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포츠

'WELCOME HOME' 모자 쓴 르브론, 레이커스 버리나?

 농구 황제 르브론 제임스가 LA 레이커스와의 동행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최근 5260만 달러에 달하는 플레이어 옵션을 행사하며 2025-26시즌까지 레이커스 유니폼을 입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 '잔류' 선언은 오히려 그의 트레이드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증폭시키는 아이러니를 낳고 있다.

 

그의 에이전트 리치 폴이 'ESPN'과의 인터뷰에서 던진 발언이 불씨를 지폈다. "제임스는 우승을 위해 경쟁하기를 바란다. 그는 레이커스가 미래를 준비 중이라는 것 역시 잘 알고 있다. 우리는 우승과 미래를 동시에 준비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잘 알고 있다"는 폴의 언급은 많은 이들에게 "레이커스가 우승을 원치 않는다면 제임스는 언제든 떠날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됐다. 실제로 레이커스는 '윈 나우(Win Now)'를 위한 과감한 전력 보강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어 이러한 해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제임스가 레이커스를 떠나 다른 팀으로 이적할 것이라는 예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카이리 어빙과 앤서니 데이비스, 쿠퍼 플래그가 있는 댈러스 매버릭스를 비롯해 스테판 커리의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뉴욕 닉스 등이 꾸준히 거론됐다. 특히 최근에는 그의 '친정팀'인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가 가장 유력한 행선지로 떠오르며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르브론 제임스의 클리블랜드 방문은 그야말로 뜨거운 감자였다. 그는 클리블랜드 훈련 시설에서 서머리그 초청 선수 덴버 존스와 함께 포착되었고, 심지어 골프를 즐기는 모습까지 공개되었다. 특히 그가 'WELCOME HOME' 모자를 착용한 사진이 퍼지면서 클리블랜드 복귀설은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되었다. 민감한 시기에 벌어진 그의 이러한 행보는 팬들 사이에서 "굳이 클리블랜드에서 개인 훈련과 여가를 즐겨야 했나?"라는 의문을 불러일으키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제임스는 이러한 여론을 의식한 듯 SNS를 통해 "나는 여전히 이곳에 살고 있고 매 여름마다 훈련한다. 여러분 제발, 다들 너무 할 일이 없는 것 같다. 어딘가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는 등 오늘을 즐기기를 바란다"며 논란을 잠재우려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가상 트레이드 시나리오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그의 해명은 오히려 불난 집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을 완전히 뒤집는 충격적인 주장이 제기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NBA 스카우트가 '훕스 와이어'의 샘 아미코와의 인터뷰에서 제임스의 트레이드는 결코 없을 것이라고 단언한 것이다. 이 스카우트는 "제발, 이런 말도 안 되는 소리는 그만하기를 바란다. 레이커스가 제임스를 트레이드할 가능성은 0%다. 제임스가 레이커스에 트레이드를 요청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어쩌면 0%보다 더 낮을 수도 있다.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제임스는 다음 시즌 레이커스에서 뛸 것이고 팀을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다. 그게 본인을 위한 최대 이익이기도 하다. 이건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문제다"라고 덧붙였다. 제임스가 레이커스에서 마지막 시즌을 소화한다면 루카 돈치치, 오스틴 리브스와 함께 다시 한번 NBA 정상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실적으로 레이커스의 전력은 우승과 거리가 멀고, 제임스의 연봉이 부담스러운 레이커스 입장에서 우승에 도움이 될 추가 전력 보강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킹' 르브론 제임스의 레이커스 잔류는 그의 커리어 마지막을 위한 최적의 선택이라는 역설적인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의 첫 희생양? 승객들 '터미널 혼란' 불가피

은 자신이 이용하는 항공편의 터미널 위치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에어부산이 7월 29일부터 T2로 이전을 완료했으며, 이날 0시 이후 도착한 승객들은 T2를 통해 입국했다. 오전 6시 50분 후쿠오카행 BX156편이 T2에서 첫 출발편으로 기록됐으며, 승객들은 T2 수속 카운터 E11~E20에서 탑승 수속을 진행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쾌적한 공항 환경 제공과 승객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기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고 밝혔다.에어부산은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전 결정 이후부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전 안내를 진행해왔다. 수속 카운터에 홍보물을 배치하고, 공항 키오스크, 공식 홈페이지, 모바일 웹·앱, SNS 채널을 활용했으며, 예약 승객을 대상으로 안내 문자와 알림톡을 발송하는 등 대내외 홍보 수단을 총동원했다.만약 승객이 실수로 T1에 도착한 경우에 대비해, 에어부산은 한 달간 긴급수송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터미널 이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에어부산의 이전을 시작으로, 에어서울은 오는 9월,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부터 각각 T2에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터미널 이전 문제는 공항 주차장과 제반 준비 문제 등으로 논의가 장기화됐으나, 최근 서울지방항공청과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회의를 통해 내년 1월 중으로 이전 시점을 최종 합의했다.주의할 점은 공동운항편(코드셰어)과 항공사 사정에 따라 실제 출입국 터미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들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출발 전 전자항공권(E-티켓)을 확인하거나 인천국제공항 홈페이지 내 항공편 검색을 통해 정확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터미널 이전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로, 양사의 통합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승객들은 앞으로 몇 개월간 인천공항을 이용할 때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탑승 터미널을 확인하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항에 도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