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커피보다 오래된 '녹색 가루'가 MZ세대 사로잡은 이유...

 한국은 명실상부한 커피 왕국이다. 국내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400잔이 넘어 세계 평균(150잔)의 두 배를 훌쩍 넘는다. 그러나 최근 이 커피 왕국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바로 '말차(抹茶)' 열풍이다.

 

말차는 녹차잎을 말린 후 가루로 만든 차를 의미한다. 엄밀히 말하면 녹차는 햇빛을 받고 재배한 찻잎을, 말차는 햇빛을 가리는 차광 재배로 기른 찻잎을 사용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단순히 잎을 우리는 차는 녹차, 가루를 물에 타 마시는 차는 말차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흥미로운 점은 말차의 역사가 녹차보다 더 오래되었다는 사실이다. 말차는 중국 당나라 시대부터 존재했던 반면, 잎을 우려 마시는 녹차(엽차)는 명나라 때 등장했다. 수백 년의 차이가 나는 셈이다.

 

국내 차 소비량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1인당 연간 차 소비량은 91g(약 40~50잔)으로, 커피 소비량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반면 일본과 중국은 800~1300g(200~300잔 이상)을 소비해 우리가 커피를 마시는 만큼 그들은 차를 마신다.

 

그런데 최근 글로벌 트렌드와 함께 국내에서도 말차 열풍이 불고 있다. 블랙핑크 제니를 비롯해 미국의 팝스타 두아 리파, 배우 젠다야 등 글로벌 셀러브리티들이 SNS에 말차 음료를 마시는 모습을 공유하면서 말차는 '힙'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트렌드는 일본 수출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녹차 수출량 약 8798톤 중 절반 이상이 말차였다. 2014년 20% 안팎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국내 주요 식음료 브랜드들도 말차 열풍에 동참하고 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제주 말차를 활용한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있으며, 롯데웰푸드는 월드콘과 빼빼로 말차맛을, 오리온은 초코파이 말차 쇼콜라 한정판을 출시했다. 유명 베이커리와 카페에서도 말차 메뉴를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업계에서는 말차 열풍의 원인으로 몇 가지 요소를 꼽는다. 첫째, 새로운 맛을 찾던 젊은 층이 말차를 발견했다는 점이다. 둘째, 말차는 파우더 타입이라 다른 음료나 디저트와 조합하기 좋아 '나만의 레시피'를 만들기 적합하다. 셋째, '차'라는 특성상 커피보다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있어 웰빙 트렌드와 맞닿아 있다. 마지막으로, 말차 특유의 선명한 초록색은 SNS에 공유하기 좋은 '인스타그래머블'한 비주얼을 제공한다.

 

말차의 인기는 차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녹차의 은은한 풍미, 홍차의 고급스러움 등 차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다. 말차 트렌드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차의 다양한 매력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의 첫 희생양? 승객들 '터미널 혼란' 불가피

은 자신이 이용하는 항공편의 터미널 위치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에어부산이 7월 29일부터 T2로 이전을 완료했으며, 이날 0시 이후 도착한 승객들은 T2를 통해 입국했다. 오전 6시 50분 후쿠오카행 BX156편이 T2에서 첫 출발편으로 기록됐으며, 승객들은 T2 수속 카운터 E11~E20에서 탑승 수속을 진행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쾌적한 공항 환경 제공과 승객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기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고 밝혔다.에어부산은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전 결정 이후부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전 안내를 진행해왔다. 수속 카운터에 홍보물을 배치하고, 공항 키오스크, 공식 홈페이지, 모바일 웹·앱, SNS 채널을 활용했으며, 예약 승객을 대상으로 안내 문자와 알림톡을 발송하는 등 대내외 홍보 수단을 총동원했다.만약 승객이 실수로 T1에 도착한 경우에 대비해, 에어부산은 한 달간 긴급수송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터미널 이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에어부산의 이전을 시작으로, 에어서울은 오는 9월,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부터 각각 T2에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터미널 이전 문제는 공항 주차장과 제반 준비 문제 등으로 논의가 장기화됐으나, 최근 서울지방항공청과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회의를 통해 내년 1월 중으로 이전 시점을 최종 합의했다.주의할 점은 공동운항편(코드셰어)과 항공사 사정에 따라 실제 출입국 터미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들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출발 전 전자항공권(E-티켓)을 확인하거나 인천국제공항 홈페이지 내 항공편 검색을 통해 정확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터미널 이전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로, 양사의 통합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승객들은 앞으로 몇 개월간 인천공항을 이용할 때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탑승 터미널을 확인하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항에 도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