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스트

문화포스트

토니상 6관왕 ‘해피엔딩’ 열풍 속..토니상 실물이 대구로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미국 공연계 최고 권위의 토니상에서 6관왕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며 국내외의 주목을 받는 가운데, 대구에서도 토니상의 실물을 직접 볼 수 있는 이색 전시가 열리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바로 대구 이월드 83타워 76층에 위치한 뮤지컬 체험형 전시관 ‘라라의 뮤지컬 뮤지엄’이다. 지난해 문을 연 이 공간은 국내 최초로 토니상 트로피 실물을 포함한 세계적인 뮤지컬 관련 소장품들을 선보이며, 대중에게 뮤지컬의 역사와 감동을 전하고 있다.

 

이 전시관에서는 ‘오페라의 유령’, ‘그리스’, ‘오즈의 마법사’ 등 전설적인 뮤지컬과 영화 속 실제 등장한 의상과 소품, 출연진의 친필 사인이 담긴 자료들을 감상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단연 눈길을 끄는 공간은 ‘토니 어워드 관’이다. ‘공연계의 아카데미’로 불리는 토니 어워드는 브로드웨이 공연계를 대표하는 세계적 시상식으로, 그 상징성과 권위는 아카데미상 못지않다. 라라의 뮤지컬 뮤지엄에는 그 시작을 알리는 역사적인 트로피가 전시돼 있어 더욱 의미를 더한다.

 

 

 

가장 이목을 끄는 전시물은 바로 1947년 제1회 토니상 여우주연상 트로피다. 이 트로피는 당시 연극 ‘해피 버스데이’에서 도서관 사서 애디 역을 맡은 헬렌 헤이스에게 수여된 것이다. 헬렌 헤이스는 ‘미국 연극계의 영부인’이라 불릴 만큼 상징적인 인물로, 그녀의 수상은 토니상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순간이었다. 당시에는 현재처럼 메달 형태의 트로피가 아닌, 생활소품 형태의 상이 수여되었는데, 헬렌 헤이스에게는 티파니앤코에서 제작한 스털링 실버 소재의 콤팩트가 수여되었다. 이 콤팩트에는 수상자의 이니셜 ‘HH’가 정교하게 새겨져 있어 특별함을 더한다.

 

이러한 형태는 토니상의 초창기였던 1, 2회에만 유지됐으며, 1949년 제3회 시상식부터는 오늘날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는 메달형 트로피가 도입됐다. 전시관에는 이와 관련된 또 다른 의미 있는 소장품도 있다. 바로 1977년 뮤지컬 ‘애니’가 수상한 제31회 토니상 작품상 트로피다. 이 트로피 앞면에는 희극과 비극을 상징하는 고대 연극의 마스크가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시상식의 이름이 유래된 토니 앙투아네트 페리의 옆모습이 새겨져 있어 토니상의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전시관에는 전설적인 배우 주디 갈랜드가 제6회 토니상에서 받은 특별공로상 트로피도 함께 공개돼 있다. 주디 갈랜드는 ‘오즈의 마법사’에서 도로시 역을 맡아 전 세계에 이름을 알렸고, 이후 뮤지컬과 영화계를 오가며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인물이다. 그녀의 공로를 기리는 상 역시 뮤지컬 역사에 큰 의미를 지닌다.

 

이번 전시는 이랜드뮤지엄이 소장 중인 귀한 유물들을 일반에 공개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이랜드 측은 “이번 전시가 아시아 최대 뮤지컬 축제인 DIMF(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의 개최지인 대구에서 열리는 것은 매우 상징적인 일”이라며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한국과 세계 뮤지컬 문화를 잇는 가교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구 시민과 관광객들은 이제 브로드웨이까지 가지 않고도 뮤지컬의 심장이라 불리는 토니상의 실제 트로피를 가까이에서 보고, 뮤지컬의 역사와 숨결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전시는 뮤지컬 팬은 물론, 일반 대중에게도 문화예술의 감동을 전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효과?... 서울, 세계 MZ 취향저격 4년 연속 1위 '파격'

2025 더 트래지스(The Trazees) 어워드'에서 서울이 'MZ세대에게 가장 사랑받는 도시상(Favorite Worldwide City)'을 수상했다고 21일 공식 발표했다.이번 수상은 단순한 일회성 성과가 아닌 서울의 지속적인 글로벌 매력을 입증하는 결과다. 서울은 이번 수상을 포함해 2022년부터 무려 4년 연속 1위 자리를 지키며 글로벌 도시들 사이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공고히 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아일랜드 더블린(2위), 홍콩(3위), 영국 런던(4위) 등 세계적인 관광 명소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이다.'더 트래지스 어워드'는 글로벌 여행 전문 매체인 '글로벌 트래블러'의 모회사 '에프액스익스프레스 퍼블리케이션스'가 주최하는 권위 있는 시상식이다. 올해로 11회를 맞는 이 행사는 여행 전문 매체 '트래지 트래블'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투표를 통해 '여행지', '호텔', '관광 도시' 등 다양한 분야의 수상자를 매년 선정하고 있다. 특히 이 시상식은 글로벌 여행 트렌드에 민감하고 새로운 경험을 중시하는 MZ세대의 선호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서울의 이러한 성과는 한류 문화의 세계적인 확산과 서울만의 독특한 관광·문화 콘텐츠가 결합된 결과로 분석된다. 서울관광재단 관계자는 "K팝 등 한류 문화의 글로벌 영향력과 서울의 다양하고 풍부한 관광·문화 콘텐츠가 북미권 MZ세대에게 트렌디하게 어필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관광과 비즈니스, 문화·예술이 공존하는 글로벌 도시 서울이 전 세계인에게 꾸준히 사랑받도록 노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수상의 배경에 최근 글로벌 콘텐츠에서 서울의 증가하는 존재감도 한몫했다고 분석했다.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통해 서울이 관광인프라와 콘텐츠는 물론 트렌디한 라이프 스타일까지 주목받고 있다"며, "4년 연속 1위 등극은 글로벌 관광도시이자 문화·예술 도시로서 서울의 브랜드 가치와 경쟁력을 입증한 것"이라고 평가했다.이번 수상은 단순히 관광지로서의 인기를 넘어 서울이 지닌 문화적 영향력과 도시 브랜드의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전 세계 MZ세대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는 점은 향후 서울의 글로벌 위상과 관광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서울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특한 도시 경관, K-팝과 K-드라마로 대표되는 한류 문화의 중심지, 첨단 기술과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이 어우러진 도시로서 글로벌 MZ세대의 취향과 가치관을 충족시키는 매력적인 목적지로 자리잡았다. 이번 4년 연속 수상은 이러한 서울의 다양한 매력이 지속적으로 세계 젊은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음을 증명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