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스트

문화포스트

결국 무대엔 못 섰다…투병 최불암, 소년원 아이들에게 전한 마지막 당부

 배우 최불암이 10년 넘게 이어온 소년 수형자들을 위한 특별한 무대가 올해도 어김없이 막을 올렸다. 사단법인 제로캠프의 이사장인 그는 20일 경북 김천소년교도소에서 열리는 창작 뮤지컬 ‘夢(몽)’에 출연하는 소년수들을 향해 "인간이 이루지 못할 일은 없다"는 묵직한 격려를 전했다. 이 공연은 지난 2013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13번째를 맞는 의미 깊은 행사로, 차가운 담장 안에 갇힌 소년들의 마음에 예술을 통한 변화의 씨앗을 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로캠프는 2012년, 한 독지가가 소년 수형자들의 새 출발을 위해 쾌척한 30억 원의 기부금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배우 최불암의 굳건한 신념이 자리하고 있다.

 

최불암 이사장은 문화예술이야말로 인간의 내면을 순화하고 잠재된 선한 의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는 믿음 아래 단체를 설립하고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묵묵히 이끌어왔다. 그는 "아무리 제멋대로인 사람이라도 연극이라는 틀 안에 들어오면 약속을 지키고, 대본을 읽고, 스스로를 돌아보게 된다"고 강조하며 예술이 가진 교육적, 교화적 힘을 역설해왔다. 단순히 이름만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사재까지 보태가며 단체의 운영을 도맡아 온 그는, 사회의 그늘에 가려진 소년 수형자 한 명 한 명을 따뜻한 시선으로 보듬으며 이들의 진정한 변화와 사회 복귀를 위해 깊은 애정을 쏟아부었다.

 


이번에 13번째로 무대에 오르는 창작 뮤지컬 ‘夢(몽)’은 제목 그대로 소년 수형자들의 새로운 시작과 희망에 대한 염원을 담아낸 작품이다. 연출을 맡은 추미정 연출가는 "이것은 단순히 한 편의 공연을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교정시설의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어 표현하고 세상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과정 그 자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무대를 통해 아이들이 과거의 자신을 반성하고, 타인과 세상을 이해하며, 앞으로 나아갈 용기를 얻기를 바란다는 소망을 밝혔다. 김천소년교도소의 이일환 소장 역시 "이번 공연이 수형자들이 피해자의 아픔을 공감하고 깊이 반성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함께 땀 흘린 경험이 이들의 남은 인생에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전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올해 공연에는 아이들이 그토록 기다렸을 최불암 이사장이 함께하지 못했다. 그의 뜻에 깊이 공감하여 이번 공연을 후원한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의 여승수 사무총장은 "최불암 배우님은 저희 재단 전국후원회 회장으로 40년 넘게 봉사해오셨다"고 오랜 인연을 밝히며, "현재 건강 문제로 투병 중이시라 아쉽게도 이번 공연에는 참석하지 못하신다"고 전했다. 여 총장은 "투병 중에도 아이들의 공연을 세심하게 챙기시는 모습에 가슴이 뭉클했다"고 덧붙였다. 비록 몸은 함께하지 못했지만, 최 이사장은 "예술을 바라보는 사람은 행복합니다. 아이들이 무대에서 깨달은 그 행복을 주머니 속에 소중히 넣고, 앞으로의 바쁜 인생길을 씩씩하게 걸어가길 바랍니다"라는 따뜻한 당부의 말을 전하며 아이들의 새로운 꿈을 멀리서나마 응원했다.

 

'맥도날드 저격'하며 태어난 그 운동, 미국 한복판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다

임의 중심에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도, 새크라멘토가 떠오르고 있다. ‘성스러운 강’이라는 이름의 이 도시는 ‘팜 투 포크(Farm-to-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슬로건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내걸었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항하며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미국 서부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워서, 슬로푸드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테라 마드레(어머니의 땅)’ 축제가 사상 처음으로 이탈리아 밖인 바로 이곳 새크라멘토에서 열리는 영광으로 이어졌다. 이는 새크라멘토가 단순한 미식 도시를 넘어, 패스트푸드로 상징되는 현대 문명에 맞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구심점이 되었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새크라멘토가 이처럼 ‘미국의 팜 투 포크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있다. 역설적이게도 1852년의 대홍수가 시에라산맥의 비옥한 퇴적물을 센트럴밸리 전역으로 실어 날랐고, 새크라멘토강과 아메리카강이 만나는 풍부한 수량, 강렬한 햇살과 서늘한 저녁 기후가 더해져 농사를 위한 최적의 땅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도시 반경 100km 안에서 거의 모든 식자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요리사의 천국’이 탄생했다.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90% 이상, 세계 3대 자포니카 쌀 생산지, 미국 최대 캐비어 양식장이 이곳에 있으며, 토마토, 올리브, 와인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 들어서는 순간, 숯불 위에서 구워지는 패티와 갓 구운 빵, 신선한 농작물이 뒤섞여 뿜어내는 풍요로운 향기는 이 도시가 가진 땅의 힘을 오감으로 느끼게 한다.이처럼 거대한 농지가 세계적인 미식 도시로 탈바꿈한 데에는 몇몇 선구자들의 ‘가벼운 우연’과 ‘열정적인 모험’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민 2세대 농부였던 레이 융이 우연히 얻은 둥근 토마토 씨앗을 심었다가 밭 전체를 뒤덮자, 처리를 위해 현지 레스토랑에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팜(농장)’에서 ‘포크(식탁)’로 이어지는 직거래 문화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에 ‘요리계의 인디애나 존스’로 불린 식료품점 아들 대릴 코르티가 가세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누비며 당시 미국에는 생소했던 파르메산 치즈, 트러플, 발사믹 식초 등을 들여와 새크라멘토의 식탁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들의 노력이 씨앗이 되어 2012년, 케빈 존슨 전 시장은 새크라멘토를 ‘미국 팜 투 포크 운동의 수도’로 공식 선언하기에 이르렀다.새크라멘토의 철학은 결국 ‘시간의 회복’으로 귀결된다. 세계적인 셰프 엘리자베스 포크너는 테라 마드레 행사에서 “내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패스트푸드”라며, 아이들의 ‘인앤아웃 햄버거’ 타령에 씁쓸해했다. 그녀에게 패스트푸드와의 싸움은 곧 자신의 요리를 지속하게 하는 동력이다. 포크너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현지 농부와 어부를 직접 만나 제철 식재료를 확인하는 것을 요리의 첫걸음으로 삼는다. 이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생산자와의 관계를 맺고 자연의 리듬을 존중하는 슬로푸드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 멕시코계, 아프가니스탄계 이민자들이 기른 작물이 스페인 음식에 매료된 요리사의 손에서 파에야로 재탄생하는 새크라멘토의 식탁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만들어내는 ‘인간적인 시간’ 그 자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