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스트

문화포스트

에펠탑 앞에서 솔로 연주... 한국 10대 피아니스트의 파격적인 세계 무대 진출

 올해 3월 프랑스 롱티보 국제콩쿠르에서 우승한 18세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첫 간담회를 통해 음악적 포부를 밝혔다. 26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그는 "한 분 한 분에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연주를 하고 싶다"는 진솔한 바람을 전했다.

 

김세현은 1943년 창설된 롱티보 콩쿠르에서 심사위원단 만장일치로 우승을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청중상, 평론가상, 파리특별상까지 동시에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세계 클래식계의 신성으로 떠올랐다. 이 콩쿠르는 만 16세부터 33세까지의 젊은 음악가들을 대상으로 하며, 2001년에는 피아니스트 임동혁이 우승하며 국제적 명성을 얻은 바 있다.

 

"기대하지 않았는데 큰 상과 과분한 관심을 받아 감사하다"라고 소감을 밝힌 김세현은 "우승 이후 연주 기회가 많이 주어져 자신을 돌아보는 기회가 됐다. 막중한 책임감도 생겼다"고 덧붙였다.

 

우승 이후 김세현의 일정은 바쁘게 채워지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유럽 전승 기념일' 평화음악회에 초청받아 파리 개선문에서 쇼팽의 녹턴을 연주했다. 다가오는 7월 14일 프랑스 혁명기념일에는 에펠탑 앞 마르스 광장에서 열리는 '파리 콘서트'에서 솔로 연주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같은 달 23일에는 유럽 최대 피아노 축제 중 하나인 '라 로크 당테롱 페스티벌'에서 리사이틀을 갖는다.

 


그는 "에펠탑 앞에서 펼칠 솔로 연주가 기대된다. 라 로크 페스티벌 역시 워낙 큰 무대라 설렌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2018년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한 김세현은 예원학교를 거쳐 현재 미국 하버드대학교 영문학 학사와 뉴잉글랜드 음악원 복수 학위 프로그램을 밟고 있다. 그는 음악과 문학의 연관성에 대해 "예술가의 상상과 아이디어를 현실에서 생명력을 갖게끔 고민한다는 점에서 문학과 음악의 본질은 같다고 생각한다"며 "인문학을 공부하는 게 피아노 연주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김세현은 현재 유명 클래식 레이블인 워너클래식과 함께 데뷔 음반을 준비 중이며, 이는 내년 봄에 발매될 예정이다. 그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드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꾸밈없이 현재 하고 있는 음악을 들려 드릴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처럼 김세현은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탁월한 음악적 재능과 함께 깊은 예술적 성찰을 보여주며, 한국을 대표하는 차세대 피아니스트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앞으로 세계 무대에서 그가 펼칠 음악적 여정에 많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당신이 꿈꾸던 여행지의 배신... 세계적 관광명소 10곳, 화려함 뒤에 숨겨진 '쓰레기 천국'

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전 세계 인기 관광 도시들의 거리 청결도를 분석해 최하위 10개 도시를 선정했다.이 연구는 Numbeo의 오염지수, Atlas D-Waste의 폐기물 발생량, 각 도시별 쓰레기 관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거리 위생 상태가 열악하다는 의미다. 순위에 오른 도시들은 모두 세계적인 인기 여행지임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었다.가장 더러운 관광 도시 1위는 놀랍게도 '영원의 도시' 로마(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청결도 점수 82.44로,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한 이 도시는 수년간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무단 투기와 쓰레기 수거 지연이 일상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2위는 '세계의 수도'라 불리는 뉴욕(미국)으로, 청결도 점수 81.76을 기록했다. 900만 인구와 연간 수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대도시의 특성상 거리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하철역과 번화가 주변의 쓰레기와 악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위는 피라미드의 도시 카이로(이집트)로, 청결도 점수 81.17을 받았다. 활기와 혼돈이 공존하는 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로, 거리 위생과 대기오염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4위는 이과수 폭포와 해변, 삼바의 도시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로 청결도 점수 77.53을 기록했다.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격차로 인해 거리 환경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곳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5위는 멕시코시티(멕시코)로 청결도 점수 70.84를 받았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거리예술로 유명하지만, 대도시 특유의 쓰레기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6위는 아테네(그리스)로 청결도 점수 70.82를 기록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도시가 공존하는 이곳은 특히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7위는 방콕(태국)으로 청결도 점수 70.41을 받았다. 화려한 사원과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하지만, 비 오는 날의 배수 문제와 거리 청소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지적됐다.8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로 청결도 점수 68.87을 기록했다. 다양성과 예술의 도시지만, 중심가 거리 곳곳의 위생 문제와 노숙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거리 청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9위는 마라케시(모로코)로 청결도 점수 64.09를 받았다. 다채로운 색과 향신료, 활기찬 시장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메디나(구시가지) 지역의 청결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10위는 낭만의 도시 파리(프랑스)로 청결도 점수 60.26을 기록했다. 에펠탑과 같은 화려한 관광명소 뒤편에는 넘쳐나는 쓰레기통과 보도에 버려진 담배꽁초 등 관리가 어려운 현실이 존재한다.이 보고서는 해당 도시들을 방문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라, 여행자들에게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돕는 정보에 가깝다. 여행은 언제나 예측 불가한 요소가 있고, 약간의 불편함도 여행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손 소독제와 닫힌 신발,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만 준비한다면, 이 도시들도 여전히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