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인공눈물 점안 전 ‘첫 방울 버리기’가 답입니다

 전자기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급증하고 있다. 단순한 불편함으로 넘기기 쉽지만 방치하면 각막 손상과 시력저하, 심하면 실명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2년 안구건조증 진료 인원은 약 237만 명. 대한안과학회의 2023년 설문에서도 응답자 10명 중 8명이 뻑뻑함·시림·충혈·이물감·통증·시력저하 등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과거엔 주로 노화가 원인으로 꼽혔지만 스마트폰·컴퓨터 사용, 실내 건조한 환경 등 생활습관 요인이 겹치며 대표적 현대질환이 됐다. 학계가 ‘눈의 날’을 지정해 인식 제고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안구건조증은 눈물막의 균형이 깨질 때 발생한다. 점액층·수성층·지질층으로 구성된 눈물막 중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윤활과 보호 기능이 떨어져 뻑뻑함과 통증이 나타난다. 인천성모병원 김용찬 교수는 “각막 방어력이 저하돼 각막염, 결막염, 각막궤양 등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수술 예후에도 영향을 준다. 고려대 안암병원 김동현 교수 연구진은 안구건조증이 각막 곡률 측정값의 변동성을 키워 백내장·굴절수술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보고했다. 수술 예정자라면 사전 치료가 권고된다.

 


치료의 기본은 인공눈물이다. 윤활 성분 제품은 표면 손상을 줄이고, 지질 성분 제품은 증발을 억제해 눈물막을 안정화한다. 1회용 무보존제 점안제는 하루 6회 이상이나 렌즈 착용 시 유리하지만, 개봉 직후 첫 한 방울은 미세플라스틱 혼입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버리는 게 좋다. 보존제가 든 다회용은 장기 사용 시 부작용 가능성이 있어 정기적으로 안과 진료로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사용법도 중요하다. 눈을 많이 쓸 예정인 활동 전 미리 한 방울 점안하면 따가움으로 인한 순응도 저하를 막을 수 있고, 한 번에 여러 방울 넣으면 눈물의 면역·영양 성분이 씻겨 나가므로 1회 1방울이 권장된다. 증상이 심할 땐 안연고를 취침 전에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3개월 이상에도 개선이 없으면 눈물점 폐쇄술이나 레이저 등 절차를 고려한다.

 

생활습관 교정은 필수다. 화면을 볼 땐 20분마다 먼 곳을 바라보거나 눈을 감고 쉬어 깜빡임 저하를 보완하고, 눈꺼풀 세정제로 기름샘을 관리하면 노폐물 배출과 지질층 회복에 도움이 된다. 김동현 교수는 “환자의 80% 이상이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동반한다”며 40도 안팎의 따뜻한 수건·찜질팩으로 눈가 온찜질을 권한다. 안구건조증은 완치가 어렵지만 올바른 점안과 꾸준한 습관 개선으로 충분히 증상 완화가 가능하다. 디지털 시대, 눈 건강은 관리의 문제다. 눈물막을 지키는 작은 실천이 선명한 시야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해법이다.

 

우리 집 강아지도 에버랜드 간다! '펫팸족' 위해 굳게 닫혔던 문 열린다

이룬 가을 풍경 속에서 반려견과 특별한 하루를 보낼 수 있는 '가을을 함께하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지난 8월 '세계 개의 날'을 맞아 뜨거운 호응 속에 진행됐던 시범 운영에 이은 두 번째 행사다. 평소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반려견과의 놀이공원 나들이라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빠르게 확산하는 펫팸족 트렌드에 발맞추고 가을의 낭만을 함께 나누겠다는 취지다.이번 행사는 사전 신청을 통해 선정된 10kg 미만의 소형견과 그 보호자만이 누릴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 참가자들은 행사 당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동물들이 있는 주토피아 구역과 일부 실내 시설을 제외한 에버랜드 대부분의 공간을 반려견과 함께 거닐 수 있다. 물론 안전과 다른 이용객들을 위해 지정된 장소 외에서는 반려견을 반드시 애견 카트나 케이지에 태워 이동해야 한다. 또한 동물등록증과 예방접종증명서를 필수로 지참해야 하며, 도사견이나 핏불테리어 같은 일부 맹견의 입장은 제한된다. 까다로운 조건이지만, 그만큼 모두의 안전을 고려한 세심한 준비가 돋보인다.답답한 케이지 안에만 머물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에버랜드는 반려견들이 가을 정취를 만끽하며 자유롭게 산책할 수 있는 특별 구역을 마련했다. 하늘정원길, 장미원 은행나무길, 장미 학습장 등 세 곳은 '케이지 프리(Cage Free)' 구역으로 운영되어, 1.5미터 이내의 리드줄만 착용하면 반려견이 직접 땅을 밟으며 걸을 수 있다. 특히 단풍과 가을꽃이 만개한 하늘정원길에는 반려견이 목줄 없이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오프리쉬 존(Off-Leash Play Zone)'까지 조성된다. 가을 감성을 더하는 버스킹 공연과 곳곳에 마련된 포토존은 반려견과 보호자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에버랜드는 참가자들을 위한 다채로운 혜택도 준비했다. 간단한 펫티켓 미션을 인증하면 음료와 간식 등 웰컴 푸드를 제공하며, SNS에 방문 후기를 남기면 룰렛 이벤트를 통해 솜포인트나 강아지 산책용품 등 추가 선물을 받을 기회도 주어진다. 참가 신청 시 필요한 5,000원의 예약금 역시, 간단한 미션만 수행하면 에버랜드 내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솜포인트로 전액 돌려받을 수 있다. 에버랜드 측은 "반려동물과 함께 나들이를 즐기려는 고객이 빠르게 늘고 있다"며, 앞으로도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행복한 경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이번 행사는 반려동물이 단순한 동물을 넘어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받는 사회적 변화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