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스트

문화포스트

'불닭' 앞세우고 '만두 공장' 짓고…'기회의 땅' 유럽 점령 나선 K푸드 연합군

 미국발(發) 통상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식품업계가 유럽을 ‘기회의 땅’으로 낙점하고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한때 아시아와 미국 시장의 후순위로 여겨졌던 유럽이 K-푸드 열풍의 새로운 진원지로 떠오르면서, 이제는 미래 성장을 책임질 핵심 전략지로 위상이 격상된 것이다. 최근 독일 쾰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식품박람회 ‘아누가 2025’는 유럽 시장을 향한 K-푸드의 야심을 엿볼 수 있는 상징적인 무대였다.

 

이번 박람회에서 한국이 사상 처음 ‘주빈국(Partner Country)’으로 선정된 가운데, 국내 대표 식품 기업들은 유럽인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한 전략 무기를 대거 선보였다. ‘불닭볶음면’ 신드롬의 주역 삼양식품은 현지 유통사와 손잡고 대형마트 입점을 가속화하며 ‘매운맛의 현지화’를 선언했다. 팔도는 ‘비빔면’을 필두로 차갑게 즐기는 ‘콜드 누들’이라는 새로운 콘셉트를 제시했으며, BBQ는 유럽 맞춤형 치킨 메뉴로 K-치킨의 저력을 과시했다. 풀무원, 롯데웰푸드 등 신규 참가 기업들까지 가세하며 K-푸드는 하나의 거대한 흐름을 형성했다.

 

 

 

단순한 제품 수출을 넘어, 현지에 생산 거점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은 유럽 시장 공략이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장기적인 포석임을 보여준다. CJ제일제당은 헝가리에 축구장 16개 크기의 ‘비비고 만두’ 공장을, 대상은 폴란드에 연간 3천 톤 생산 능력의 김치 공장을 건설하며 유럽 식탁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농심, 삼양, 풀무원 역시 네덜란드 등에 유럽 법인을 속속 설립하며 현지 영업망과 생산라인 구축을 위한 전초기지를 마련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이러한 공격적인 행보는 구체적인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한국 농식품의 유럽 수출액은 전년 대비 25% 이상 급증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24%에 가까운 고성장을 이어갔다. 트럼프 행정부 이후 지속되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압박 속에서,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유럽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식품업계는 유럽을 제2의 내수시장으로 삼아, 불확실한 글로벌 시장 환경을 돌파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시끄러운 도시 떠나 '소나무의 땅'으로…튀르키예의 27번째 '느린 도시' 차멜리

를 보존하자는 이 운동은 현재 30여 개국 280여 개 도시가 동참하며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최근 튀르키예 남서부 데니즐리주에 위치한 차멜리가 새로운 '느린 도시'로 지정되면서, 튀르키예의 치타슬로 도시는 총 27곳으로 늘어났다. 특히 이번 지정은 대한민국 완도에서 아시아 최초로 열린 '국제슬로시티총회'에서 결정되어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차멜리는 세계적인 관광 명소 파묵칼레에서 남쪽으로 약 110km 떨어진 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소나무의 땅'이라는 이름처럼 소나무, 참나무, 향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수정처럼 맑은 연못이 어우러져 고요하고 평화로운 풍경을 자랑한다. 도시의 소음에서 벗어나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진정한 쉼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차멜리는 평온한 휴식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여행지이기도 하다. 울창한 산과 계곡을 따라 잘 조성된 하이킹 및 자전거 트레일은 전 세계 트레킹 애호가들을 유혹하며, 매년 열리는 패러글라이딩 챔피언십과 자전거 축제는 역동적인 즐거움을 선사한다. 또한,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신선한 식재료로 만든 전통 요리와 현지 장인들의 손길이 닿은 수공예품은 차멜리 고유의 문화를 오롯이 보여준다. 특히,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 일품인 '차멜리 콩'과 맑은 물에서 자란 신선한 송어 요리는 이곳을 방문했다면 반드시 맛봐야 할 별미로 꼽힌다. 자연 속에서의 여유로운 휴식과 활기 넘치는 레포츠, 그리고 건강한 먹거리까지, 차멜리는 여행객들에게 다채로운 만족감을 선사하며 '느린 여행'의 진수를 보여준다.차멜리가 속한 데니즐리 지역은 히타이트, 프리기아, 로마 제국을 거치며 형성된 유서 깊은 역사를 간직한 도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대 도시 히에라폴리스와 눈부시게 하얀 석회 절벽이 장관을 이루는 파묵칼레는 데니즐리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관광지다. 최근에는 '찰 포도원 루트'를 중심으로 튀르키예 와인의 주요 생산지로 새롭게 주목받으며, 역사와 자연, 미식이 어우러진 풍성한 여행을 제안한다. 이처럼 데니즐리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며 다채로운 매력을 발산하는 곳으로, 차멜리와 함께 튀르키예의 숨겨진 보석 같은 여행지로 떠오르고 있다. 여행자들은 이곳에서 장엄한 유적지를 둘러보고,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며, 풍미 가득한 와인을 맛보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튀르키예의 치타슬로 운동은 2009년 이즈미르주의 세페리히사르가 최초로 인증을 받으며 시작되었다. 이후 아흘라트, 포차, 괵체아다, 사프란볼루, 샤브샤트 등 전국 각지로 확산하여 현재 7개 지역 23개 주에 걸쳐 총 27개의 '느린 도시'가 운영되고 있다. 이는 튀르키예가 지속 가능한 관광과 지역 고유의 가치 보존에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각 치타슬로 도시는 저마다의 독특한 문화와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며, 빠름과 경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진정한 휴식과 재충전의 기회를 선사한다. 튀르키예의 '느린 도시'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그 수를 늘려가며 전 세계 여행자들에게 느림의 가치를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