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당신의 수명, 운동하면 4년 더 살아

건강 전문가들에 따르면 성인은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2시간 반 정도 신체 활동을 해야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신체 활동은 중간 강도의 운동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빨리 걷는 것과 같은 활동을 포함한다. 그러나 운동의 강도를 높인다면, 예를 들어 달리기처럼 강도를 올린 운동을 할 경우, 일주일에 75분 정도만 운동해도 삶의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또한 일주일에 두 번 정도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고 권장한다. 근력 운동은 근육 밀도를 높이고, 심장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며, 전체적인 신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보다 적은 시간의 운동이 무가치한 것은 아니다. 10분 정도의 짧은 운동이라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훨씬 더 건강에 이득이 된다.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것보다 10분이라도 운동하는 것이 더 많은 건강적 혜택을 준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규칙적으로 꾸준히 운동을 하는 것이다.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야말로 건강을 크게 개선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연구에 따르면,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치매 발생 위험을 40% 낮추고, 인지 장애의 위험도 60% 이상 줄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젊은 성인들이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는 경우, 골밀도가 매년 평균적으로 2~8% 증가한다고 한다. 운동이 골밀도를 높여 뼈 건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건강 관련 자료에 따르면, 신체 활동이 활발한 사람과 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눈에 띄는 건강상의 차이가 있다.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더 긴 수명을 기록하는데, 평균 연령이 40세인 미국 성인들의 평균 수명이 약 78.7세인 반면, 운동을 정기적으로 하는 사람들은 평균 수명이 4년 더 길어진다고 한다. 이는 운동이 장기적인 생명 연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은 수면의 질에서도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사람들 중 56%만이 편안한 잠을 자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86%가 안정적인 수면을 취한다고 밝혔다. 이는 운동이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심박수와 관련해서도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현저히 낮은 심박수를 기록한다. 연구에 따르면, 심박수가 빠른 사람일수록 수명이 짧을 위험이 크다. 이는 심박수가 빠르면 심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1분에 60~80번의 심박수를 보이는 반면,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40~60번의 심박수를 기록한다. 이는 심장이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증거로, 운동이 심장 건강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최대 산소 섭취량은 운동을 통해 개선된다. 최대 산소 섭취량은 심폐 능력과 혈액 산소 운반 능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 여성은 평균적으로 25㎖/㎏ 미만, 남성은 30㎖/㎏ 미만의 섭취량을 보인다. 그러나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여성은 46~50㎖/㎏, 남성은 48~53㎖/㎏의 수치를 기록한다. 이처럼 운동은 최대 산소 섭취량을 증가시키며, 심폐 기능과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또한 혈액 순환이 원활하고 발한 속도가 빠르다. 이는 운동을 통해 체온이 상승하면서 몸이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발한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은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땀을 배출하는 속도가 빠르다. 이는 체온 조절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근력 운동은 단순히 근육을 키우는 운동이 아니라, 신체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력 운동을 통해 근육 밀도를 높이고, 체중을 조절하며, 장기적으로 심장 질환, 당뇨병, 골다공증 등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신체 기능 저하로 이어지고 각종 질병에 더 취약해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근력 운동은 근육량을 유지하고, 뼈 건강을 증진시키며, 체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운동은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매일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며, 신체 활동이 활발한 사람들은 여러 가지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다. 특히 근력 운동은 나이가 들수록 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주 2회 이상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건강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일상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부산 8개구를 발로 정복한다! 무박 2일 56km 걷기 도전 어때요?

수욕장까지 이어지는 56km 대장정 '오륙도 투나잇'이 시작된다. 무박 2일로 진행되는 이 행사는 부산의 숨은 매력을 발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오륙도 투나잇' 풀코스는 부산 서쪽의 다대포해수욕장을 출발점으로 삼아 대저생태공원과 금정산성 고갯길을 거쳐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마무리된다. 이 코스는 부산갈맷길 2, 4, 6, 8코스를 포함하며, 사하구, 강서구, 북구, 금정구, 동래구, 연제구, 수영구, 해운대구 등 부산 8개 구를 관통한다. 완주하면 다음 날인 30일 오전 9시에 도착하게 되는 일정이다.'갈맷길'은 부산 전역에 조성된 걷기 좋은 탐방로를 일컫는 말로, 부산의 상징인 '갈매기'와 '길'을 합친 이름이다. 여기서 '갈매'는 순우리말로 '깊은 바다'라는 의미도 담고 있어, 부산의 지리적 특성을 잘 반영한다. 바다를 걷다 보면 어느새 산길로 접어들고, 산을 벗어나면 강변을 만나는 부산만의 독특한 지형적 매력을 갈맷길은 고스란히 담고 있다.부산은 예로부터 산과 강, 바다와 온천을 모두 품고 있는 '사포지향(四抱之鄕)'으로 불려왔다. 이번 걷기 행사는 이러한 부산의 다채로운 자연환경을 한 번에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 특히 밤부터 새벽까지 이어지는 걷기 여정은 낮에는 볼 수 없는 부산의 야경과 새벽 풍경을 감상할 수 있어 더욱 매력적이다.체력이나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참가자들을 위해 난이도가 다른 코스도 마련되어 있다. 풀코스와 동일하게 다대포해수욕장에서 출발하지만, 목적지가 다른 '하프 코스'(22km)와 '노을걷기 코스'(7km)가 준비되어 있다. 하프 코스는 강서구 대저생태공원까지 낙동강의 생태를 체험하며 걷는 코스로, 중간 난이도의 도전을 원하는 이들에게 적합하다. 초보자들을 위한 노을걷기 코스는 사하구 신평역까지 걸으며 다대포해수욕장의 아름다운 낙조를 감상할 수 있어 가족 단위 참가자들에게도 인기가 높다.각 코스별로 완주자에게는 완보증(완보인증서)과 와펜 등 기념품이 제공되며, 식사와 간식도 준비되어 있다. 참가비는 코스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어 있는데, 풀코스는 3만 원, 하프코스는 2만 원, 저녁노을 코스는 5000원이다.참가를 원하는 시민들은 오는 21일까지 '걷고싶은부산' 또는 '부산걷는길연합'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및 접수를 완료해야 한다. 주최 측은 완보증 사전 제작 등의 이유로 현장 신청은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부산의 밤하늘 아래 56km를 걸으며 도시의 숨결을 느끼는 이 특별한 행사는 도보 여행의 매력에 빠진 이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질녘 다대포의 낙조를 시작으로 부산의 밤과 새벽을 온몸으로 느끼며 걷는 여정, '오륙도 투나잇'이 부산의 새로운 걷기 문화를 만들어갈 것으로 보인다.