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스트

문화포스트

연극 '유령'이 전하는 묵직한 울림.."나는 누구인가?"

 연극 무대 위, 사라진 존재들이 다시 살아난다. 창작극 ‘유령’은 관객에게 익숙한 희곡 형식을 따르지 않는다. 오히려 관객을 연극의 경계 안으로 끌어들이며 현실과 허구, 인물과 배우, 인생과 무대를 끊임없이 교차시킨다.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공연 중인 연극 <유령>은 무연고자로 생을 마친 한 여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극이 진행될수록 그 인물은 단지 ‘한 명의 이야기’가 아닌, 이 사회에서 소외되고 지워진 존재들의 초상으로 확장된다.

 

극의 문은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생에서 배씨, 정씨 그리고 다시 배씹니다”라는 독백으로 열린다. 연극 속 배명순은 남편의 폭력에서 도망쳐 ‘정순임’이란 이름으로 새 삶을 시작하지만, 결국 주민등록번호조차 말소된 채 무연고자로 생을 마감한다. 죽음 이후 그는 유령이 되어 무대에 돌아오고, 자신처럼 지워진 존재들의 목소리를 대신 전달하는 인물이 된다.

 

연출가 고선웅은 14년 만에 선보이는 창작극을 통해 존재의 의미와 인간의 존엄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한 신문 기사에서 무연고자의 안타까운 사연을 접한 그는, 그들의 삶을 단순히 비극으로 그리기보다 생의 아이러니와 연극적 환상을 통해 다층적으로 조명한다. 예상외로 작품은 어둡기보다는 소동극에 가깝다. 그러나 단순한 희극이라기보다는 삶과 죽음, 진실과 허구의 경계 위에서 진지한 질문을 던지는 묵직한 드라마다.

 

무대는 마치 영안실을 연상케 하는 차가운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줄지어 늘어선 상자들은 비석 혹은 분골함을 상징하며, 그 뒤편의 냉동고는 죽은 자들의 세계를 암시한다. 이 공간은 다시 무대 뒤 분장실로, 다시 연극이 펼쳐지는 극장 무대로 바뀌며 현실과 연극이 겹겹이 교차한다.

 

극 중 인물 배명순은 이야기 안에서 정순임으로, 그리고 다시 연기를 맡은 배우 이지하로 탈바꿈한다. 그녀를 괴롭히는 남편은 때로는 다른 인물, 다른 악역을 맡다가도 돌연 배우 강신구의 본모습으로 돌아온다. 무대 스태프들 역시 관객 앞에 등장한다. 분장사와 무대감독은 단순한 조력자가 아니라 연극의 주체로서 배우들과 함께 호흡하고, 때로는 이야기의 전개에 영향을 미치며 무대 위에서 현실로 스며든다.

 

 

 

이처럼 연극 <유령>은 무대 위 인물과 배우의 경계를 허물며, 관객에게 이중적 자각을 요구한다. ‘무연고자’라는 단어로 상징되는 사회적 지워짐은 곧 연극 속 역할의 지워짐과 맞닿아 있으며, 이는 곧 현실에서 살아가는 우리가 타인에게, 혹은 사회로부터 어떻게 존재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배우 전유경이 맡은 분장사의 대사는 이와 같은 질문을 잘 함축한다. “내가 알던 배우가 전혀 다른 사람이 되네. 칠한 다음에 변하는 거죠. 그리고 분장이 지워지면 원래대로 돌아오고. (…) 우리 인생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무대 위 배우들이 순간순간 자신을 벗어던지고 진짜 자아로 돌아오는 장면은, 관객에게 극 중 극이라는 연극적 장치를 넘어서 깊은 성찰을 유도한다. 이는 단지 연극적 실험이 아니라, 인간이란 존재의 양면성과 복잡성을 무대 위에서 구현한 장치이기도 하다. 그래서 <유령>은 단순히 무연고자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사람으로 태어나, 사람답게 살다가, 사람처럼 죽어야 한다는 연극의 마지막 메시지는 관객에게 무겁고도 깊은 울림을 남긴다.

 

연극은 “세상은 무대, 사람은 배우. 가끔가다 유령도 있구나”라는 대사로 끝난다. 이 한 문장에는 <유령>이라는 작품이 전하고자 하는 모든 함의가 담겨 있다. 우리가 각자의 삶에서 맡은 역할을 살아가다가, 어느 날 홀연히 막이 내리듯 퇴장하는 존재일 뿐이라는 진실. 연극은 이 퇴장을 결코 가볍게 다루지 않는다. 오히려 퇴장의 순간까지 존재를 증명하고자 하는,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다시 한 번 일깨운다.

 

허구와 현실이 끊임없이 엇갈리고 충돌하는 연극 <유령>은 결코 편안한 관람을 약속하지 않는다. 그러나 무대를 지키는 배우들의 힘 있고 섬세한 연기 덕분에, 이 ‘복잡하고 이상한’ 연극은 관객의 마음에 선명한 자취를 남긴다. 무연고자라는 이름 아래 사라졌던 존재들이, 연극의 형식을 빌려 비로소 다시 살아 숨 쉬게 된 것이다.

 

<유령>은 오는 22일까지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공연된다.

 

'상상 이상' 장흥 물축제, "물총 들고 뛰어!"

올해 축제는 ‘장흥은 지금 즐거움이 콸콸콸!’이라는 생동감 넘치는 슬로건 아래, 남녀노소 모두가 어우러져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채워질 예정이다. 장흥군은 9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밝히며, 이번 물축제가 “세계로 도약하는 여름 대표 축제”로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축제의 문은 7월 26일 ‘살수대첩 거리 퍼레이드’로 힘차게 열린다. 군민과 관광객이 함께 도심을 누비며 물을 뿌리고 즐기는 이 퍼레이드는 본격적인 축제의 서막을 알리는 화려한 이벤트로 기대를 모은다. 퍼레이드 이후 본격적으로 탐진강과 우드랜드 곳곳에서는 ‘지상 최대의 물싸움’, ‘수중 줄다리기’, ‘장흥 워터비트’, ‘황금 물고기를 잡아라’ 등 다채롭고 역동적인 물놀이 프로그램이 연일 펼쳐진다.특히 ‘지상 최대의 물싸움’은 장흥 물축제의 대표 콘텐츠로, 매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한 시간 동안 진행된다. 축제장을 찾은 방문객들은 거대한 워터건과 수영복 차림으로 탐진강 일대를 누비며,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버리는 물총 전투에 몰입할 수 있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이 프로그램은 가족 단위 관광객뿐 아니라 젊은층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대표 볼거리다. 올해 물축제는 어린이를 위한 배려도 강화된다. 축제 주최 측은 어린이 전용 물놀이장을 대폭 확대해, 안전하고 즐거운 놀이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축제 기간 동안 매일 오후 3시에는 ‘황금 물고기 잡기’ 행사가 열려, 어린이들에게는 잊지 못할 색다른 경험이 제공된다. 이 프로그램은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 가능하지만, 특히 가족 단위 관람객에게 큰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밤이 되면 장흥의 축제는 또 다른 열기를 더한다. 7월 31일에는 국내 대표 락밴드들이 출연하는 ‘장흥 락 페스티벌’이 열린다. 윤도현 밴드(YB), 육중완 밴드, 노브레인, 크랙샷 등 국내 최정상급 아티스트들이 여름밤을 뜨거운 무대로 달굴 예정이다. 이 락페스티벌은 물놀이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젊은층과 음악 팬들의 발길을 사로잡을 전망이다.또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특산물 홍보를 위해, 축제장 곳곳에서는 ‘장흥 삼합 페스타’도 함께 진행된다. 장흥 한우(소고기), 키조개, 표고버섯을 활용한 장흥만의 특색 있는 식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이 프로그램은 미식 관광객에게는 반가운 소식이다. 직접 조리하고 시식하는 즐거움까지 더해져, 장흥 고유의 맛과 멋을 한껏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김성 장흥군수는 “장흥 물축제가 특별한 이유는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모두 함께 만들어가는 축제이기 때문”이라며, “올해 축제에서도 더 많은 방문객들이 장흥의 아름다운 자연과 즐길 거리 속에서 가슴 뛰는 여름 추억을 만들기를 바란다”고 밝혔다.2024 정남진 장흥 물축제는 지역 주민, 자원봉사자, 상인, 관광객이 모두 어우러지는 ‘참여형 축제’로 기획되어, 단순히 보는 축제가 아닌 ‘함께 뛰고 즐기는 장’으로 진행된다. 탐진강의 맑은 물과 울창한 편백숲이 함께 어우러지는 천혜의 자연 속에서 진행되는 이번 축제는 올여름, 전국의 가족과 친구, 연인들이 주목해야 할 대표적인 피서 명소로 부상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