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내 식탁 위 '나트륨 빌런'은 편의점 도시락?

 편의점 간편식에 포함된 나트륨이 예상보다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오지은 교수 연구팀은 10~39세 627명을 대상으로 간편식 선택 행태와 영양 인식을 조사하고, 주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도시락·삼각김밥·주먹밥의 나트륨 함량을 분석했다. 결과에 따르면 편의점 도시락 1개의 평균 나트륨은 1361mg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 하루 권고치 2000mg의 약 68%에 해당하며, 한국영양학회가 제시하는 성인 권장량 1600mg 기준으로는 85% 안팎이다. 일부 제품은 한 끼에 1700mg을 넘겨, 식사 한 번으로 하루 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준이었다.

 

도시락뿐만 아니라 청년층이 자주 고르는 삼각김밥과 주먹밥도 나트륨 섭취 과다의 주요 경로로 지목됐다. 국내 편의점 삼각김밥 한 개의 평균 나트륨은 한 끼 권장량(약 500~550mg)의 절반 이상에 달해, 가벼운 간식으로 생각하고 선택해도 실제론 상당한 나트륨을 섭취하게 되는 셈이다. 맛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양념, 장아찌·김치류 반찬, 가공 육가공품, 소스 패킷 등이 총나트륨을 끌어올리는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소비자 인식과 실제 구매 환경의 불일치도 확인됐다. 응답자의 80%는 “저나트륨 제품 구매 의향이 있다”고 밝혔지만, 매장에서 저염을 전면에 내세운 도시락 제품의 비중은 전체의 10%에 못 미쳤다. ‘건강’ ‘라이트’ 등 문구가 부착된 제품을 선호한다는 답변이 많았으나, 실제 영양성분표를 비교하면 나트륨과 포화지방에서 일반 제품과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표시·광고 문구가 영양학적 우수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성분표의 절대량을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식사 다변화와 함께, 제조사의 레시피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밥을 짭짤하게 간하는 대신 양념은 ‘따로 담는’ 전략, 염도 낮춘 소스 제공, 절임류와 가공육 비중 축소, 허브·향신료 활용으로 감칠맛을 보완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소비자 측면에서는 같은 메뉴라도 ‘나트륨 1식 기준 700mg 이하’ 제품을 우선 선택하고, 국물·소스는 전량 사용을 피하며, 김치·장아찌 등 짠 반찬을 다른 채소 반찬으로 대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물이나 무가당 차를 함께 마셔 염분 배출을 돕고, 하루 총 섭취량을 고려해 다른 끼니에서는 국물류와 가공식품을 줄이는 ‘균형 조절’도 권장된다.

 

연구팀은 “편의점이 청년층 식사의 중요한 축이 된 만큼, 편의성에 건강성을 더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재편돼야 한다”며 “특히 삼각김밥·주먹밥 등 대표 간편식의 저염화가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영양학회·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공동 발간 영문 학술지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최신호에 게재됐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연구 내용을 소개했다. 전문가들은 나트륨 저감화 정책과 제품군 확대, 매대 표시 개선이 병행될 때 소비자의 선택이 실제 건강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완주자에게만 허락된 '비밀의 공간'…운동 후 겪게 될 역대급 호사

-명상'으로 이어지는 '마인드풀 트라이애슬론' 컨셉으로 개최되기 때문이다. 수많은 참가자들이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며 몸과 마음을 단련하는 이 축제의 대미를 장식할 특별한 공간이 마련된다는 소식에 벌써부터 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저강도 회복운동 전문 브랜드 '모브플렉스'가 하이엔드 아로마 웰니스 브랜드 '센틸리크'와 손잡고, 완주자들만을 위한 '프리미엄 리커버리존'을 공식 운영하며 지금껏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회복의 패러다임을 제시한다.완주의 기쁨을 만끽한 참가자들이 가장 먼저 향하게 될 이곳은 단순한 휴식 공간을 넘어선다. 모브플렉스와 센틸리크가 야심차게 준비한 '프리미엄 리커버리존'은 '움직임과 향으로 완성되는 회복 리추얼'이라는 테마 아래, 과학적이고 감각적인 회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꾸며진다. 참가자들은 모브플렉스가 특허 기반으로 개발한 장비를 활용해 뭉친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저강도 회복운동(액티브 스트레칭)을 직접 체험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센틸리크의 전문가가 진행하는 아로마 진단을 통해 현재 자신의 몸과 마음 상태에 가장 적합한 향을 추천받고, 이를 통해 깊은 이완을 경험하는 '맞춤형 시그니처 회복 루틴'을 온전히 누릴 수 있다.이곳에서 펼쳐지는 모든 과정은 몸의 회복이 감정의 이완으로, 다시 감각의 확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정교하게 설계되었다. 뭉친 근육을 풀고 몸의 정렬을 바로잡는 움직임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개인의 컨디션에 맞춰 섬세하게 큐레이션된 아로마 향이 뇌에 직접 작용해 심리적 안정감을 선사하는 방식이다. 모브플렉스는 이 특별한 경험을 더욱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만 공개되는 한정판 기프트와 회복 루틴 스탬프 인증, SNS 참여 이벤트 등 참가자들과 함께 호흡하고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인터랙티브 콘텐츠도 선보이며 축제의 재미를 더할 예정이다.모브플렉스와 센틸리크의 이번 협업은 '운동의 끝은 회복의 시작'이라는 새로운 공식을 제안하며 웰니스 시장에 신선한 충격을 던진다. '몸이 스스로 회복하는 힘'을 믿는 모브플렉스의 철학과 '향은 감각을 깨우는 고요한 회복'이라는 센틸리크의 가치가 만나, '움직임과 향의 조화'라는 전에 없던 프리미엄 회복 루틴을 탄생시킨 것이다. 브랜드 관계자는 "이번 페스티벌을 통해 참가자들이 땀 흘린 뒤의 진정한 웰니스의 가치를 경험하길 바란다"며, "단순한 피로 해소를 넘어, 몸과 감각을 동시에 회복시키는 새로운 회복 문화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이번 협업이 일상 속 회복의 중요성을 알리는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