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포츠

MLB 심판들이 이정후만 노렸다?... 한국인 타자 울린 '황당 판정' 전격 공개

 메이저리그(MLB)가 자동투구판정시스템(ABS) 도입을 본격화하면서 그동안 논란이 됐던 심판 판정 오류로 인한 피해가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이정후 선수에게는 희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MLB 사무국은 지난 16일(한국시간) 올스타전에서 처음으로 ABS를 시범 도입했다. MLB는 이미 2021시즌부터 마이너리그에서 이 시스템을 테스트해왔으며, 2022년부터는 트리플A 경기에서도 활용 중이다. MLB.com에 따르면 MLB 공동 경기운영위원회는 올 시즌 후반기 중 2026시즌 ABS 정식 도입 여부에 대한 최종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정후는 올 시즌 초반부터 몇 차례 석연치 않은 심판 판정으로 불이익을 겪었다. 지난 4월 26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경기 9회 말, 선두타자로 나선 이정후는 좌완 투수의 시속 94.5마일(약 152.1km) 강속구에 얼굴을 맞을 뻔한 위험한 상황을 겪었다. 그는 반사적으로 몸을 피하며 가까스로 쓰러졌고, 공은 방망이에 맞고 파울이 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심판진은 파울이 아닌 스윙으로 판정해 헛스윙 삼진을 선언했다. 중계방송에서는 '딱'하는 소리가 들릴 정도였고, 느린 화면으로 봐도 배트에 공이 맞은 것으로 보였지만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경기 후 이정후는 드물게 판정에 대한 불만을 공개적으로 표출했다. "피하면서 방망이가 나간 상황이라 어쩔 수 없다고는 생각한다. 그래서 파울인지 아닌지 리뷰를 요청했지만, 심판이 이미 삼진을 선언했기 때문에 판독이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며 "상식적으로 손에 맞았다면 내가 뒹굴고 있었을 것이다. 바로 타석 준비를 할 리가 없다.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라며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약 한 달 후인 5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도 이정후는 미심쩍은 판정에 피해를 봤다. 1회 첫 타석에서 마이클 킹의 바깥쪽 높은 스위퍼에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았으나, MLB.com 게임데이 확인 결과 해당 공은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난 것이었다. 이후 이정후는 2구째 체인지업을 공략했지만 3루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같은 경기 6회 초 득점권 찬스에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는 판정이 나왔다. 3-0으로 유리한 볼카운트를 만든 이정후는 4구째 싱커가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보고 방망이를 거뒀으나 심판은 스트라이크를 선언했다. 다행히 이정후는 5구째 싱커를 공략해 내야안타를 만들며 아웃은 면했지만,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난 공에 스트라이크 콜이 나온 것은 경기 흐름을 끊는 석연치 않은 판정이었다.

 

이처럼 이정후는 이미 여러 차례 '사람 눈'의 한계로 인한 오심에 피해를 봤다. ABS 시스템이 도입되면 이정후뿐만 아니라 모든 메이저리거들이 더 이상 억울한 판정에 고개 숙이지 않아도 되는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의 정확한 판정은 선수들이 실력으로만 승부할 수 있는 공정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의 첫 희생양? 승객들 '터미널 혼란' 불가피

은 자신이 이용하는 항공편의 터미널 위치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에어부산이 7월 29일부터 T2로 이전을 완료했으며, 이날 0시 이후 도착한 승객들은 T2를 통해 입국했다. 오전 6시 50분 후쿠오카행 BX156편이 T2에서 첫 출발편으로 기록됐으며, 승객들은 T2 수속 카운터 E11~E20에서 탑승 수속을 진행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쾌적한 공항 환경 제공과 승객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기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고 밝혔다.에어부산은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전 결정 이후부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전 안내를 진행해왔다. 수속 카운터에 홍보물을 배치하고, 공항 키오스크, 공식 홈페이지, 모바일 웹·앱, SNS 채널을 활용했으며, 예약 승객을 대상으로 안내 문자와 알림톡을 발송하는 등 대내외 홍보 수단을 총동원했다.만약 승객이 실수로 T1에 도착한 경우에 대비해, 에어부산은 한 달간 긴급수송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터미널 이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에어부산의 이전을 시작으로, 에어서울은 오는 9월,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부터 각각 T2에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터미널 이전 문제는 공항 주차장과 제반 준비 문제 등으로 논의가 장기화됐으나, 최근 서울지방항공청과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회의를 통해 내년 1월 중으로 이전 시점을 최종 합의했다.주의할 점은 공동운항편(코드셰어)과 항공사 사정에 따라 실제 출입국 터미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들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출발 전 전자항공권(E-티켓)을 확인하거나 인천국제공항 홈페이지 내 항공편 검색을 통해 정확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터미널 이전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로, 양사의 통합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승객들은 앞으로 몇 개월간 인천공항을 이용할 때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탑승 터미널을 확인하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항에 도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