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항우울제 먹는데 맥주 한 잔 마셨더니..." 약과 술의 충격적인 상호작용 실체

 평소 와인이나 칵테일을 즐기면서도 약을 복용 중이라면 둘을 함께해도 괜찮을지 고민하게 된다. 약과 술의 병용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

 

'약과 술을 함께하지 말라'는 일반적인 경고는 많이 들어봤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약과 어떤 술이 문제를 일으키는지, 그 위험성이 얼마나 되는지 명확히 알기 어렵다. 약을 먹은 직후에만 술을 피해야 하는지, 아니면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는 사람은 완전히 금주해야 하는지 의문이 생긴다. 약과 술의 상호작용은 약의 종류와 개인의 생리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특히 주의해야 할 7가지 약물군이 있다.

 

첫째, 진통제다.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같은 소염진통제(NSAIDs)는 술과 함께 복용하면 간 손상이나 위장 출혈 위험이 높아진다.

 

둘째, 항우울제와 술의 조합은 약효를 떨어뜨리거나 우울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SSRI, SNRI 등의 항우울제는 알코올과 함께 복용 시 졸림과 균형 감각 저하 등의 부작용도 나타난다.

 

셋째, 일부 항생제는 술과 심각한 반응을 일으킨다. 메트로니다졸, 티니다졸 등의 항생제는 알코올과 함께 복용하면 두통, 홍조, 구역감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은 체내 수분을 감소시켜 감염 회복을 지연시킨다.

 

넷째, 항정신성 의약품은 알코올과 함께 복용 시 진정 작용이 과도해져 호흡 곤란, 저혈압, 실신, 심한 경우 발작이나 혼수상태까지 초래할 수 있다.

 

다섯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나 졸피뎀 같은 항불안제와 수면제는 술과 병용 시 심각한 졸림, 호흡 억제, 기억 상실, 비정상적 행동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여섯째, 인슐린이나 설폰요소제 계열의 당뇨약은 알코올과 함께 복용하면 저혈당이나 고혈당 위험이 증가한다. 특히 단맛이 강한 맥주나 칵테일은 혈당 변동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일곱째, 와파린 같은 항응고제(혈액 희석제)는 알코올과 상호작용하여 출혈이나 혈전 위험을 높인다. 심장질환자나 수술 전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주의해야 할 상황이 많다. 기저 질환이나 약물 종류에 따라 알코올과의 병용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특히 많은 약물이 간에서 대사되는데, 술 역시 간에 부담을 주는 물질이므로 병용 시 간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소량의 술도 평소보다 쉽게 어지럼증, 졸음, 구토, 감정 기복, 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어 운전이나 기계 조작 시 특히 주의해야 한다.

 

약을 복용 중이라면 술을 마시기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약 복용 중 실수로 술을 마셨다면 혼자 있지 말고 가족이나 지인과 함께 있어야 하며, 두통, 복통, 어지럼증, 심한 졸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의 첫 희생양? 승객들 '터미널 혼란' 불가피

은 자신이 이용하는 항공편의 터미널 위치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혼란을 피할 수 있다.에어부산이 7월 29일부터 T2로 이전을 완료했으며, 이날 0시 이후 도착한 승객들은 T2를 통해 입국했다. 오전 6시 50분 후쿠오카행 BX156편이 T2에서 첫 출발편으로 기록됐으며, 승객들은 T2 수속 카운터 E11~E20에서 탑승 수속을 진행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쾌적한 공항 환경 제공과 승객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기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고 밝혔다.에어부산은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전 결정 이후부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전 안내를 진행해왔다. 수속 카운터에 홍보물을 배치하고, 공항 키오스크, 공식 홈페이지, 모바일 웹·앱, SNS 채널을 활용했으며, 예약 승객을 대상으로 안내 문자와 알림톡을 발송하는 등 대내외 홍보 수단을 총동원했다.만약 승객이 실수로 T1에 도착한 경우에 대비해, 에어부산은 한 달간 긴급수송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터미널 이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에어부산의 이전을 시작으로, 에어서울은 오는 9월,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부터 각각 T2에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터미널 이전 문제는 공항 주차장과 제반 준비 문제 등으로 논의가 장기화됐으나, 최근 서울지방항공청과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회의를 통해 내년 1월 중으로 이전 시점을 최종 합의했다.주의할 점은 공동운항편(코드셰어)과 항공사 사정에 따라 실제 출입국 터미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들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출발 전 전자항공권(E-티켓)을 확인하거나 인천국제공항 홈페이지 내 항공편 검색을 통해 정확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터미널 이전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로, 양사의 통합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승객들은 앞으로 몇 개월간 인천공항을 이용할 때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탑승 터미널을 확인하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항에 도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