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매일 하는 샤워, 혹시 피부 독이 되고 있나요?

 잦거나 잘못된 샤워 습관은 피부의 수분·유분 균형을 무너뜨려 건조증과 가려움, 각질, 심하면 장벽 손상까지 유발한다. 일상에서 흔히 반복하는 실수만 바로잡아도 피부 상태는 눈에 띄게 호전된다. 피부과 전문의들은 올바른 샤워의 핵심으로 적정 온도, 순한 세정, 충분한 헹굼, 즉시 보습을 꼽는다.

 

우선 뜨거운 물로 오래 샤워하는 습관을 경계해야 한다. 높은 온도는 피부 표면의 지질막을 녹여 보호 기능을 약화시키고, 샤워 직후 심한 당김과 따가움, 홍조를 불러온다. 샤워는 체온 전후의 미지근한 물로 5~10분 내 끝내는 것이 적절하다. 이미 뜨겁게 샤워했다면 마지막에 미온수로 짧게 마무리해 잔열을 식히고 혈관 수축을 돕는다.

 

거품을 풍성하게 내어 세게 문지르는 행위도 문제다. 과한 마찰은 각질층을 손상시키고 천연 보습 인자를 씻어내 가려움과 각질을 악화시킨다. 때수건과 브러시는 사용 빈도를 줄이고, 세정제는 약산성·무향 또는 저자극 제품을 선택한다. 땀과 피지가 많은 부위 위주로 거품을 쓰고, 팔·다리 등 건조 부위는 물 세정만으로도 충분한 날이 많다.

 


헹굼을 대충해 비눗기를 남기는 습관은 접촉성 피부염의 발단이 된다. 목 뒤, 귀 주변, 겨드랑이 주름, 팔꿈치·무릎 안쪽 등은 잔여물이 남기 쉬운 부위다. 머리→얼굴→몸→발 순서로 씻으면 헤어 제품이 몸에 남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향이 강하거나 특정 방부제·색소가 많은 제품은 잔여 시 자극 위험이 높아 민감 피부는 피하는 편이 안전하다.

 

샤워 후 보습을 미루거나 생략하는 것도 흔한 실수다. 샤워 직후 3분은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는 ‘건조 리바운드’ 구간이다. 수건으로 문지르지 말고 톡톡 눌러 물기를 제거한 뒤 즉시 보습제를 바른다. 여름에는 가벼운 로션·젤, 겨울이나 극건성 피부는 세라마이드·콜레스테롤·지방산이 균형 잡힌 크림이 적합하다. 가려움이 있다면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시어버터, 스쿠알란 등이 도움 된다.

 

하루 샤워 횟수는 활동량에 맞춰 조절하되 과도한 빈도는 줄이고, 운동 후엔 짧고 미지근하게, 필요한 부위만 세정제를 사용한다. 작은 습관의 수정만으로도 건조와 가려움의 악순환을 끊고 건강한 피부 장벽을 되살릴 수 있다.

 

시끄러운 도시 떠나 '소나무의 땅'으로…튀르키예의 27번째 '느린 도시' 차멜리

를 보존하자는 이 운동은 현재 30여 개국 280여 개 도시가 동참하며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최근 튀르키예 남서부 데니즐리주에 위치한 차멜리가 새로운 '느린 도시'로 지정되면서, 튀르키예의 치타슬로 도시는 총 27곳으로 늘어났다. 특히 이번 지정은 대한민국 완도에서 아시아 최초로 열린 '국제슬로시티총회'에서 결정되어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차멜리는 세계적인 관광 명소 파묵칼레에서 남쪽으로 약 110km 떨어진 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소나무의 땅'이라는 이름처럼 소나무, 참나무, 향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수정처럼 맑은 연못이 어우러져 고요하고 평화로운 풍경을 자랑한다. 도시의 소음에서 벗어나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진정한 쉼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차멜리는 평온한 휴식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여행지이기도 하다. 울창한 산과 계곡을 따라 잘 조성된 하이킹 및 자전거 트레일은 전 세계 트레킹 애호가들을 유혹하며, 매년 열리는 패러글라이딩 챔피언십과 자전거 축제는 역동적인 즐거움을 선사한다. 또한,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신선한 식재료로 만든 전통 요리와 현지 장인들의 손길이 닿은 수공예품은 차멜리 고유의 문화를 오롯이 보여준다. 특히,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 일품인 '차멜리 콩'과 맑은 물에서 자란 신선한 송어 요리는 이곳을 방문했다면 반드시 맛봐야 할 별미로 꼽힌다. 자연 속에서의 여유로운 휴식과 활기 넘치는 레포츠, 그리고 건강한 먹거리까지, 차멜리는 여행객들에게 다채로운 만족감을 선사하며 '느린 여행'의 진수를 보여준다.차멜리가 속한 데니즐리 지역은 히타이트, 프리기아, 로마 제국을 거치며 형성된 유서 깊은 역사를 간직한 도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대 도시 히에라폴리스와 눈부시게 하얀 석회 절벽이 장관을 이루는 파묵칼레는 데니즐리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관광지다. 최근에는 '찰 포도원 루트'를 중심으로 튀르키예 와인의 주요 생산지로 새롭게 주목받으며, 역사와 자연, 미식이 어우러진 풍성한 여행을 제안한다. 이처럼 데니즐리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며 다채로운 매력을 발산하는 곳으로, 차멜리와 함께 튀르키예의 숨겨진 보석 같은 여행지로 떠오르고 있다. 여행자들은 이곳에서 장엄한 유적지를 둘러보고,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며, 풍미 가득한 와인을 맛보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튀르키예의 치타슬로 운동은 2009년 이즈미르주의 세페리히사르가 최초로 인증을 받으며 시작되었다. 이후 아흘라트, 포차, 괵체아다, 사프란볼루, 샤브샤트 등 전국 각지로 확산하여 현재 7개 지역 23개 주에 걸쳐 총 27개의 '느린 도시'가 운영되고 있다. 이는 튀르키예가 지속 가능한 관광과 지역 고유의 가치 보존에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각 치타슬로 도시는 저마다의 독특한 문화와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며, 빠름과 경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진정한 휴식과 재충전의 기회를 선사한다. 튀르키예의 '느린 도시'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그 수를 늘려가며 전 세계 여행자들에게 느림의 가치를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