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스트

문화포스트

세계 거장들, 줄줄이 한국행..티켓 오픈과 동시에 매진

 최근 서울 무용계에 전례 없는 활기가 감돌고 있다. 국내 관객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이 고전 발레를 넘어 동시대 안무작, 모던 발레, 다원 예술이 결합된 현대무용 등 다양한 장르로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 무용계의 거장들이 잇따라 한국을 찾으며 무용 시장의 판도를 바꿔놓고 있다.

 

스페인의 마르코스 모라우가 이끄는 ‘라 베로날 컴퍼니’는 최근 서울 역삼동 GS아트센터에서 공연한 ‘죽음의 무도: 내일은 물음이다’로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수사복을 연상시키는 검은 옷을 입은 무용수들이 격렬한 동작으로 무대를 압도했고, 둥둥 울리는 타악기 소리에 맞춰 몸이 경련하듯 떨렸다. 배경막 위로는 햄버거와 굶주린 아이들, 미키마우스와 난민 보트, 전쟁과 재해의 이미지가 교차하며, 무대는 단순한 춤 공연을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던지는 강렬한 퍼포먼스의 장으로 탈바꿈했다. 일찌감치 매진된 공연은 서울 무용 팬들의 새로운 수요를 입증했다.

 

 

 

같은 시기 국립발레단이 선보인 드라마 발레 ‘카멜리아 레이디’ 역시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다섯 차례 전석 매진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프랑스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춘희’를 원작으로, 드라마 발레의 거장 존 노이마이어가 안무와 지도를 맡은 이 작품은 마르그리트와 아르망의 비극적 사랑을 발레로 그려냈다. 무용수들의 유려한 몸짓은 대사 없이도 관객의 감정을 자극했고,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갖춘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국립발레단은 이달 말 GS아트센터에서 체코 안무가 이어리 킬리언의 모던 발레 ‘킬리언 프로젝트’로 또 다른 도전에 나선다.

 

서울시발레단 역시 약진 중이다. 창단 1년도 되지 않아 관객 수가 1만5000명을 넘어섰고, 전체 객석 점유율은 83%에 달했다. 공공 컨템퍼러리 발레단을 표방하며 한스 판 마넨, 오하드 나하린, 요한 잉거 등 세계적 안무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예술성과 완성도를 높였다. 나하린의 ‘데카당스’, 잉거의 ‘워킹 매드’ 등의 작품은 새로운 무용 언어에 갈증을 느끼던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줬다. 서울시발레단의 무대에는 해외에서 활동 중인 한국 무용수들도 함께 하며, 국내외 무용계의 교류와 협업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무용 시장의 이 같은 변화는 단순한 흥행 성과를 넘어, 관객의 미학적 감수성과 선택의 폭이 넓어졌음을 의미한다. 과거 고전 발레 중심의 공연 구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제와 형식, 안무가의 실험정신이 담긴 무대들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앰비규어스 댄스 컴퍼니와 서울시발레단은 대형 발레단도 시도하지 못했던 장기 공연을 통해 흥행에 성공했고, 이러한 다양성과 실험성이 국내 무용계의 편식 경향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용계의 이러한 성장은 공연장을 넘어 새로운 공간으로도 확장 중이다. GS아트센터는 개관과 함께 세계 유수의 무용 작품들을 잇따라 유치하며 주목받고 있다.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의 내한 공연에서는 조지 발란신에서 트와일라 서프, 카일 에이브러햄에 이르기까지 미국 발레사의 흐름을 집대성한 무대를 선보였다. 에이브러햄의 ‘변덕스러운 아들(Mercurial Son)’은 무대미술과 움직임이 긴밀하게 결합된 작품으로, 동시대 무용의 경향을 명확히 보여줬다.

 

마르코스 모라우는 ‘죽음의 무도’ 외에도 GS아트센터에서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였다. 스페인 국립 플라멩코 발레단과 협업한 ‘아파나도르’는 전통 플라멩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했고, ‘파시오나리아’는 인간 이후의 인간을 탐구하는 SF적 상상력을 무대 위에 구현하며 장르의 경계를 허물었다.

 

무용평론가 정옥희는 “국내 무용수들이 고전 레퍼토리를 넘어 동시대 안무작을 소화할 수 있는 기량을 갖추면서, 관객 역시 새로운 무용 세계에 대한 기대를 품고 있다”며 “무용수, 관객, 시장 모두가 동시에 성숙해가는 전환점에 서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단순히 일시적 흥행이 아닌, 국내 무용계가 새 시대를 맞이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읽힌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