천율을 기록했다.4위와 5위는 각각 '유명 음식점(식사류)'(27.2%)과 '전통·특색 음식'(26.3%)이 차지했다. 이는 여행에서 식도락이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지역별 강세를 살펴보면, 영남권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경북 청송은 '산·계곡', '농산물', '등산' 3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고, 안동은 '전통·특색 음식'과 '마을·주거지' 2개 부문에서 정상에 올랐다. 부산 중구도 '재래시장'과 '길거리 음식' 두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여기에 대구 중구('유명 음식점')와 경주('문화유물')를 더하면 영남권이 총 9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해 가장 많은 수상 실적을 기록했다.반면 호남권은 전남의 함평('지역축제'), 완도('수산물'), 담양('꽃·나무')과 전북 전주('민박·게스트하우스·모텔') 등 4곳에 그쳐 영남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광역단체별로도 경북(6개)이 전남(3개)의 2배에 달했다.흥미로운 점은 서울, 부산, 대구, 대전 등 광역시의 '중구'가 4곳이나 상위권에 포함됐다는 사실이다. 이들 지역은 모두 대도시의 오래된 구도심으로, 전통시장과 오랜 역사를 가진 점포들이 밀집해 있다. 최근에는 MZ세대 사이에서 레트로(복고풍) 여행지로 주목받으며 새로운 관광 명소로 부상하고 있다.2019년 대비 순위 변화를 살펴보면, '도시'에서의 '체험'과 '소비' 활동 관련 항목들이 크게 상승했다. '디저트류 유명 음식점'은 7계단 상승해 9위에 올랐고, '거리·대학문화'는 6계단 오르며 13위를 기록했다. '박물관·미술관'(14.2%)과 '마을·주거지'(13.2%)도 각각 4계단씩 상승해 14위와 16위를 차지했다. 이는 SNS에서 인증샷을 공유하기 좋은 '핫플레이스'를 선호하는 최근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반면, '자연'에서의 '휴식'과 '힐링'을 추구하는 '산·계곡'(32.0%)과 '바다·해변'(21.4%)은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지만, 각각 2계단과 1계단 하락했다. 특히 '길거리 음식'(12.5%)은 12계단이나 추락해 22위로 밀려났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위생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데다, 여행자들의 관심이 디저트 카페나 전문 음식점으로 옮겨간 영향으로 풀이된다.컨슈머인사이트는 "여행 트렌드의 핵심 변화는 자연 휴양에서 도시 체험으로의 확장"이라며 "SNS와 유튜브를 통해 여행 경험이 빠르게 공유되면서 여행지 선택 기준도 일상적인 장소까지 넓어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추천율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여행자원의 질이 우수하다는 의미는 아니며, 해당 지역에서의 희소성이나 특정 분야에 집중된 결과일 수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