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스트

문화포스트

연극 '유령'이 전하는 묵직한 울림.."나는 누구인가?"

 연극 무대 위, 사라진 존재들이 다시 살아난다. 창작극 ‘유령’은 관객에게 익숙한 희곡 형식을 따르지 않는다. 오히려 관객을 연극의 경계 안으로 끌어들이며 현실과 허구, 인물과 배우, 인생과 무대를 끊임없이 교차시킨다.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공연 중인 연극 <유령>은 무연고자로 생을 마친 한 여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극이 진행될수록 그 인물은 단지 ‘한 명의 이야기’가 아닌, 이 사회에서 소외되고 지워진 존재들의 초상으로 확장된다.

 

극의 문은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생에서 배씨, 정씨 그리고 다시 배씹니다”라는 독백으로 열린다. 연극 속 배명순은 남편의 폭력에서 도망쳐 ‘정순임’이란 이름으로 새 삶을 시작하지만, 결국 주민등록번호조차 말소된 채 무연고자로 생을 마감한다. 죽음 이후 그는 유령이 되어 무대에 돌아오고, 자신처럼 지워진 존재들의 목소리를 대신 전달하는 인물이 된다.

 

연출가 고선웅은 14년 만에 선보이는 창작극을 통해 존재의 의미와 인간의 존엄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한 신문 기사에서 무연고자의 안타까운 사연을 접한 그는, 그들의 삶을 단순히 비극으로 그리기보다 생의 아이러니와 연극적 환상을 통해 다층적으로 조명한다. 예상외로 작품은 어둡기보다는 소동극에 가깝다. 그러나 단순한 희극이라기보다는 삶과 죽음, 진실과 허구의 경계 위에서 진지한 질문을 던지는 묵직한 드라마다.

 

무대는 마치 영안실을 연상케 하는 차가운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줄지어 늘어선 상자들은 비석 혹은 분골함을 상징하며, 그 뒤편의 냉동고는 죽은 자들의 세계를 암시한다. 이 공간은 다시 무대 뒤 분장실로, 다시 연극이 펼쳐지는 극장 무대로 바뀌며 현실과 연극이 겹겹이 교차한다.

 

극 중 인물 배명순은 이야기 안에서 정순임으로, 그리고 다시 연기를 맡은 배우 이지하로 탈바꿈한다. 그녀를 괴롭히는 남편은 때로는 다른 인물, 다른 악역을 맡다가도 돌연 배우 강신구의 본모습으로 돌아온다. 무대 스태프들 역시 관객 앞에 등장한다. 분장사와 무대감독은 단순한 조력자가 아니라 연극의 주체로서 배우들과 함께 호흡하고, 때로는 이야기의 전개에 영향을 미치며 무대 위에서 현실로 스며든다.

 

 

 

이처럼 연극 <유령>은 무대 위 인물과 배우의 경계를 허물며, 관객에게 이중적 자각을 요구한다. ‘무연고자’라는 단어로 상징되는 사회적 지워짐은 곧 연극 속 역할의 지워짐과 맞닿아 있으며, 이는 곧 현실에서 살아가는 우리가 타인에게, 혹은 사회로부터 어떻게 존재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배우 전유경이 맡은 분장사의 대사는 이와 같은 질문을 잘 함축한다. “내가 알던 배우가 전혀 다른 사람이 되네. 칠한 다음에 변하는 거죠. 그리고 분장이 지워지면 원래대로 돌아오고. (…) 우리 인생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무대 위 배우들이 순간순간 자신을 벗어던지고 진짜 자아로 돌아오는 장면은, 관객에게 극 중 극이라는 연극적 장치를 넘어서 깊은 성찰을 유도한다. 이는 단지 연극적 실험이 아니라, 인간이란 존재의 양면성과 복잡성을 무대 위에서 구현한 장치이기도 하다. 그래서 <유령>은 단순히 무연고자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사람으로 태어나, 사람답게 살다가, 사람처럼 죽어야 한다는 연극의 마지막 메시지는 관객에게 무겁고도 깊은 울림을 남긴다.

 

연극은 “세상은 무대, 사람은 배우. 가끔가다 유령도 있구나”라는 대사로 끝난다. 이 한 문장에는 <유령>이라는 작품이 전하고자 하는 모든 함의가 담겨 있다. 우리가 각자의 삶에서 맡은 역할을 살아가다가, 어느 날 홀연히 막이 내리듯 퇴장하는 존재일 뿐이라는 진실. 연극은 이 퇴장을 결코 가볍게 다루지 않는다. 오히려 퇴장의 순간까지 존재를 증명하고자 하는,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다시 한 번 일깨운다.

 

허구와 현실이 끊임없이 엇갈리고 충돌하는 연극 <유령>은 결코 편안한 관람을 약속하지 않는다. 그러나 무대를 지키는 배우들의 힘 있고 섬세한 연기 덕분에, 이 ‘복잡하고 이상한’ 연극은 관객의 마음에 선명한 자취를 남긴다. 무연고자라는 이름 아래 사라졌던 존재들이, 연극의 형식을 빌려 비로소 다시 살아 숨 쉬게 된 것이다.

 

<유령>은 오는 22일까지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공연된다.

 

서울시, 광복절 밤을 수놓을 화려한 축제 공개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역사적 감동과 문화 콘텐츠가 어우러진 자리로 꾸며질 예정이다.서울도서관 정문 앞에는 높이 6m, 폭 5m, 길이 45m에 이르는 대형 설치물 ‘태극기 언덕’이 조성된다. 이는 200개의 바람개비로 구성된 작품으로, 태극기를 형상화해 광복의 자부심과 기쁨을 상징한다. 언덕은 과거, 현재, 미래를 상징하는 세 가지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일제강점기 선열들의 발자취를 형상화한 길(과거), 시민이 함께 올라가는 공동체적 공간(현재), 언덕 위에서 미래를 바라보는 시선(미래)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태극기 언덕에는 꿈새김판이 설치돼 안중근 의사의 ‘단지동맹 혈서 태극기’를 중심으로, 서울의 발전사와 독립유공자 150명의 사진으로 구성된 포토 모자이크 작품이 전시된다. 멀리서 보면 하나의 큰 태극기지만, 가까이에서는 서울의 과거와 현재가 생생하게 담긴 구성으로, 시민들은 이 앞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며 역사적 감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광복을 기념하는 특별 전시도 마련된다. ‘광복열차’ 전시회는 해방 이후 우리 기술로 만든 첫 열차인 ‘해방자호’와 현존하는 최신 고속열차 KTX-청룡이 나란히 등장한다. 해방자호 전시관은 ‘경성에서 서울로-해방의 시대를 달리는 열차’를 주제로, 서울 출신 독립운동가와 그를 도운 외국인의 이야기를 다양한 사료와 함께 선보인다. 특히 서울시가 올해 처음 발굴한 독립유공자 관련 신규 자료들도 이번 전시를 통해 공개된다.KTX-청룡 전시관은 ‘서울에서 미래로’라는 주제로 구성되며, 서울의 발전과 함께 독립운동 유적지의 현재 모습을 조명한다. 이 외에도 ‘8.15초 스톱워치 체험’과 광복을 주제로 한 페이스페인팅 체험존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도 마련돼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서울의 과거와 현재를 한 장면에 담아낸 ‘리포토그래피’ 전시도 시민들의 발길을 끈다. 렌티큘러(입체 이미지) 인쇄 기법을 활용해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서울의 명소 21곳의 과거와 현재를 극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이 전시된다. 과거의 흑백사진과 현재의 컬러사진이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교차하며 시공간을 넘나드는 감각을 선사한다.다채로운 시민 체험 프로그램도 광복의 의미를 재조명한다. 마임 퍼포먼스, 태극기 공방, 독립운동 관련 퀴즈 이벤트 등이 상시 운영되며,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광복절 전야인 14일에는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400여 명이 참석하는 ‘서울시 경축식’이 열린다. 광복회 및 주요 보훈단체, 해외 독립운동가 후손, 일반 시민 등이 함께하며, 식전공연으로는 시민국악합창단의 무대가 준비된다. 이어 손기정 선수와 김구 선생 등의 모습을 인공지능(AI) 기술로 복원한 영상이 상영되고, 오세훈 서울시장의 경축사와 함께 초청된 후손의 특별 피아노 공연도 진행된다.광복절 당일인 15일 저녁에는 서울광장에서 기념 콘서트 ‘우리는 대한민국’이 개최된다. 방송인 신동엽이 사회를 맡고, 소프라노 조수미, 가수 김연자, 홍지민, god, 김범수, 다이나믹 듀오 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출연해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는 무대를 선보인다. 이어 16일에는 세종문화회관 뮤지컬 공연단이 ‘8.15 Seoul, My Soul’ 콘서트를 통해 축제 분위기를 이어간다.서울시는 이번 광복 80주년 행사를 통해 단순한 기념을 넘어, 시민과 함께하는 역사교육과 문화 체험의 장을 만들고자 한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세대 간 공감으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고, 우리 역사의 가치를 미래로 전하는 다양한 행사를 기획했다”며 “시민 모두가 축제를 통해 광복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느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