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커피보다 오래된 '녹색 가루'가 MZ세대 사로잡은 이유...

 한국은 명실상부한 커피 왕국이다. 국내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400잔이 넘어 세계 평균(150잔)의 두 배를 훌쩍 넘는다. 그러나 최근 이 커피 왕국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바로 '말차(抹茶)' 열풍이다.

 

말차는 녹차잎을 말린 후 가루로 만든 차를 의미한다. 엄밀히 말하면 녹차는 햇빛을 받고 재배한 찻잎을, 말차는 햇빛을 가리는 차광 재배로 기른 찻잎을 사용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단순히 잎을 우리는 차는 녹차, 가루를 물에 타 마시는 차는 말차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흥미로운 점은 말차의 역사가 녹차보다 더 오래되었다는 사실이다. 말차는 중국 당나라 시대부터 존재했던 반면, 잎을 우려 마시는 녹차(엽차)는 명나라 때 등장했다. 수백 년의 차이가 나는 셈이다.

 

국내 차 소비량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1인당 연간 차 소비량은 91g(약 40~50잔)으로, 커피 소비량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반면 일본과 중국은 800~1300g(200~300잔 이상)을 소비해 우리가 커피를 마시는 만큼 그들은 차를 마신다.

 

그런데 최근 글로벌 트렌드와 함께 국내에서도 말차 열풍이 불고 있다. 블랙핑크 제니를 비롯해 미국의 팝스타 두아 리파, 배우 젠다야 등 글로벌 셀러브리티들이 SNS에 말차 음료를 마시는 모습을 공유하면서 말차는 '힙'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트렌드는 일본 수출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녹차 수출량 약 8798톤 중 절반 이상이 말차였다. 2014년 20% 안팎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국내 주요 식음료 브랜드들도 말차 열풍에 동참하고 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제주 말차를 활용한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있으며, 롯데웰푸드는 월드콘과 빼빼로 말차맛을, 오리온은 초코파이 말차 쇼콜라 한정판을 출시했다. 유명 베이커리와 카페에서도 말차 메뉴를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업계에서는 말차 열풍의 원인으로 몇 가지 요소를 꼽는다. 첫째, 새로운 맛을 찾던 젊은 층이 말차를 발견했다는 점이다. 둘째, 말차는 파우더 타입이라 다른 음료나 디저트와 조합하기 좋아 '나만의 레시피'를 만들기 적합하다. 셋째, '차'라는 특성상 커피보다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있어 웰빙 트렌드와 맞닿아 있다. 마지막으로, 말차 특유의 선명한 초록색은 SNS에 공유하기 좋은 '인스타그래머블'한 비주얼을 제공한다.

 

말차의 인기는 차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녹차의 은은한 풍미, 홍차의 고급스러움 등 차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다. 말차 트렌드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차의 다양한 매력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