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포츠

미국에서 빈손으로 돌아오면?…KT-두산, 강백호 잡기 위한 ‘쩐의 전쟁’ 예고

 FA 시장 최대어로 꼽히던 강백호의 행보가 예상치 못한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메이저리그 도전을 선언한 그가 오는 20일, 본격적인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한다. 놀라운 점은 그가 미국행을 결심한 배경에 국내 구단들의 이례적인 침묵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강백호 본인은 "미국으로 떠나기 전 좋은 조건의 제안이 있었다면 잔류했을 것"이라며 국내 잔류 의사가 강했음을 내비쳤다. 하지만 원소속팀 KT 위즈를 포함한 어떤 구단도 그에게 공식적인 제안을 하지 않았다. 이는 강백호의 미국 도전 소식이 알려지자, 섣불리 그의 몸값 기준을 만들어주기보다 해외 시장의 평가를 먼저 지켜보려는 구단들의 전략적 눈치싸움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결국 '박자'가 꼬이면서 강백호는 일단 미국으로 건너가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는 길을 택하게 되었다.

 

강백호는 미국 현지에서 쇼케이스를 열어 메이저리그 구단 관계자들 앞에서 자신의 기량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는 2020년 나성범이 시도했던 방식과 유사한 적극적인 구애 방식이다. 메이저리그 구단들이 그에게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분명하다. 2018년 프로 데뷔 이후 리그를 대표하는 타자로 군림했으며, 특히 2019년부터 3시즌 연속 3할 3푼 이상의 타율을 기록했고, 2021년에는 타율 0.347, 102타점을 올리며 압도적인 공격력을 과시했다. 비록 최근 몇 년간 부상과 기복으로 성적이 하락하고 수비 포지션이 애매하다는 약점이 있지만, 여전히 그의 파워만큼은 메이저리그에서도 통할 수 있다는 평가가 존재한다.

 


물론 현지의 평가는 엇갈린다. 한 아메리칸리그 스카우트는 그의 파워를 인정하면서도 콘택트 능력과 수비에 대한 의구심을 표했다. 반면 다른 스카우트는 "우리 팀 외야수보다 수비가 낫다"며 "타격만 증명된다면 수비는 다른 선수로 보완하면 된다"는 긍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이처럼 그의 방망이는 여전히 매력적인 카드로 여겨지며, 오는 12월 열리는 윈터 미팅은 그의 빅리그 도전 성공 여부를 가늠할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모든 구단의 단장과 에이전트가 모이는 이 자리에서 그가 어떤 평가를 받느냐에 따라 협상의 향방이 결정될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강백호의 미국행은 국내 복귀 시 그의 가치를 더욱 폭등시킬 수 있는 지렛대가 될 수 있다. 만약 그가 만족할 만한 계약을 따내지 못하고 국내로 돌아올 경우, 그의 영입을 노리던 구단들의 본격적인 영입 전쟁이 시작될 것이기 때문이다. 원소속팀 KT는 "강백호가 최우선 순위"라며 마지막까지 소통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여기에 FA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른 두산 베어스까지 참전할 것이라는 후문이 돌면서, 그의 최종 행선지는 올겨울 스토브리그 전체를 뒤흔들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결국 미국에서의 평가는 그의 몸값을 결정할 바로미터이자, KBO 구단들의 '쩐의 전쟁'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맥도날드 저격'하며 태어난 그 운동, 미국 한복판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다

임의 중심에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도, 새크라멘토가 떠오르고 있다. ‘성스러운 강’이라는 이름의 이 도시는 ‘팜 투 포크(Farm-to-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슬로건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내걸었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항하며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미국 서부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워서, 슬로푸드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테라 마드레(어머니의 땅)’ 축제가 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밖인 바로 이곳 새크라멘토에서 열리는 영광으로 이어졌다. 이는 새크라멘토가 단순한 미식 도시를 넘어, 패스트푸드로 상징되는 현대 문명에 맞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구심점이 되었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새크라멘토가 이처럼 ‘미국의 팜 투 포크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다. 역설적이게도 1852년의 대홍수가 시에라산맥의 비옥한 퇴적물을 센트럴밸리 전역으로 실어 날랐고, 새크라멘토강과 아메리카강이 만나는 풍부한 수량, 강렬한 햇살과 서늘한 저녁 기후가 더해져 농사를 위한 최적의 땅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도시 반경 100km 안에서 거의 모든 식자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요리사의 천국’이 탄생했다.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90% 이상, 세계 3대 자포니카 쌀 생산지, 미국 최대 캐비어 양식장이 이곳에 있으며, 토마토, 올리브, 와인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 들어서는 순간, 숯불 위에서 구워지는 패티와 갓 구운 빵, 신선한 농작물이 뒤섞여 뿜어내는 풍요로운 향기는 이 도시가 가진 땅의 힘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이처럼 거대한 농지가 세계적인 미식 도시로 탈바꿈한 데에는 몇몇 선구자들의 ‘가벼운 우연’과 ‘열정적인 모험’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민 2세대 농부였던 레이 융이 우연히 얻은 둥근 토마토 씨앗을 심었다가 밭 전체를 뒤덮자, 처리를 위해 현지 레스토랑에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팜(농장)’에서 ‘포크(식탁)’로 이어지는 직거래 문화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에 ‘요리계의 인디애나 존스’로 불린 식료품점 아들 대릴 코르티가 가세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누비며 당시 미국에는 생소했던 파르메산 치즈, 트러플, 발사믹 식초 등을 들여와 새크라멘토의 식탁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들의 노력이 씨앗이 되어 2012년, 케빈 존슨 전 시장은 새크라멘토를 ‘미국 팜 투 포크 운동의 수도’로 공식 선언하기에 이르렀다.새크라멘토의 철학은 결국 ‘시간의 회복’으로 귀결된다. 세계적인 셰프 엘리자베스 포크너는 테라 마드레 행사에서 “내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패스트푸드”라며, 아이들의 ‘인앤아웃 햄버거’ 타령에 씁쓸해했다. 그녀에게 패스트푸드와의 싸움은 곧 자신의 요리를 지속하게 하는 동력이다. 포크너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현지 농부와 어부를 직접 만나 제철 식재료를 확인하는 것을 요리의 첫걸음으로 삼는다. 이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생산자와의 관계를 맺고 자연의 리듬을 존중하는 슬로푸드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멕시코계, 아프가니스탄계 이민자들이 기른 작물이 스페인 음식에 매료된 요리사의 손에서 파에야로 재탄생하는 새크라멘토의 식탁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만들어내는 ‘인간적인 시간’ 그 자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