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포츠

"형은 돈만 보나"…팬들 비난 두려워 계약 미루는 김현수, 이적하면 배신자 낙인?

 2025시즌 LG 트윈스를 통합 우승으로 이끌며 한국시리즈 MVP를 거머쥔 김현수의 FA 계약이 예상 밖의 장기전으로 흐르고 있다. 원소속팀 LG 트윈스와 김현수 측은 지난 23일 한 차례 만남을 가졌지만, 구체적인 계약 조건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다음을 기약하며 돌아섰다. FA 시장 개장 초기부터 친정팀 두산과 전력 보강을 노리는 KT까지 가세하며 뜨거운 3파전이 예상되었으나, 정작 계약 소식은 들려오지 않으면서 그의 최종 행선지를 둘러싼 야구팬들의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 김현수를 둘러싼 영입전의 핵심은 ‘금액’이다. 원소속팀 LG는 샐러리캡의 압박으로 인해 3년 30억 원대의, 그의 이름값에 다소 미치지 못하는 금액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두산과 KT는 이를 훨씬 웃도는 조건을 제안하며 그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김현수 측은 LG의 제안에 대해 무리한 증액을 요구하지는 않았으나, 타 구단과 벌어진 현격한 금액 차이 앞에서 깊은 고심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팀에 대한 애정과 선수로서의 가치 평가 사이에서 그의 고민이 길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팀 동료 박해민의 잔류가 김현수의 선택에 미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떠올랐다. 박해민은 지난 21일, 타 구단의 10억 원 이상 높은 제안을 뿌리치고 4년 65억 원에 LG 잔류를 결정하며 팬들에게 큰 감동을 안겼다. 불과 며칠 차이로 팀에 대한 의리를 선택한 동료의 소식이 전해진 직후, 만약 김현수가 더 좋은 조건을 찾아 이적을 택한다면 FA로서의 정당한 권리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팬들의 아쉬움과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진다. 박해민과 비교될 수밖에 없는 부담스러운 상황이 그의 최종 결정을 늦추는 또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김현수의 마음이 LG 잔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조건의 차이 때문에 선뜻 도장을 찍지 못하는 진퇴양난의 상황일 가능성도 크다. 그는 올 시즌 팀의 정신적 지주로서 후배들을 이끌며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이라는 대업을 달성했고, 한국시리즈에서는 5할이 넘는 맹타로 MVP에 오르며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팀의 사정을 알기에 섣불리 증액을 요구하기도, 그렇다고 우승의 영광을 함께한 팀을 등지기도 쉽지 않은 복잡한 심경일 것이다. 다른 대어급 FA들이 속속 계약을 마치는 가운데, 스토브리그 최대어 김현수의 침묵이 길어지며 그의 최종 선택에 모든 이목이 쏠리고 있다.

 

'맥도날드 저격'하며 태어난 그 운동, 미국 한복판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다

임의 중심에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도, 새크라멘토가 떠오르고 있다. ‘성스러운 강’이라는 이름의 이 도시는 ‘팜 투 포크(Farm-to-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슬로건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내걸었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항하며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미국 서부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워서, 슬로푸드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테라 마드레(어머니의 땅)’ 축제가 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밖인 바로 이곳 새크라멘토에서 열리는 영광으로 이어졌다. 이는 새크라멘토가 단순한 미식 도시를 넘어, 패스트푸드로 상징되는 현대 문명에 맞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구심점이 되었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새크라멘토가 이처럼 ‘미국의 팜 투 포크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다. 역설적이게도 1852년의 대홍수가 시에라산맥의 비옥한 퇴적물을 센트럴밸리 전역으로 실어 날랐고, 새크라멘토강과 아메리카강이 만나는 풍부한 수량, 강렬한 햇살과 서늘한 저녁 기후가 더해져 농사를 위한 최적의 땅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도시 반경 100km 안에서 거의 모든 식자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요리사의 천국’이 탄생했다.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90% 이상, 세계 3대 자포니카 쌀 생산지, 미국 최대 캐비어 양식장이 이곳에 있으며, 토마토, 올리브, 와인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 들어서는 순간, 숯불 위에서 구워지는 패티와 갓 구운 빵, 신선한 농작물이 뒤섞여 뿜어내는 풍요로운 향기는 이 도시가 가진 땅의 힘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이처럼 거대한 농지가 세계적인 미식 도시로 탈바꿈한 데에는 몇몇 선구자들의 ‘가벼운 우연’과 ‘열정적인 모험’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민 2세대 농부였던 레이 융이 우연히 얻은 둥근 토마토 씨앗을 심었다가 밭 전체를 뒤덮자, 처리를 위해 현지 레스토랑에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팜(농장)’에서 ‘포크(식탁)’로 이어지는 직거래 문화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에 ‘요리계의 인디애나 존스’로 불린 식료품점 아들 대릴 코르티가 가세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누비며 당시 미국에는 생소했던 파르메산 치즈, 트러플, 발사믹 식초 등을 들여와 새크라멘토의 식탁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들의 노력이 씨앗이 되어 2012년, 케빈 존슨 전 시장은 새크라멘토를 ‘미국 팜 투 포크 운동의 수도’로 공식 선언하기에 이르렀다.새크라멘토의 철학은 결국 ‘시간의 회복’으로 귀결된다. 세계적인 셰프 엘리자베스 포크너는 테라 마드레 행사에서 “내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패스트푸드”라며, 아이들의 ‘인앤아웃 햄버거’ 타령에 씁쓸해했다. 그녀에게 패스트푸드와의 싸움은 곧 자신의 요리를 지속하게 하는 동력이다. 포크너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현지 농부와 어부를 직접 만나 제철 식재료를 확인하는 것을 요리의 첫걸음으로 삼는다. 이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생산자와의 관계를 맺고 자연의 리듬을 존중하는 슬로푸드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멕시코계, 아프가니스탄계 이민자들이 기른 작물이 스페인 음식에 매료된 요리사의 손에서 파에야로 재탄생하는 새크라멘토의 식탁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만들어내는 ‘인간적인 시간’ 그 자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