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스트

문화포스트

루브르, 대영박물관 다음은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세계 TOP 5 등극 '초읽기'

 국립중앙박물관이 문을 연 이래 최고의 전성기를 맞았다. 올해가 채 끝나기도 전인 10월 15일을 기준으로 연간 누적 관람객 수가 500만 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우는 기염을 토했다. 정확히 501만 6382명,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295만 5789명과 비교했을 때 무려 70%나 급증한 수치다. 박물관의 문턱이 닳도록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다는 말이 과장이 아닌 셈이다. 이러한 열기는 내국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외국인 관람객 역시 18만 5705명을 기록하며 지난해 전체 외국인 방문객 수의 93.7%에 육박, 전 세계적인 관심이 한국의 박물관으로 쏠리고 있음을 증명했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배경에는 단연 'K-컬처'의 눈부신 활약이 자리하고 있다. 우리 문화를 소재로 한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고, 방탄소년단(BTS)과 스트레이키즈 등 K팝 스타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의 미를 알리면서 젊은 세대와 외국인들의 관심이 자연스럽게 박물관으로 이어진 것이다. 과거의 유물을 조용히 관람하던 장소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K-컬처의 뿌리를 직접 확인하고 체험하는 '성지'로 거듭나면서 새로운 관람객층을 대거 유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박물관 측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낡은 전시공간을 새롭게 단장하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개발하며, 관람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한 노력이 시너지를 낸 결과로 분석된다.

 


박물관의 인기는 이제 어지간한 프로 스포츠를 압도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국립중앙박물관과 13개 소속 지방 박물관을 모두 합한 총관람객 수는 1129만 6254명으로, 올해 프로축구 전체 관중인 196만여 명을 가볍게 뛰어넘었으며, 최고의 인기 스포츠인 프로야구의 누적 관중(1231만 명)마저 턱밑까지 추격했다. 더 이상 박물관이 소수만이 즐기는 고상한 취미가 아니라, 야구장이나 축구장처럼 누구나 즐겨 찾는 대중적인 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지표다.

 

세계 무대에서도 국립중앙박물관의 위상은 달라졌다. 미술 전문매체 '아트 뉴스페이퍼'에 따르면, 한 해 5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맞는 단일 박물관은 전 세계적으로도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바티칸 박물관, 영국 대영박물관,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 등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힌다. 지금의 추세라면 국립중앙박물관이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 5대 박물관의 반열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홍준 관장이 "국민이 일상 속에서 문화를 즐기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한 것처럼, 이제 국립중앙박물관은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문화 명소로의 도약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한 달 만에 15만 명 다녀갔다…넷플릭스 손잡은 에버랜드, '케데헌'으로 대박 터트린 비결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를 테마로 한 다채로운 콘텐츠를 선보였으며, 이는 지난 한 달간 약 15만 명의 관람객을 끌어모으는 기염을 토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테마파크가 글로벌 IP와 만나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한 대표적인 사례로, 공식 오픈 전부터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케데헌 열풍'을 예고하며 큰 기대를 모았다. 단순한 캐릭터 도입을 넘어, 테마파크의 공간과 콘텐츠에 애니메이션의 세계관을 완벽하게 녹여내며 방문객들에게 전에 없던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이번 협업의 백미는 단연 밤하늘을 화려하게 수놓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싱어롱 불꽃쇼'다. '골든(Golden)', '하우 잇츠 던(How It’s Done)' 등 작품 속 주옥같은 OST가 울려 퍼지면, 수천 발의 불꽃이 음악에 맞춰 밤하늘을 황금빛으로 물들인다. 에버랜드는 기존 불꽃쇼 대비 연출 규모를 약 25% 확대하고, 포시즌스가든의 초대형 LED 스크린과 몰입형 사운드 시스템을 결합하여 마치 애니메이션 속 콘서트 현장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매일 밤 4천여 명의 관객이 운집하는 이 공연에서는 음악을 따라 부르는 '떼창'이 자연스럽게 연출되며, 선선한 가을밤의 정취와 함께 잊지 못할 감동과 장관을 선사하고 있다.낮 시간 동안에는 가족 단위 방문객과 작품의 팬들로 '케데헌 테마존'이 인산인해를 이룬다. 지난 9월 말 문을 연 테마존은 개장과 동시에 '오픈런' 행렬이 이어질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증명했다. 수십만 팔로워를 보유한 유튜버 '서이브', '예콩이네' 등이 방문 인증 콘텐츠를 올리며 온라인상에서 '꼭 가봐야 할 핫플레이스'로 입소문을 탔다. 특히, 작품 속 캐릭터의 목소리를 연기한 김예림, 강수진 성우가 직접 테마존을 체험하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팬들의 방문 열기는 더욱 뜨거워졌다. 현장에는 '헌트릭스', '사자 보이즈' 등 작품 속 요소를 그대로 재현한 체험 공간이 마련되어, 방문객들은 캐릭터 의상을 입고 OST에 맞춰 춤을 추는 등 오감으로 작품의 세계를 즐기고 있다.협업의 성공은 굿즈 판매량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에버랜드가 단독으로 선보인 40여 종의 한정판 콜라보 굿즈는 팬들의 소장 욕구를 자극하며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그중에서도 귀여운 판다 인형에 작품 속 캐릭터 '더피'의 모자를 씌운 '판다 더피 인형'은 출시 직후 품절 대란을 일으키며 '머스트 해브 아이템'으로 등극했다. 현재까지 콜라보 굿즈의 누적 판매량은 4만 개를 돌파하며, 콘텐츠의 인기가 실질적인 소비로 이어지는 성공 공식을 입증했다. 에버랜드는 케데헌 협업 외에도 다채로운 가을 축제를 함께 운영하며, 단풍 시즌을 맞아 더 많은 방문객이 파크를 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