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여행

힐링여행

임금님도 반한 그 맛! 공주 '사백년 인절미 축제', 떡메치러 가자!

 400년 전, 임금님도 반했다는 특별한 떡! 그 쫄깃하고 고소한 맛의 주인공, 인절미를 테마로 한 축제가 충남 공주에서 펼쳐진다. 공주시는 오는 3월 15일(금)부터 16일(토)까지 이틀간 산성시장 문화공원에서 '사백년 인절미 축제'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축제는 조선 인조 임금과 얽힌 인절미의 유래를 널리 알리고, '떡의 도시' 공주의 다채로운 매력을 뽐내는 자리다. 축제장을 찾은 방문객들은 직접 떡메를 치며 인절미를 만들고, 갓 만든 떡을 맛보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사백년 인절미 축제'는 단순한 먹거리 축제를 넘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풍성한 체험 프로그램을 자랑한다.

 

축제의 백미는 단연 인절미 떡메치기 체험이다.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해 떡메를 내리치며 쫄깃한 인절미를 만드는 재미에 푹 빠질 수 있다. 직접 만든 인절미를 맛보는 시식회도 놓칠 수 없는 즐거움이다.

 

흥겨운 문화공연도 축제 분위기를 한껏 돋운다. 신나는 음악과 춤이 어우러진 공연은 방문객들의 어깨를 들썩이게 할 것이다. 또한, 따끈한 가래떡을 구워 먹는 체험과 시민들이 끼를 발산하는 노래자랑도 마련돼 즐거움을 더한다.

 


축제 기간 내내 운영되는 상설 프로그램도 알차다.

 

공주 지역의 특색 있는 떡과 다양한 특산품을 판매하는 부스들이 방문객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눈으로 보고, 맛보고, 구매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전통 놀이 체험 공간도 마련된다. 윷놀이, 투호 등 잊혀져 가는 전통 놀이를 즐기며 온 가족이 함께 웃음꽃을 피울 수 있다.

 

공주 인절미는 특별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1624년,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 공산성으로 피신한 인조 임금에게 임씨 성을 가진 백성이 콩고물을 묻힌 떡을 진상했는데, 그 맛이 뛰어나 임금이 감탄하며 떡 이름을 물었다고 한다. 백성이 "이름은 모르고 임씨가 만든 떡"이라고 답하자, 임금이 "임씨가 만든 절미(絶味, 맛이 뛰어난 음식)"라고 칭찬하며 '임절미'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 '임절미'가 '인절미'로 변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최원철 공주시장은 "이번 축제를 통해 인절미의 유래를 간직한 떡의 도시, 공주의 매력을 널리 알리고 싶다"며, "많은 분들이 오셔서 400년 전 통의 인절미도 맛보고, 즐거운 추억도 많이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딸기 뷔페 한 번에 30만 원?"… 역대급 가격 인상에 '헉'

름이 깊어지고 있다. 주요 호텔들이 일제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이제 딸기 뷔페는 '큰맘 먹고' 즐겨야 하는 특별한 경험이 되어버렸다. 특히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은 성인 1인 가격을 지난해 10만 5천 원에서 13만 5천 원으로 무려 28.6%나 인상하며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다. 이는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선, 호텔가의 고급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롯데호텔 서울 페닌슐라 역시 11.1% 인상된 15만 원의 가격표를 내걸었고, 서울드래곤시티 인스타일도 11만 원으로 가격을 올리며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이러한 가격 인상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호텔 업계는 원재료 및 운영 비용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특히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 디저트 재료의 수급 비용이 증가했고, 인건비 부담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단순히 비용 증가만으로 이번 가격 인상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호텔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차별화를 꾀하려는 프리미엄 전략 역시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중요한 요인이다. 희귀 품종의 딸기를 공수해오거나, 유명 쇼콜라티에와의 협업을 통해 독점적인 메뉴를 선보이는 등, '더 비싸고, 더 특별하게'를 외치는 호텔가의 경쟁은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일부는 "1년에 한 번뿐인 사치"라며 기꺼이 지갑을 열지만, 대다수는 "해도 너무한다"는 불만을 토로한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가족 단위 고객들에게는 더욱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반얀트리 호텔의 경우 어린이 요금을 14.2% 인상한 8만 원으로 책정했고, 롯데호텔 서울 페닌슐라 역시 6만 5천 원에서 8만 원으로 어린이 요금을 조정했다. 성인 2인에 어린이 1인 가족이 딸기 뷔페를 즐기기 위해서는 30만 원이 훌쩍 넘는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셈이다. 이렇다 보니 "그 돈이면 차라리 다른 것을 하겠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SNS에서는 '딸기 뷔페 대신 즐길 수 있는 가성비 디저트 맛집' 리스트가 공유되는 등, 소비자들은 나름의 대안을 찾아 나서고 있다.결국 호텔 딸기 뷔페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가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약이 어렵다는 점에서, 호텔가의 프리미엄 전략은 일단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이 장기적으로도 유효할지는 미지수다. 경기 침체와 고물가 시대에 접어들면서 소비자들의 지갑은 점점 얇아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고가 정책이 계속된다면, '대중적인 겨울철 별미'였던 딸기 뷔페는 소수만을 위한 사치품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올해 딸기 뷔페 시즌은 대부분 12월 말부터 내년 3월까지 이어진다. 과연 얼마나 많은 소비자들이 호텔 딸기 뷔페의 높은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